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배너

세미파이브, 커스텀 반도체 돌풍 타고 코스닥 입성 시동

URL복사

작년 연 매출 1118억 원 기록...삼성전자 공식 DSP 중 시스템 반도체 부문 매출 1위

 

세미파이브가 7월 17일 한국거래소에 코스닥 상장을 위한 예비심사 신청서를 제출하며 기업공개(IPO) 절차에 돌입했다. 상장 주관사는 삼성증권과 UBS증권이다.

 

2019년 설립된 세미파이브는 국내외 주요 투자자로부터 총 2400억 원 규모의 누적 투자를 유치하며 빠른 성장을 이어왔다. 테마섹 산하 파빌리온캐피탈, 미래에셋벤처투자, 한국투자파트너스, 산업은행, 두산테스나 등이 주요 투자자로 참여했다. 지난해 세미파이브는 연 매출 1118억 원을 기록하며, 삼성전자의 공식 디자인 솔루션 파트너 중 시스템 반도체 부문 매출 1위를 달성했다. 설립 5년 만에 이룬 성과다.

 

세미파이브의 성장 동력은 자체 개발한 재사용·자동화 기반 시스템온칩(SoC) 설계 플랫폼에 있다. 이 플랫폼을 통해 반도체 설계, IP 개발, 양산 등 시스템 반도체 전 영역에 걸친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며, 안정적인 수익 기반을 확보했다.

 

특히 AI 및 고성능컴퓨팅(HPC) 분야에서 국내 유수 팹리스 기업과의 협력이 두드러진다. 퓨리오사AI, 리벨리온과 함께 AI 칩을 공동 설계·양산해 왔으며, 하이퍼엑셀, 모빌린트, 엑시나 등과의 기술 개발 협업도 활발하다. 최근에는 미국, 중국, 일본 등 글로벌 고객을 대상으로 ASIC 설계 프로젝트를 연이어 수주하며 해외 매출도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IP 사업 측면에서도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자회사 아날로그 비츠(Analog Bits)는 저전력 혼합 신호(Low-Power Mixed Signal) IP 분야의 글로벌 리더로, TSMC, 삼성 파운드리, 인텔 등과 협력해 클로킹, 센서, SERDES 등 핵심 IP를 공급하고 있다. 세미파이브는 이들 IP를 자사 SoC 플랫폼과 연계해 자동화된 설계 환경을 구현, 생산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높였다. 

 

세미파이브는 현재 미국, 중국, 일본, 베트남, 인도, 체코 등 주요 거점에 400명 이상의 글로벌 인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현지 고객 대응 및 기술 지원 체계를 지속 강화 중이다. 동시에 기술 고도화를 위한 R&D 투자도 확대하고 있다. 최근에는 Arm의 공식 토탈 디자인 파트너로서 Arm 기반 CPU 칩렛 플랫폼 ‘프리미어(Premier)’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조명현 대표는 “AI가 산업 전반으로 확산되며 커스텀 반도체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며 “세미파이브는 차세대 ASIC 시장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설계 플랫폼 기업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밝혔다. 

 

헬로티 서재창 기자 |













배너

배너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