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C 제어기·신규 로봇 2종’ 현장 시연으로 베트남 제조업계 주목 동남아 시장 진출 가속화, 현지 협력사와 글로벌 네트워크 강화 산업 자동화 전문기업 아진엑스텍이 지난 11월 5일부터 7일까지 베트남 박닌에서 열린 ‘VIAF 2025’에 참가해 동남아 스마트 제조 시장의 본격 진입을 알렸다. 이번 전시에서 아진엑스텍은 최신 제어기 ‘iPC 시리즈’와 함께 새롭게 선보인 SCARA 및 수직다관절 로봇 2종을 현장 시연하며 현지 제조업계 관계자들의 관심을 집중시켰다. 고속·정밀 조립 및 다품종 소량생산 환경에 최적화된 제어 성능은 베트남 산업 현장의 자동화 수요와 맞닿으며 높은 평가를 받았다. 전시 부스에서는 DC Servo, AC Servo 등 다양한 서보 라인업도 함께 전시되어 아진엑스텍의 로봇 구동 기술력과 제어 솔루션의 통합 경쟁력을 입증했다. 특히, 현지 방문객들에게 공개된 ‘Gen1~Gen6 로드맵’은 회사의 30년 기술 진화를 한눈에 보여주는 핵심 콘텐츠로 주목받았다. 이 로드맵에는 모션칩과 보드부터 일본 필드버스 기반 제품, EtherCAT 보드, iPC 제어기, 소프트웨어 솔루션 ‘RemoteManager’, 그리고 최신 로봇·서보 제품군까지
엑트엔지니어링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스카라(SCARA)로봇, 다관절로봇, 산업용로봇, 그리퍼 등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엑트엔지니어링인 전시한 도시바머신(Toshiba Machine)의 수직다관절로봇 TVL 시리즈는 컴팩트한 공간에서 조립 및 픽 앤 플레이스 애플리케이션의 높은 생산성을 자랑한다. TVL500의 경우 표준 사이클 시간은 0.4초 미만이며 팔길이는 500mm이다. 스카라로봇 THL 시리즈는 기존 제품 대비 50% 이상의 경량화를 실현했으며, 전력 용량의 최대 70% 감소시킨 컴팩트하고 친환경적인 제품이다. 가반하중은 시리즈에 따라 2 ~ 10Kg로 나눠진다. 엑트엔지니어링은 자동화솔루션 전문기업으로, 도시바의 스카라 로봇, 수직다관절 로봇, 로봇 컨트롤러를 주로 공급하고 있다. 또한 LS메가피온의 서보드라이브, 서보모터, 로타리인코더, 산업용로봇 등도 공급한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엑트엔지니어링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Factory+AutomationWorld 2021)’에서 산업 자동화를 이끄는 SCARA(스카라)로봇과 수직다관절로봇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액트엔지니어링이 이번에 선보인 Toshiba Machine의 글로벌 전략 SCARA 로봇은 저비용, 경량 및 에너지 절약 개념으로 개발됐다. 스카라 로봇 THL 시리즈는 팔 길이가 500~700mm이다. 환경친화적인 스카라 로봇은 시리즈의 다른 로봇보다 최대 50%까지 무게를 줄이고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수직다관절로봇은 TVL 시리즈는 컴팩트한 공간에서 조립 및 픽 앤 플레이스 애플리케이션의 높은 생산성을 자랑한다. 표준 사이클 시간은 0.4초 미만이며 팔길이는 500mm의 제품이다. 액트엔지니어링은 자동화솔루션 개발 전문 회사로 Servo, CNC, Motion Controller 등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더욱 전문적인 자동화솔루션을 개발함으로써 고객에게 양질의 기술력과 서비스를
[첨단 헬로티] 로봇앤드디자인은 1월 31일(수)부터 3월 2일(금)까지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세미콘 코리아 2018’에 참가해 산업용웨이퍼 이송용 로봇, SCARA 타입 로봇, Flip 로봇 등 다양한 산업용 자동화 로봇을 대거 선보였다. 로봇앤드디자인은 20년간의 연구와 경험을 통해 55종 이상의 로봇을 개발 및 제조하고 있으며 이를 국내외 기업 OEM, ODM 형식으로 공급하고 있다. 주요 분야는 반도체 제조장비용 로봇 및 모듈, 디스플레이 제조장비, 첨단 로봇, 바이오 엔지니어링 및 연구실 자동화용 장비이며 LED용 로봇 및 솔라셀용 장비 개발에도 힘쓰고 있다. 한편 ‘세미콘 코리아 2018’은 한국 반도체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에 힘입어 국내 최대 규모로 진행된다. 4만 명 이상의 반도체 전문 엔지니어와 국내외 반도체 리더들이 한 자리에 모이는 반도체 산업 글로벌 축제 ‘세미콘 코리아’는 산업 발전의 촉매제 역할뿐 아니라 비즈니스의 실질적인 장으로 자리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