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영석 니어스랩 최고기술책임자(CTO), ‘2025 기계로봇산업 발전 유공자 포상식’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표창 직충돌형 고속 비행 드론 ‘카이든(KAiDEN)’ 책임자로서 기술력·산업 발전 공로 인정 인공지능(AI) 기반 표적 식별, 직접 충돌 등 기술 이식 “자율비행·AI 기술력으로 경쟁력↑” 니어스랩이 ‘2025 기계로봇산업 발전 유공자 포상식’에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표창의 영예를 안았다. 이번 포상식은 산업통상자원부 주최, 한국AI·로봇산업협회 주관으로 펼쳐진 행사다. 그동안 로봇 산업 발전에 이바지한 유공자의 기여점을 강조했다. 이는 같은 날 함께 열린 ‘제20회 국제로봇산업대전’의 부대행사로 진행됐다. 니어스랩은 이번 수상에 대해, 그동안 축적한 자율비행·인공지능(AI) 융합 기술력을 통해 실현된 성과라고 전했다. 국내 로봇 산업의 기술 자립과 경쟁력 강화에 기여한 공로를 정부가 공식적으로 인정했다는 평가도 함께 전했다. 이날 수상을 위해 단상에 선 정영석 니어스랩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직충돌형 고속 비행 드론 ‘카이든(KAiDEN)’ 개발·상용화를 총괄했다. 그는 높은 수준의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융합 기술을 구현해 국내 방위 로봇의 기술 자
헬싱키서 ‘니어스 익스피리언스 핀란드’ 열어...핀란드 군 당국 총출동해 시연 나토·우크라이나서도 관심 표명해 니어스랩이 핀란드 헬싱키에서 열린 ‘니어스 익스피리언스 핀란드(NearthXperience in Finland)’에서 자사 드론 기술을 여러 군 관계자에게 한데 소개했다. 니어스 익스피리언스는 니어스랩의 각종 드론 및 인공지능(AI) 기술을 선보이는 행사다. 이번 행사는 니어스랩 직충돌형 고속비행 드론 ‘카이든(KAiDEN)’을 처음으로 국외 채널을 통해 발표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국회, 경찰청, 육·해군 사령부, 병참사령부, 군사학교 등 핀란드 내 각 당국을 관계자가 참석해 카이든을 비롯한 니어스랩 드론 기술을 경험했다. 이 자리에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우크라이나 등 군 관계자도 참여해 니어스랩의 드론 기체에 관심을 보였다. 이틀간 이어진 니어스 익스피리언스 핀란드에서는 카이든과 자율비행 정찰드론 ‘에이든(AiDEN)’의 실제 가동 모습을 연출했다. 여기에 니어스랩 기술 역량 소개, 시판 공격·방어용 드론 정보 교류 등 세션이 진행됐다. 최재혁 니어스랩 대표는 “드론은 현대전에서 효과적인 수단으로 작용한다는 것이 각종 사례를 통해 증명됐다
드론 충돌 시험서 60km 고정익 드론 격추 연동 레이더 데이터 기반 추적부터 거리 계산, 충돌까지...실전 도입 가능성 끌어올려 니어스랩의 직충돌형 고속비행 드론 ‘카이든(KAiDEN)’이 드론 충돌 시험에서 60km 고정익 드론을 격추하는 모습을 연출했다. 카이든은 연동된 레이더에서 도출된 적대 드론의 이동 데이터를 받아 추적을 시작했다. 이어 사전에 설정된 요격 가능 구역에 해당 드론이 진입하자 곧장 충돌해 요격했다. 고정익 드론은 장시간 및 고고도 비행이 가능한 군 특화 비행기술로, 이번 장면은 카이든이 실제 군에서도 활약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는 사례로 평가된다. 카이든은 현재 통용되는 방공 레이더 시스템과 연동 가능하다. 이를 통해 적의 비행체를 선제적으로 격추할 수 있다. 사전에 요격 가능 구역을 설정한 후 기동하기 때문에 충돌 후 잔여물로 인한 지상 피해도 예방한다. 특히 비전 AI 기술을 통한 무인·자율 비행이 가능해, 레이더에 탐지된 드론 요격 관련 설정 이후 사용자 개입 없이 자동적으로 임무를 수행한다. 최재혁 니어스랩 대표는 “이번 비행 시험에서 고정익 드론을 격추한 것은 카이든의 성능을 입증한 장면”이라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카이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