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수준의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 갖출 것" SPC는 안전경영 강화를 위해 전 사업장에 '통합 안전점검 시스템 애플리케이션(앱)'을 도입한다고 11일 밝혔다. 현재 전체 생산시설, 물류센터 90여개 중 SPC삼립, 파리크라상, SPL, 던킨, SPC GFS 등 50여개 사업장에서 앱 도입을 완료했고 나머지 사업장에서도 준비를 마치는 대로 앱을 활용할 예정이다. 이번 시스템은 IT기술을 기반으로 통합적인 솔루션을 제공하는 계열사 '섹타나인'을 통해 개발됐다. 향후 시스템에 축적된 데이터들을 섹타나인이 보유한 빅데이터 분석, AI 기술 등을 활용해 안전 개선과 예측, 예방 활동에도 반영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사업장의 안전관리자는 안전관리 앱이 설치된 태블릿PC로 생산 시설에 대해 점검하고 직원 안전 교육을 관리한다. 앱을 통해 각 생산 설비 등에 부착된 QR코드를 인식하면 안전 점검리스트가 나타나고 관리자는 각 항목에 대한 이상 여부를 확인한다. 관리자가 기재하지 않은 항목이 있거나 이상 발생시 조치 사항을 입력하지 않으면 시스템상 '점검 완료'가 되지 않는다. SPC는 앱을 통해 점검 누락을 방지할 수 있고 안전문제 발생시 즉각
SPC는 안전경영을 강화하기 위해 전 사업장에 대해 안전진단을 시행 중이라고 17일 밝혔다. 지난달 15일 계열사인 SPL의 제빵공장에서 20대 근로자가 작업 중 사고를 당해 숨지는 사고가 발생한 뒤 SPC는 그룹 전반의 안전관리 시스템을 재점검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SPC는 지난달 21일부터 한국산업안전관리원, 대한산업안전협회, 안전보건진흥원, 한국안전기술협회 등 고용노동부 인증 전문기관 4곳을 통해 SPC 내 총 29개 생산시설에 대한 안전 진단을 진행해 왔고 이중 20개 사업장에 대해 진단을 완료했다. 회사는 안전 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산업 현장에 연동장치(인터록), 안전 난간, 안전망, 안전 덮개, 폐쇄회로(CC)TV 등을 추가로 설치했고 위험요소를 제거했다. SPL도 진단을 마치고 100여 건의 개선 요구 사항을 모두 조치했다. SPC는 남은 9개 사업장에 대해서도 이달 말까지 진단을 완료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SPC는 이달 14일에는 안전경영위원회를 구성하고 위원장에 정갑영 전 연세대 총장을 선임했다. 위원회는 오는 18일 첫 회의를 열고 활동을 시작한다. 위원회는 SPC 전 계열사 사업장의 산업안전, 노동환경, 사회적 책임과 관련된 제반 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