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MI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이번 전시회에서 PMI는 볼스크류, 리니어 가이드웨이, 액추에이터등의 제품을 소개했다. 이 가운데 볼스크류 신제품 S·V 시리즈는 고강성·내모성 강화된 복합재질의 회로를 사용해 강구 운행시에 소리가 작고 부드럽다. 접선설계의 회전회로로 강구가 유입할 때 충격이 대폭 줄어들며 너트 운행 시에 진동이 줄어들고 안정적이다. 1990년에 설립된 PMI(PRECISION MOTION INDUSTRIES) 그룹은 볼스크류, 정밀 볼스크류 스플라인, 선형 가이드웨이, 볼 스플라인 및 액추에이터를 제조하고 있다. 주로 공작기계, 방전 기계, 절삭 와이어 기계, 플라스틱 사출 기계, 반도체 장비, 정밀 배향 장비 및 기타 장비와 기계에 적용된다. 한편, AW 2025는 국제공장자동화전(ai
PMI, 생성형 AI 도입 효과 보고서 발표 PMI(Project Management Institute)가 생성형 AI 도입 효과 보고서를 발표하고 생성형 AI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전문가들이 이 기술을 어떻게 수용하고 구체적인 성과를 달성했는지를 공개했다. PMI는 또한 보고서를 통해 이들이 생성형 AI 도입에 어떤 역할을 하고 있으며 비즈니스 혁신을 촉진하기 위해 어떻게 경험을 공유하는지 소개했다. 프로젝트 관리에 생성형 AI를 도입한 ‘선도자’의 이점을 다룬 이번 리포트는 전 세계 프로젝트 관리 전문가 5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작성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생성형 AI를 도입한 조직에서 프로젝트 관리 전문가들은 생성형 AI를 더욱 활발하게 사용함으로써 혁신적이고 긍정적인 성과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성형 AI를 적극 사용하는 프로젝트 전문가(개척자)는 도입 초기 단계의 전문가(탐색자)와 비교했을 때 프로젝트 범위, 일정, 비용 및 품질 관리 등 프로젝트 관리의 주요 영역에서 많은 이점을 누리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생성형 AI를 보다 광범위하게 활용해 생산성, 문제 해결, 프로젝트 작업 효율성 등의 측면에서 주목할 만한 성과를
‘2024 글로벌 프로젝트 관리 직무 동향 보고서’ 발표 PMI(Project Management Institute)가 전 세계 프로젝트 관리 직무의 최신 트렌드와 인사이트를 담은 ‘2024 글로벌 프로젝트 관리 직무 동향 보고서(Global Project Management Job Trends 2024)’를 20일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AI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기업들이 AI 주도형 혁신을 추구하고 AI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PMI가 2022년부터 매년 발간하는 글로벌 프로젝트 관리 직무 동향 보고서는 경제 및 고용 전망과 산업과 지역을 대표하는 다양한 프로젝트 전문가와의 인터뷰를 기반으로 전 세계 프로젝트 관리 직업군의 동향을 밝히고, 산업 변화에 따라 직업군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탐색한다. 이번 보고서는 글로벌 및 여러 지역의 150개 이상의 경제 및 고용 전망, 프로젝트 활동 전망, 뉴스 기사를 바탕으로 작성됐다. 또한 전 세계 15개국에서 활동하는 25명의 프로젝트 관리 전문가와의 인터뷰를 반영해 자료의 신뢰도를 더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경기 회복이 더디지만, 공공 및 민간 기관들이 건설부
5일 원/달러 환율은 위안화 약세에 연동해 상승 마감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전날보다 10.8원 상승한 1330.60원에 장을 마감했다. 환율은 전날보다 0.3원 내린 1319.5원에 개장했으나 상승세로 전환해 1330원대까지 올랐다. 중국 매체 차이신과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글로벌에 따르면 중국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51.8로 전월(54.1) 대비 2.3 하락해 8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중국 서비스업 PMI 발표 이후 역외 위안/달러 환율은 상승폭을 확대해 7.2905위안에 거래되기도 했다. 또 이날 오전 중국 인민은행은 위안/달러 기준환율을 전장 대비 0.0003위안 내린 7.1783위안에 고시했다. 아시아 통화인 위안화에 연동해 원화가 약세를 보이면서 원/달러 환율이 상승세를 보였다. 같은 시간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05.32원이다. 전날 오후 3시 30분 기준가(903.01원)보다 2.31원 상승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