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 시장이 3분기 연속 전년 동기 대비 성장세를 보였다. 가트너가 발표한 예비조사에 따르면 2024년 2분기 전 세계 PC 출하량이 총 6060만 대를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1.9% 증가했다. 2024년 2분기 상위 6개 공급업체 순위는 변동이 없었으며, 델을 제외한 모든 업체가 전년 동기 대비 성장세였다. 미카코 키타가와 가트너 디렉터 애널리스트는 "전년 동기 대비 완만한 성장률과 안정된 전분기 대비 성장률은 시장이 회복세로 접어들고 있음을 의미한다"며 "지난 분기 대비 7.8%의 성장률을 기록한 PC 재고도 평균 수준으로 회복돼 공급망에도 큰 문제가 없다"고 전했다. 덧붙여 주요 플랫폼 업데이트 예정으로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을 전망했다. 한편, 미국 PC 시장은 2024년 2분기에 1800만 대 이상의 PC가 출하돼 전년 동기 대비 3.4% 성장률을 기록했다. 이는 2022년 3분기 이후 가장 높은 출하량이다. HP는 출하량 기준 미국 PC 시장에서 27%의 시장 점유율로 1위를 유지했고, 델이 25.2%로 뒤를 이었다. 유럽 중동 아프리카(EMEA) 지역 PC 시장은 3분기 연속 성장세를 보여 전년 동기 대비 4.8% 성장률을 기록했다. 반면, 전
레노버, 2분기 출하량 1위 기록...HP·DELL·애플 등 뒤따라 전년 대비 출하량 성장률은 –0.3%로 애플 1위 시장조사기관 가트너가 올해 2분기 전 세계 PC 출하량 예비조사 결과에 대해 총 5965만 대가 PC가 출하됐고,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6.6% 감소한 수치라고 발표했다. 브랜드별로 보면, 레노버가 시장점유율 24%로 1위를 기록했고, HP·DELL·애플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레노버 올 2분기 출하량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했지만, 전 분기에 대비해서는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2위 HP는 그동안 지속됐던 두 자릿수 하락세를 끝마쳤고, DELL은 대부분 주요 지역에서 출하량이 감소해 다섯 분기 연속 하락세를 지속하는 중이다. 지역 측면에서는 미국 PC 시장이 8.6%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고, 가트너는 이에 대해 중소기업 구매자 우려 완화로 인한 PC 수요 증가가 증가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소비자 PC 수요는 여전히 약세라고 지적했다. 유럽·중동·아프리카 PC 시장은 전년 동기 대비 14.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6분기 연속 내리막을 기록 중이다. 정치적 불안·인플레이션 및 금리 인상 등이 주요 요소로 분석됐다. 아태지역은 전년 동기 대
과거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은 산업 작업 현장 내 계산기 역할부터 고성능 PC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개념으로 활동했다. 상대적으로 많은 데이터를 다루거나 연산하는 등 특수 목적으로 기업이나 단체 등에서 워크스테이션을 활용했다. 그러다 21세기에 들어 개인용 컴퓨터(PC) 보급률이 증가하고, PC 하드웨어(HW) 성능이 급격하게 상승하면서 워크스테이션 영역의 진입 장벽은 낮아졌다. 이와 더불어 높은 성능을 요구하는 소프트웨어 및 인프라가 늘어난 것도 워크스테이션의 정의 변화를 부른 이유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이에 현재는 워크스테이션과 PC 간 정의 구분은 의미가 축소되고 있다. 워크스테이션은 이제 ‘고사양 PC’ 정도로 정의해도 무방한 수준으로 과거에 비해 생태계가 변화했다. 4차 산업혁명으로부터 촉발된 디지털 대전환 시대를 맞아 워크스테이션의 입지는 점차 넓어지고 있다. 시장분석기관 IDC에 따르면 2022년 세계 워크스테이션 출하량은 770만 대에 이르러 750만 대를 기록한 전년 기록을 1년 만에 경신했다. 또 2021년 3분기부터 2022년 2분기까지 네 분기 연속 220만 대 이상의 출하량을 기록하며 워크스테이션 시장의 부흥기를 알렸다고
업무용 모니터 1종 및 게이밍 모니터 라인업 2종 공개 한국 델 테크놀로지스(이하 델)가 업무 및 게이밍 작업 시 활용 가능한 모니터 3종을 출시했다. 델이 발표한 모니터 3종은 ‘델 울트라샤프 38 허브 모니터(U3824DW)’, ‘에일리언웨어 게이밍 모니터(AW2724HF)’, ‘게이밍 모니터(G2724D)’ 등이다. U3824DW는 크리에이티브 및 사무 등 작업용 37.5인치 커브드 모니터로, sRGB 기술과 2000:1 명암비를 담아 정확한 색상 표현이 가능한 기기로 평가받는다. 특히 해당 모니터에 적용된 Auto KVM 기능은 PC 두 대의 화면을 하나의 U3824DW로 출력 및 제어가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이어 함께 출시한 AW2724HF와 G2724D 두 종은 27인치형 게이밍 모니터 제품군이다. AW2724HF는 RGB를 비롯해 360Hz 주사율을 통해 화면 표현 및 응답 속도에서 게이밍에 최적화된 성능을 발휘한다. 델은 해당 모델에 ‘컴포트뷰 플러스(ComfortView Plus)’ 기술이 탑재돼 장시간 화면 품질 저하 현상이 거의 없을 것이라고 전했다. 또 G2724D는 QHD 디스플레이와 VESA DisplayHDR 400 등을 장착해
英 럭셔리 자동차 브랜드 ‘애스턴 마틴’과 협업한 워크스테이션 3종 공개 신규식 한국레노버 대표 “고객의 디지털 전환 돕는 최적의 솔루션” 4차 산업혁명이 도래하고,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이 화두로 급부상하고 있는 시대 배경에서 완성 PC 업계도 트렌드에 발맞추기 위해 빠르게 대응하는 중이다. 이 지각변동에서 가장 주목할 점은 ‘데이터양’이다. IBM에 따르면 현재 하루에 전 세계에서 생성되는 데이터양은 약 2.3 EB(약 25억 GB)로 추산된다. 또 미국 시장조사기관 IDC는 2025년 하루 전 세계 생성 데이터양으로 약 175 ZB(약 192조 GB)가 될 것이라 전망했다. IDC 전망대로라면, 128 GB 태블릿 PC를 쌓아 올리는 과정에서 지구와 달을 29번 왕복할 수 있는 정도의 양이다. 이렇게 기하급수적으로 늘어가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PC 시장에서도 개인용 컴퓨터를 넘어 고성능 PC 형태의 워크스테이션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레노버는 글로벌 워크스테이션 시장 1, 2위를 다투는 HP(HP Inc.)와 Dell(Dell Technologies Inc.)을 추격하기 위해 이번에 차세대 워크스테이션 3종을 출시하며
데스크톱 탑재용 파워 신모델 3종 출시 MSI가 규격 표준 ATX 3.0이 적용된 데스크톱 전용 전원 공급 장치(파워) 신모델 라인업 3종을 지난 16일 발표했다. PC 기술 수준이 고도화됨에 따라, CPU·GPU 등 PC 주요 부품 또한 고전력·고출력 전원 공급 장치를 요구하고 있다. 이에 대응해 MSI는 MSI MAG GL 시리즈 전격출력별 라인업 MAG A850GL PCIE5·MAG A750GL PCIE5·A650GL 등 3종을 출시했다. 해당 파워는 파워 표준 규격 ATX 3.0이 적용됐고, DC to DC 단일 레일 모듈식 구조로 설계됐다. 미국 에너지 효율 인증기관인 Ecos가 발급하는 80Plus 인증에서 Gold 등급을 획득해 에너지 효율 측면에서도 비교적 높은 수준의 성능을 발휘할 것이라 기대받고 있다. 특히, GPU에 설치되는 듀얼 컬러 16핀 케이블 색상을 기존 검정색에서 노란색으로 변경해 PC 조립 작업 시 실수를 경감하는 효과를 도모했다. 이는 커스텀 PC 시장이 지속 성장하고 있는 상황에서 일반 PC 조립 유저에게 희소식이 될 전망이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신제품 및 기존 라인업, 한국 시장 공략 비전 소개 에이서가 지난 3일 서울 장충동 소재 앰배서더 서울 풀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신제품 및 한국 시장 진출에 대한 비전을 소개했다. 에이서는 최근 웨인 니엔(Wayne Nien) 前 아태지역 매니저를 한국법인 대표로 선임하고 한국 시장 진출에 시동을 걸었다. 이에 에이서는 한국에서 20~30대 MZ 세대를 타깃으로 시장을 공략하겠다는 전략과 맞닿은 맥락으로 니엔 대표를 선임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니엔 대표가 발표자로 나서, 에이서가 최근 공식 출시를 밝힌 스위프트 고 16을 비롯해 기존 프레데터 및 니트로 라인업 등을 소개했다. 더불어 이번에 법인을 설립하고 한국 시장을 본격 진출하는 에이서의 전략 및 비전에 대한 설명도 이었다. 에이서는 최근 한성컴퓨터와 국내 고객서비스 공식 파트너 계약 및 주요 제품 공급에 대한 총판 계약을 체결함으로써 한국 시장 진출의 포문을 열었다. 니엔 신임 대표는 “2019년부터 한국법인 설립 계획을 구상했지만,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이제야 계획이 실현됐다”며 “이번 한국법인 설립을 계기로, 그동안 한국 시장에서 약점이었던 서비스 부분을 강화해 고객 신뢰를 회복하겠다”
반도체 시장이 2020년 코로나19 이후 8분기 동안 연속적 수익 성장을 이뤘지만, 지난 두 분기 동안은 위축한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옴디아의 반도체 경쟁력 평가 도구(Competitive Landscape Tool, CLT)에 따르면 반도체 시장은 2020년 초에 시작된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 이례적으로 연속적인 수익 성장을 보였다. 이 기간에는 8분기 연속 수익 성장을 기록했다. 하지만 지난 두 분기 동안 시장이 위축되기 시작했다. 2022년 3분기 반도체 수익은 1470억 달러로, 이전 분기의 1580억 달러보다 7% 감소했다. 옴디아의 수석 연구원 클리프 림바흐는 "시장 하락의 원인은 일정하지 않으며 시장의 여러 부분들이 각기 다른 시기의 시장 약세의 원인을 제공했다"며 "2022년 2분기 하락은 PC 시장의 약세와 특히 17% 하락한 인텔로 인한 것이었고, 가장 최근의 하락 원인은 메모리 시장의 약세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메모리 시장의 수익은 고객의 재고 조정과 함께 데이터 센터, PC 및 모바일 수요가 감소하며 직전 분기 대비 증감률(QoQ)이 27% 감소했다"고 밝혔다. 옴디아는 기록적 상승세에 이어, 반도체 시장이 진정되고 소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