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구축 사업(K-AI 국가대표 프로젝트)’ 발탁 엔씨소프트 인공지능(AI) 기술 자회사 ‘NC AI’ 컨소시엄 일원으로 활동 예고 산업 특화 AI 데이터 가공 역할을 맡아 국가 AI 주권 확보 ‘정조준’ 인터엑스가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구축 사업(이하 K-AI 국가대표 프로젝트)’에서 국내 인공지능(AI) 경쟁력 고도화에 기여한다. 이번 프로젝트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하는 사업으로, 국내 AI 기업의 기술력을 결집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인터엑스는 엔씨소프트 AI 기술 자회사 ‘NC AI’가 이끄는 그랜드 컨소시엄의 핵심 일원으로, 산업 AI로의 전환을 통해 국내 기간 산업 전반의 혁신을 목표로 하는 국가적 전략 사업에 동참하게 됐다. 회사는 이 프로젝트에서 산업 특화 AI를 위한 데이터 확보 및 가공에 집중한다. 이는 다양한 원본 데이터(Raw Data)를 AI가 즉시 학습하고, 정확도를 높이는 고품질의 ‘AI 학습용 데이터(AI-Ready Data)’로 변환하는 작업이다. 사측은 AI의 성능을 좌우하는 가장 근본적인 과정이라고 강조했다. 이 과정에서 두 가지 독보적
14B, 1.7B, 1.7B OCR, 임베딩 모델 등 총 4종 공개 NC AI가 멀티모달 인공지능(AI) 기술력의 집약체인 ‘VARCO-VISION 2.0’ 모델 4종을 공개하며 국내 AI 기술의 글로벌 경쟁력을 입증했다. 공개된 모델은 14B, 1.7B, 1.7B OCR, 임베딩 모델 등 총 4종으로 구성되며, 이미지와 텍스트, 비디오 정보를 동시에 이해하고 처리하는 고성능 비전-언어모델(VLM)이다. 이번 발표의 핵심은 140억 파라미터(14B) 규모의 멀티모달 모델로, NC AI는 해당 모델이 영문 이미지, 한국어 이미지 이해, OCR 분야에서 InternVL3, Ovis2, Qwen2.5-VL 등 글로벌 오픈소스 최고 성능 모델을 능가했다고 밝혔다. 또한 중소형 환경에서도 사용 가능한 1.7B 경량 모델과 OCR 특화 모델, 텍스트-이미지-비디오 간 의미적 유사도를 계산하는 임베딩 모델도 함께 선보였다. VARCO-VISION 2.0은 복잡한 문서, 표, 차트 등을 동시에 분석할 수 있는 다중 이미지 처리 역량과 한국어 중심의 텍스트 생성 능력, 한국 문화 이해도를 향상시킨 것이 특징이다. 특히, AnyRes 방식으로 다양한 해상도를 손실 없이 처리할
NC AI가 게임 개발자들을 위한 실전형 AI 기술을 대거 공개하며, 생성형 AI 기반 게임 개발 생태계 확산에 본격 나섰다. NC AI는 6월 11일 판교에서 열린 ‘AWS for Games AI Roadshow’에 참여해 3D 생성, 애니메이션 자동화, 사운드 생성 등 게임에 즉시 적용 가능한 최신 기술을 시연하고, AI의 산업별 확장 가능성도 제시했다. 이번 행사는 국내에서 처음 열린 게임 AI·머신러닝 전문 포럼으로, 약 300명의 게임 개발자와 업계 관계자가 참석했다. NC AI는 게임 AI 분야 대표 기업으로서 키노트 연설과 현장 기술 시연을 통해 눈길을 끌었다. NC AI 이연수 대표는 기조 연설에서 “AI는 이제 게임 산업에서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강조하며, 오랜 연구개발과 실전 경험을 기반으로 게임 개발의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높이고 창작 방식의 패러다임 전환을 이끌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텍스트나 2D 이미지 입력만으로 고품질 3D 자산을 생성하는 ‘바르코 3D’를 비롯해, 캐릭터 애니메이션 자동화, 음성·사운드 생성AI 등 핵심 기술을 소개해 개발자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이날 행사장에서는 NC AI의 기술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부스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