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하나·KB카드, 22일부터 앱 카드 상호연동 서비스 개시 신한카드, 하나카드, KB국민카드 이용자라면 3개 사의 간편결제 모바일 앱 중 하나만 설치하더라도 이들 3사 카드를 모두 등록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여신금융협회는 22일부터 신한·하나·KB카드를 시작으로 앱카드 상호연동 서비스가 운영된다고 21일 밝혔다. 앱카드 상호연동 서비스란 카드사 고객이 1개의 카드사 결제 앱만 설치하더라도 발급사 구분 없이 다양한 카드를 등록해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서비스다. 카드사들의 앱 연동 시도는 플랫폼 경쟁에서 밀리면 지급 결제시장에서 퇴출당한다는 위기의식에 따른 것이다. '○○페이' 등 이름을 가진 대부분의 간편결제 플랫폼은 일반적으로 발급사 구분 없이 다양한 카드를 등록해 사용할 수 있지만, 카드사들의 간편결제 앱은 자사 카드만 등록할 수 있다 보니 확장성에 한계가 있었다. 우선 22일부터 신한카드(신한플레이), 하나카드(원큐페이), KB카드(KB페이)의 간편결제 앱에 이들 3개 사 발급 카드를 모두 등록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기존 앱 설치자라면 앱을 업데이트해야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용범위는 오프라인 가맹점에 한정되며, 내년 하반기 중에는 온라
KB국민카드는 기존 자산관리 앱 '리브메이트'의 서비스를 'KB페이(KB Pay)'로 통합해 운영한다고 12일 밝혔다. KB페이는 리브메이트의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추가해 개인별 최적화된 금융서비스 경험을 하나의 앱에서 제공한다. KB카드는 '원 플랫폼' 전략에 따라 지난 6월부터 순차적으로 KB페이와 리브메이트 서비스의 통합 작업을 진행해왔다. 주요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고객 편의성을 중심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사용자 경험(UX)을 재구성한 KB페이 '자산' 탭에서 이용할 수 있다. KB페이는 앞으로 개인별 맞춤형 콘텐츠를 늘리고 개인 자산 및 소비패턴에 기반한 서비스 고도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KB국민카드 관계자는 "개인별 콘텐츠 제공, 자산관리와 금융상품 추천까지 이어지는 종합금융플랫폼을 KB페이에 구현할 것"이라고 말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