
‘제5회 유통·물류 및 공급망관리 산업전(Supply Chain Management Fair 2025, SCM FAIR 2025)’ 현장에서 윌로그는 실시간 운송 모니터링 플랫폼을 공개하며 글로벌 물류 현장의 리스크 관리 수단으로 주목받았다.
유통·물류 및 공급망관리 산업전(SCM FAIR)은 공급망관리(SCM)를 메인 주제로 한 전문 전시회다. 지난 2021년 첫 회를 시작으로 매년 이어져 올해 5회차를 맞이했다. 매 회차마다 팬데믹, 디지털 전환(DX),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등 글로벌 공급망의 현안을 반영한 슬로건을 내걸어왔다.
전시장에는 물류 로봇, 협동 로봇, 창고 자동화 설비, SCM IT 플랫폼, 친환경 포장재, 스마트 물류 솔루션 등 공급망 전 과정을 아우르는 기술과 제품이 전시된다. 또한 제조·물류·유통·모빌리티 업계가 동시에 참여하는 기업 간 거래(B2B) 협업 또한 주목할 콘셉트다.
SCM FAIR 2025는 9월 10일부터 12일까지 경기 고양시 전시관 킨텍스 제1전시장 2·3홀에서 개최됐다. ㈜첨단·제이앤씨메쎄·한국파렛트컨테이너협회(KPCA)가 공동 주최한 올해 전시회는 ‘공급망을 새롭게 설계하다(Rebuild the Supply Chain)’를 슬로건으로 내걸었다.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DX 실현이라는 시대적 과제 속에서 물류·제조·유통 전반의 혁신 해법과 차세대 전략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진행됐다.
전시장에는 국내외 약 200여 개 기업이 참가해 400여 개 부스를 운영했고, 참관객 규모는 약 3만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주요 전시 품목은 ▲스마트 물류 시스템 ▲물류 및 협동 로봇 ▲창고 자동화 솔루션 ▲친환경 자재 ▲공급망 관련 플랫폼·솔루션 ▲모빌리티 기술 등 공급망 전 과정을 아우르는 첨단 기술로 장식했다. 특히 글로벌 자동화 장비 기업, 국내 로봇 스타트업, IT 플랫폼 기업이 대거 참가했다. 이들은 공급망 효율화, 지속가능성, DX 등을 포괄하는 다양한 혁신 모델을 제시했다.
윌로그는 물류 구간에서 발생하는 제품 손상, 프로세스 지연, 위험 요인을 관리하는 사물인터넷(IoT)·데이터 기반 리스크 관리 플랫폼을 선보였다. 이 플랫폼은 ▲온도·습도·충격·위치 등 환경 데이터를 실시간 수집 ▲이상 징후 알람 발송 ▲대시보드 기반 가시화 기능을 제공한다.
현장에서는 대형 스크린을 통해 운송 중 발생한 이벤트 로그와 궤적 분석을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시연을 진행했다.
윌로그 관계자는 “리스크 요인을 예측하고 사전에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된 점이 차별화 포인트다. 현재 제약·식음료(F&B) 등 고부가가치 물류 분야와 협력 범위를 넓히고 있다”고 말했다.
현장에서는 참관객들이 운송 과정에서 발생하는 리스크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점이 신뢰도를 높인다는 반응을 보였고, 일부 기업들은 실제 계약·테스트 논의를 위해 상담을 진행했다.
한편, SCM FAIR 2025는 공급망 DX 전략을 공유하는 산업 허브 역할을 한다. ‘SCM SUMMIT’, ‘공급망 대전환 인사이트 세미나’ 등 콘퍼런스를 통해 산업 담론을 공유하는 장으로 자리매김했다. 이 같은 행사는 글로벌 기업 임원과 학계 전문가들이 공급망 혁신 전략을 나눴다.
여기에 온라인 세미나 ‘두비즈 온(Dubiz On)’, ‘미국 시장 진출 설명회’ 등 부대행사도 함께 열려 실질적인 해외 진출 전략을 모색할 기회를 제공했다. 또한 업계 관계자와 참가기업 간 네트워킹 세션이 운영돼 협력 기회 발굴의 장으로 활용됐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