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앤에프 ‘DIFA 2025’ 부스 투시도 (출처 : 엘앤에프) 엘앤에프가 오는 22일부터 25일까지 대구 엑스코(EXCO)에서 열리는 ‘2025 대한민국 미래모빌리티엑스포’(DIFA 2025)에 참가해 NCM·LFP 양극재 기술력과 지속 가능한 배터리 산업 비전을 선보인다. 올해로 9회째를 맞은 DIFA 2025는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대구광역시가 공동 주최하는 국내 대표 미래 모빌리티 전시회로, 완성차·배터리·부품·인프라 등 다양한 기업이 참여해 최신 기술과 산업 트렌드를 소개한다. 엘앤에프는 이번 전시를 통해 글로벌 고객, 투자자, 연구기관, 대학생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직접 소통하며 미래 배터리 생태계 비전을 공유할 계획이다. 엘앤에프는 엑스코 동관에서 ‘리딩 더 퓨처(Leading the Future)’를 주제로 참가하며, 전시 부스는 ▲Innovating the Future(양극재 개발 현황) ▲Sustainable Future(순환경제 비전) ▲Experiencing the Future(체험형 전시) 세 가지 영역으로 구성된다. ‘Innovating the Future’ 존에서는 엘앤에프의 핵심 양극재 기술이 집중 조명된다. 회사는 세계
엘앤에프가 참여한 합작사 LS-엘앤에프 배터리솔루션(LLBS)이 전북 군산 새만금 국가산업단지에 전구체 공장을 준공했다. 이번 준공으로 엘앤에프는 양극재 핵심 원료인 전구체의 안정적인 국내 공급망을 확보하게 됐다. LLBS는 엘앤에프가 지난 2023년 LS그룹 지주사 LS와 공동 설립한 합작사로, 총 1조 원을 투자해 배터리 핵심 소재인 전구체 생산에 나설 계획이다. 새만금 공장은 약 4만 평 부지에 건설됐으며, 약 1000여 명의 고용 창출 효과로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LLBS는 준공을 계기로 전구체 시험 생산에 돌입해 2026년 1단계 연 2만 톤, 2027년 2단계 연 4만 톤 생산능력을 갖출 계획이다. 이후 2029년까지 전기차 130만 대에 필요한 연 12만 톤 생산체제를 구축한다는 목표다. 엘앤에프는 LLBS가 생산하는 전구체를 활용해 하이니켈 양극재를 생산, 글로벌 배터리 제조사들에 공급한다. 특히 LS MnM이 공급하는 황산니켈을 LLBS가 전구체로 전환하고, 이를 다시 엘앤에프가 양극재로 생산·공급함으로써 ‘황산니켈→전구체→양극재’로 이어지는 밸류체인을 순수 국내 기술로 완성하게 된다. 허제홍 엘앤에프 이사회의장은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