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엔(ZIEN)이 XIoT 펌웨어 보안 SECaaS(Security as a Service) ‘Z-IoT’ 오픈베타 서비스를 출시했다고 16일 밝혔다. Z-IoT는 IoT 디바이스에 탑재된 펌웨어(기기 내 주요기능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의 보안 취약점을 점검해주는 솔루션이다. 펌웨어를 이 솔루션에 업로드하면 패스워드, 암호화 파일, 바이너리,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제로데이 등을 분석해 펌웨어 내 보안 취약점을 찾아준다. Z-IoT는 지엔이 자체적으로 개발해 특허인증을 받은 자동화 솔루션으로 보안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 보안점검 시간 등의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는 것이 강점이다. 이 솔루션은 취약점 분석시간을 기존 수동점검 대비 25%로 감축시켰다. 약 4배 가까이 빨라진 작업 속도로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면서도 365일 연중무휴 사용 가능하다. 기존 펌웨어 취약점 분석은 리버스 엔지니어링(역공학)을 통한 전문가들의 수동 작업이 주를 이뤘다. IoT 디바이스 종류는 수백억 개에 달하는 반면, 이를 점검할 수 있는 관련 지식을 갖춘 보안 전문가의 수가 턱없이 부족하다. 기업들은 디바이스 취약점 분석에 많은 시간과 비용을 투입했지만 한정적인 자원량으로 보안점검 한계
레드햇, 2023 쿠버네티스 보안 현황 보고서 발표 38% “보안 투자 충분치 않아”, 67% “보안 이슈로 쿠버네티스 구축 지연 경험 有” ‘컨테이너’, ‘컨테이너 런타임’, ‘도커’, ‘오케스트레이션’. 최근 클라우드 환경이 하드웨어 중심 구조에서 벗어나는 것이 트렌드로 변모함에 따라, 중요성이 대두되는 ‘쿠버네티스’와 관련한 개념들이다. 쿠버네티스는 ‘컨테이너’ 과정을 거친 애플리케이션을 ‘오케스트레이션’하는 도구다. 여기서 컨테이너는 애플리케이션 및 환경을 패키징하고 통합해 안전하게 실행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오케스트레이션은 여러 서버에 걸친 애플리케이션 컨테이너 및 사용 환경 설정을 배포·관리·확장·구성·조정 등을 통해 자동화 관리하는 프로세스다. 다시 말해, 쿠버네티스는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할 때 수반되는 프로세스를 자동화하는 플랫폼이다. 해당 플랫폼은 최근 성장을 위한 필수 과정으로 여겨지는 디지털 전환(DX)의 이니셔티브로 자리 잡았다. 이에 쿠버네티스를 채택하는 기업이 늘어나면서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보안 위협과 그 방안이 산업의 새로운 과제로 급부상하고 있다. 레드햇은 전 세계 600명의 데브옵스(DevOps), 엔지니
FORTINET ACCELERATE 2023 KOREA 내 기자간담회 개최 보안 트렌드 분석·보안 분야 솔루션 제시 코로나19 팬데믹은 기업 보안 측면에서 커다란 변혁의 계기를 만들었다. 그 중심에는 시간·공간에 제약을 두지 않는 근무 형태인 하이브리드 워크가 있다. 하이브리드 워크는 비즈니스 미래로 평가받고 있어, 기업은 하나 둘 해당 정책을 도입하고 있다. 포티넷이 이달 23일 FORTINET ACCELERATE 2023 KOREA를 통해 보안 운영 측면에서 보안 트렌드를 분석하고, 해당 배경에서의 솔루션을 제시했다. 포티넷과 IDC가 아태지역 9개 국가 사이버 보안 리더를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에 따르면, 국내 응답자 74%가 하이브리드 및 완전 원격 근무 정책을 도입하고 있다고 답했다. 또 응답자 44%는 절반 이상의 직원이 하이브리드 워크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에 포티넷은 해당 트렌드가 보안 침해 위험성과 복잡성을 증대시켜 보안 강화 방안이 강구돼야 하며, 이는 각 기업 IT 보안팀에 업무 부담을 가중시킬 것이라 우려했다. 기업 보안 측면에서 업무 시 미관리 상태의 디바이스를 활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는 상황을 꼬집은 것으로 보인다. 미관리 디바이스는
[첨단 헬로티] 클라우드 기반으로 고객 웹사이트 내 악성 행위 여부를 가상환경에서 동적 분석 최근 온라인 광고를 악용해 불특정 다수에게 악성코드를 유포하는 ‘멀버타이징(Malvertising)’ 공격 사례가 지속 발생하는 가운데, 안랩이 웹사이트에 대한 전문적인 보안 관리를 제공하는 신규 서비스를 내놓았다. 안랩(대표 권치중) 서비스사업부는 고객 웹사이트에 대해 ‘멀버타이징’ 등과 같은 보안위협에 실시간 대응하고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 스키퍼(SITE Skipper)’를 출시했다. 안랩에 따르면, ‘사이트 스키퍼’는 고객 웹사이트에 대해 ▲웹사이트 실시간 보안 모니터링 ▲웹사이트 보안위협 차단 및 알림 ▲가상화 기반 악성코드 유포 행위 점검 ▲실시간/일일 모니터링 보고서 등 전문적인 보안 서비스를 ‘SECaaS(Security as a Service)’ 형태로 제공하는 서비스다. SECaaS(Security as a Service)는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전문화된 보안을 On-Demand 서비스 방식으로 제공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특히 안랩 &l
[첨단 헬로티] 웹 보안 서비스를 클라우드 기반 ‘SECaaS(Security as a Service)’ 형태로 제공 안랩(대표 권치중)이 클라우드 기반으로 웹 보안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웹 방화벽 보안관제 서비스 ‘웹가드(WebGuard)’를 출시했다. 안랩 ‘웹가드’는 ▲웹 방화벽 운영 및 실시간 모니터링 ▲웹 기반 보안위협 차단 및 분석 ▲신규/긴급 취약점 대응 ▲차단 및 탐지 현황 월간 보고서 등 전문적인 웹 보안 서비스를 ‘SECaaS(Security as a Service)’ 형태로 제공하는 서비스라고 한다. SECaaS(Security as a Service)란,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전문화된 보안을 On-Demand 서비스 방식으로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안랩에 따르면, ‘웹가드’는 안랩의 전문적인 보안 서비스를 클라우드 기반으로 고객사에 제공한다. 따라서 이용 고객은 별도의 물리적 웹방화벽 구매 및 설치 없이 안랩의 전문적인 웹방화벽 보안관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서비스 이용료 또한 월과금 형태로 선택한 상품을 사
4차 산업혁명과 ICBM 등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증가 … 분야별 특화된 보안관제서비스 필수! 전통적인 보안시장의 경우 각종 보안사고에 따른 위협의 증가로 보안시장이 성장했다면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보안 위협만으로 보안시장을 지속 성장시키기는 힘든 일이다. 첨단 ICT 분야인 ICBM(사물인터넷, 클라우드, 빅데이터, 모바일) 등과 결합해 새로운 신(新)시장으로 가파른 성장이 전망된다. 클라우드 컴퓨팅 전문기업 이노그리드(www.innogrid.com)는 자사 클라우드잇(퍼블릭 & 프라이빗) 서비스의 보안 강화를 위해 정보보안 전문 업체 SK인포섹(www.skinfosec.com)과 클라우드 기반 보안·관제 서비스(SECaaS, SECurity as a Service) 관련 업무 제휴를 맺었다. 이번 SK인포섹과의 사업 제휴는 클라우드잇(Cloudit) 서비스의 정보보안을 한층 강화시키는 한편, 하반기 공공시장에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와 프라이빗 클라우드 솔루션 공급 시 다양한 환경에 최적화된 보안관제서비스를 SK인포섹과 함께 클라우드 기반으로 공동 사업을 펼친다. 이노그리드는 이를 위해 자사의 퍼블릭&프라이빗 클라우
[헬로티] 다우기술은 12월 21일, 자체 개발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선보이기 위해 ‘다우클라우드데이(DAOU Cloud Day)’ 세미나를 개최한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협업, 보안, 그리고 클라우드’라는 주제로 클라우드 인프라서비스(IaaS)부터 소프트웨어서비스(SaaS), 보안서비스(SECaaS)를 공개할 예정이다. 먼저 SaaS 관련 세션에서는 다우기술이 2014년 3월 런칭한 그룹웨어 다우오피스를 소개한다. 기업에서 필요한 메일부터 전자결재 및 각종 협업 기능을 PC뿐만 아니라 모바일에서도 그대로 사용하도록 해 주는 이 제품은 8월 클라우드 제품을 신규 런칭한 이후 단기간에 100여 개가 넘는 유료 고객을 확보하며 순항 중이다. 미나에서는 다우오피스 클라우드의 소개뿐 아니라 클라우드에서의 다양한 장점, 그리고 제품 활용 방법에 대한 자세한 소개가 이어질 계획이다. 뿐만 아니라 국내 메일 보안 솔루션 분야에서 독보적인 행보를 보여 온 테라스메일시큐리티(TERRACEMAIL Security)의 변화도 눈여겨볼 만하다. 테라스메일시큐리티는 올해 3월에 출시되어 150개 고객사를 신규 확보하고 있으며 기존 스팸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