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량 유심 장착 시 노티바(No-ti-Bar) 통해 안내 LG유플러스가 스마트폰을 통해 불량 유심(USIM) 판별이 가능한 기능을 적용했다고 24일 알렸다. 유심은 사용자 휴대폰 요금제 여부를 담아 신분증 역할을 한다. 이에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단말기에 필수적으로 유심을 장착해야 한다. 또 단말·네트워크·유심이 유기적으로 작동해야 하는데, 기존에는 서비스 장애 원인 분석 시 원인 파악이 곤란했다. 이와 관련해 LG유플러스는 유심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안내 기능을 삼성전자와 함께 개발에 성공했다. 해당 기능은 스마트폰에 불량 유심이 장착되면 화면 상단 노티바(Notification-Bar)에 알림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우선 삼성전자 갤러시 S23 시리즈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향후 출시되는 스마트폰에도 순차적으로 적용될 예정이다. 이진혁 LG유플러스 모바일서비스개발 LAB장 겸 상무는 “고객이 유심 불량으로 통신 불편을 겪을 시 원인 파악이 용이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U+모바일 서비스 만족도를 더욱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고객의 관점에서 사용성을 개선하고 고객가치를 혁신하는 서비스와 기술을 제공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헬로티
[첨단 헬로티] KT(회장 황창규)는 통신사 만의 안전한 보안 채널과 스미싱 우려가 없는 1등급 보안매체인 USIM을 결합해 SMS인증처럼 간편하면서도 안전한 ‘USIM 다이렉트 인증’을 상용화한다고 16일 밝혔다. KT에 따르면 이번에 선보인 ‘USIM 다이렉트 인증’은 STK(Sim Tool Kit)라는 휴대폰 개통에 사용하는 안전한 통신 채널을 활용하며, STK 통해 인증정보가 USIM으로 전송되기 때문에 고객의 단말기에 인증정보가 남지 않아 스미싱 우려가 없다. 인증을 위한 별도 앱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고객들은 기존 SMS 인증처럼 편리하게 인증정보를 수신하고 인증을 할 수 있다. 간편점유인증 서비스도 추가로 제공한다. 간편점유인증은 기존 SMS 인증처럼 인증 번호를 수신한 다음 이를 외워서 입력하던 방식이 아닌 인증번호 수신과 인증번호 입력을 한 화면에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이를 통해 고객들은 한층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면서도 보안성은 높게 유지할 수 있다. KT는 ‘USIM 다이렉트 인증’을 한국모바일인증의 myOTP 서비스를 통해 상용 적용하며, 향후 사업자 확대를 지속적
ⓒGetty images Bank [헬로티]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금융 등 서비스 제공자가 전자서명 요구 시, 홍채 등 생체인식으로 비밀번호 입력 등 번거로움을 없앤 공인인증서비스(간편 공인인증서)를 제공할 수 있는 ‘간편 공인인증서 인터페이스 가이드라인’을 단말 제조사, 공인인증기관, 보안토큰 업체 등과 함께 마련하여 공개했다. 이 가이드라인은 스마트폰의 트러스트존, USIM, 금융 IC카드 등 보안매체에 저장된 공인인증서를 PC 또는 노트북에서 액티브X 등 별도 프로그램 설치 없이 웹 표준 기술 환경으로 사용하는 기술적 요구사항을 담았다. 주요 내용은 가입자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제공자가 일관되고 범용적인 사용자 경험을 보장하기 위해 요구되는 최소한의 기능과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으로 ▲가입자 소프트웨어 내 간편인증 저장매체 추가 요구사항 ▲간편인증 UI/UX 인터페이스 최소 요구사항 ▲이종·유사 간편인증 서비스 도메인 간 상호연계를 위한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전자서명을 위한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등이다. 이 가이드라인을 활용하면 인터넷뱅킹 등 서비스 제공자는 공인인증서 기반으로 전자거래의 신뢰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