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TT 도코모, Arm용 IAR 임베디드 워크벤치의 확장 가능한 개발 환경과 고급 컴파일러 기능 높이 평가 임베디드 개발용 소프트웨어 도구·서비스 공급회사인 IAR 시스템즈(IAR Systems)는 일본의 선도적 텔레콤 기업인 NTT 도코모(NTT DOCOMO)의 스마트 농업 지원 플랫폼 ‘팜 어시스트(Farm Assist)’ 개발에 완전한 개발 툴 체인 Arm용 IAR 임베디드 워크벤치(Embedded Workbench for Arm)가 활용됐다고 밝혔다. NTT 도코모의 팜 어시스트 서비스는 2019년 출시됐다. 농장에 설치된 센서에서 확보한 데이터는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기업 클라우드로 전송되며, 사용자는 스마트폰과 PC를 이용해 이들 데이터를 파악하면서 농장 상태를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다. 이 시스템은 사용자가 농장 작업을 매일 기록하고, 앞으로 생산 계획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해 다양한 농장 작업을 효율화할 뿐만 아니라 높은 생산성과 전략적인 농장 관리 구현에 기여할 수 있다. 이런 농업지원 플랫폼의 코드 품질은 NTT 도코모에 매우 중요한 요소인데, Arm용 IAR 임베디드 워크벤치는 코드 품질 보장에 필수적인 매우 빠른 컴파일 속도와 뛰어난 확인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사물인터넷(IoT) 보안을 위한 첨단 플랫폼을 제공하는 IAR 시스템즈 그룹(IAR Systems Group)의 자회사인 시큐어씽즈(Secure Thingz)가 임베디드 개발용 소프트웨어 도구 및 서비스 공급회사인 IAR 시스템즈와 소비자 IoT 보안 지원 선언(Consumer IoT Security Statement of Support)에 대한 적극적인 지지를 표명했다. 보안상 안전하지 않은 소비자 IoT 기기로 인한 위협이 점점 더 증가하면서 국제소비자기구(Consumer International), 사이버보안 기술 협정(Cybersecurity Tech Accord), 아이엠더캐벌리(I Am The Cavalry)와 같은 단체들이 전 세계 400여 개 단체를 대표해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WEF)의 커넥티드 월드 협의회(Council on the Connected World)를 통해 한자리에 모였다. 현재 수십억 대의 연결된 소비자 기기가 출시돼 있고, 곧 수십억 대의 제품들이 추가로 출시될 예정이기 때문에 차세대 소비자 제품에는 IoT 보안을 위한 강력한 글로벌 기준선이 요구된다. IAR 시스템즈와
1. 멀티코어(Multicore)의 형태 SIMD(Single Instruction Multiple Data : 단일 명령 다중 데이터 처리)과 멀티코어 SIMD는 병렬 컴퓨팅의 한 종류로 하나의 명령어로 여러 개의 데이터를 동시에 계산하는 방식이다. 마치 한 사람의 작업자가 여러 개의 삽을 이용하여 같은 작업을 하는 것으로 비유될 수 있다. 주로 사용되는 분야는 벡터 및 배열 처리기를 많이 사용하는 멀티미디어 분야다. 이것은 이미지 처리 등에 적합하지만 한 종류의 계산만 가능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응용 프로그램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에 반해 멀티코어 처리 방식은 하나의 칩에 복수의 코어를 탑재해 성능 향상을 도모하는 방법으로 각 코어는 개별적으로 동작하고 다른 코어와 협업 프로세싱도 가능하므로 다방면에 사용이 가능하다. 호모지니어스(Homogeneous : 동종의) 멀티코어 호모지니어스 멀티코어는 동종의 복수개의 코어를 사용한 경우를 말한다. 각 코어는 로컬메모리, 캐시, 스택 및 레지스터를 개별적으로 가지고 있고 메인메모리, 주변장치, 인터럽트 컨트롤러 등을 공유할 수 있다. 주로 사용되는 목적은 응용 프로그램의 부하를 분산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헤테로지니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임베디드 개발용 소프트웨어 도구 및 서비스 공급회사인 IAR 시스템즈(IAR Systems)는 IAR 시스템즈 그룹(IAR Systems Group)의 자회사인 시큐어씽즈(Secure Thingz)와 STM32를 위한 컴플라이언스 스위트(Compliance Suite)를 발표했다. 컴플라이언스 스위트는 개발자와 기업이 신속한 애플리케이션 구축에 필요한 보안 개발 도구, 실무 지침 및 관련 지식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개발자들은 미국 사이버 보안 개선 법령(US Cyber Security Improvement Act, NISTIR 8259), 유럽 컨수머 IoT 보안 표준(the European Consumer IoT Security Standard) EN 303 645(ETSI), 영국과 호주의 13개 모범 사례, 인도의 컨수머 IoT 보안 시행 규칙(Indian Code of Practice for Securing Consumer Internet of Things, TEC21183) 등 보안 법규를 준수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다. 전 세계적으로 IoT 보안 및 개인 정보에 대한 새로운 법규들이 빠르게 도입되면서 이런 규정을
헬로티 서재창 기자 | 임베디드 개발용 소프트웨어 도구 및 서비스 공급회사인 IAR 시스템즈(IAR Systems)가 Arm을 위한 IAR 임베디드 워크벤치(IAR Embedded Workbench)가 지원하는 광범위한 마이크로컨트롤러(MCU) 제품군 목록에 NXP 반도체의 S32K3 MCU 제품군을 새롭게 추가한다고 밝혔다. S32K3 MCU는 점점 더 진화하는 차체 전자 장치, 배터리 관리, 구역(zone) 및 도메인 컨트롤러용으로 설계됐다. 툴이 지원할 수 있는 MCU 제품군이 이처럼 확장하면서 개발자는 애플리케이션 성능을 극대화하고, 높은 수준의 코드 품질을 유지하며, 자신의 차량용 설계에서 기능 안전 적합성을 달성하기가 좀 더 수월할 것이다. 오늘날 차량의 기능이 그 어느 때보다 풍부해지면서 자동차 임베디드 시스템은 점점 더 복잡해지고 있다. 이에 기업들은 워크플로의 효율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선택한 MCU의 기능을 극대화하는 개발 도구가 필요해졌다. Arm을 위한 IAR 임베디드 워크벤치는 강력한 최적화 및 포괄적인 디버깅 기능과 통합 코드 분석 도구를 제공한다. 또한 이 툴 체인은 기능 안전을 위한 국제 표준인 IEC 61508 및 자동차 표준
헬로티 서재창 기자 | IAR시스템즈 IIoT가 빠르게 발전하면서 스마트 엣지 디바이스 수요가 상당히 증가했다. 디바이스 측에서 계산을 수행할 수 있기에 IoT 어플리케이션에 지능형 네트워크 노드 역할을 수행해 환경 모니터링 요구 사항을 충족하고 어플리케이션 구성을 더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다. 지속 혁신 가능한 IAR 임베디드 워크벤치 어드밴텍은 IoT 지능형 시스템과 임베디드 플랫폼 업계의 글로벌 리더로 16년 이상 IAR 시스템즈의 고객사였다. 어드밴텍은 데이터 수집 I/O 모듈의 설계 및 제조에서 IoT 솔루션용 컴파일러 공급사를 찾고 있다. 어드밴텍은 초창기 8051MCU를 개발했을 때 뛰어난 기능 때문에 IAR 임베디드 워크벤치를 선택했다. IAR 임베디드 워크벤치는 다양한 MCU를 지원하므로 Arm 기반 MCU로 전환할 때 IAR 임베디드 워크벤치를 사용해 지속적인 혁신이 가능하다. 애덤 린(Adam Lin) 어드밴텍 IIoT 사업부 수석 R&D 매니저는 “길고 신중한 평가 끝에 마침내 두 가지 이유로 IAR 임베디드 워크벤치를 선택했다. 첫째, 주류 MCU에 대한 지원이 상당히 광범위하다. 옛 프로젝트도 매우 완벽하다. 어떤 제조업체의
[헬로티] 미래지향형 임베디드 개발을 위한 소프트웨어 툴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IAR 시스템즈(IAR SYSTEMS)는 IAR 임베디드 워크벤치(IAR Embedded Workbench) 개발 툴체인에 포함된 빌드 툴을 바탕으로 한 리눅스용 빌드 툴을 발표했다. 이번에 출시된 제품은 기존 빌드 툴의 최신 확장판으로, 르네사스(Renesas)에서 생산하는 저전력 RL78 마이크로컨트롤러(MCU)에 리눅스 기반 프레임워크를 구축하도록 지원한다. 사용자는 이 툴을 이용해 빌드 및 테스트 워크플로우를 간소화할 수 있다. 최근에 나온 임베디드 애플리케이션은 기존 애플리케이션보다 더 다양한 기능을 갖춰 보다 지능적이고 복잡하다. 따라서 우수한 확장성과 유연성을 동시에 갖춘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이 필요하다. 요즘 개발 업무는 자동화된 프로세스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개발부터 구축(빌드), 테스트 단계까지 일관된 품질이 보장돼야 한다. 개발자는 IAR 시스템즈의 리눅스용 빌드 툴을 이용해 프로젝트에 투자하는 시간을 비롯한 각종 자원을 최적화할 수 있고, 온갖 라이선스와 서버를 최적화된 방식으로 관리하고 이용할 수 있다. 또 이 툴은 CMake나 닌자(Ninja)를 비롯한 여러
[헬로티] RISC-V용 IAR 임베디드 워크벤치 기능 안전 에디션, TÜV SÜD 인증 획득 및 제품 수명 주기 동안 지원 보증 미래지향적 임베디드 개발을 위한 소프트웨어 툴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IAR 시스템즈(IAR Systems)는 자사의 RISC-V용 개발 툴체인이 TÜV SÜD 인증을 획득했다고 발표했다. RISC-V 용 IAR 임베디드 워크벤치(IAR Embedded Workbench for RISC-V)의 기능 안전 에디션은 기능 안전에 관한 국제 표준인 ‘IEC 61508’과 자동차 안전 관련 시스템에 적용되는 ‘ISO 26262’의 규정 요건에 따라, TÜV SÜD 인증을 획득했다. 이와 함께 이 인증은 의료용 소프트웨어와 의료기기 내 소프트웨어 개발과 관련해 제품 수명 요건을 규정한 국제 표준 ‘IEC 62304’와 유럽 철도 표준 ‘EN 50128’ 및 ‘EN 50657’을 모두 포괄한다. 또한 가전 기구용 표준 ‘IEC 60730, 기계 제어 시스템용 표준 ‘ISO 13849’ 및 ‘IEC 62061’, 프로세스 산업용 표준 ‘IEC 61511’, 농업 및 임업용 표준 ‘ISO 25119’도 모두 포괄한다. 기능 안전은 임베디드 시스템이
[헬로티] 기능 안전 인증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의 개발부터 구축, 테스트까지 지속적 통합 작업 흐름 간소화 미래지향적 임베디드 개발을 위한 소프트웨어 툴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IAR 시스템즈(IAR Systems)가 리눅스 기반 프레임워크 구축을 지원하는 자사의 빌드 툴이 TÜV SÜD로부터 기능 안전(functional safety) 개발에 대한 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이 인증은 Arm 프로세서 기반 리눅스 개발을 지원하는 리눅스용 IAR 빌드 툴(IAR Build Tools for Linux for Arm)에 적용되며 기능 안전에 관한 국제 표준인 ‘IEC 61508’과 자동차 안전 관련 시스템에 적용되는 ‘ISO 26262’의 규정 요건을 충족한다. 뿐만 아니라 이 인증은 의료 소프트웨어용 국제 표준인 ‘IEC 62304’, 가전 기구용 표준 ‘IEC 60730’, 기계 제어 시스템용 표준 ‘IEC 62061’, 프로세스 산업용 표준 ‘IEC 61511’, 농업 및 임업용 표준 ‘ISO 25119’, 유럽 철도 표준 ‘EN 50128’과 ‘EN 50657’을 모두 포괄한다. 리눅스용 IAR 빌드 툴을 활용하면 개발자는 프로젝트에 들이는 시간과 관련한
[첨단 헬로티] 디버깅 중 데이터 값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해 가장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UART를 이용해 데이터를 출력하고 외부에서 모니터링 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UART를 활용한 방법은 많은 리소스를 사용하며 디버깅을 포함한 코드실행 시간에 민감한 애플리케이션에는 적용시키기에 매우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설명하겠다. UART 활용 vs printf 일반적인 디버깅 정보 출력으로 UART를 가장 많이 사용한다. UART를 사용하게되면 MCU의 UART 기능, 통신 핀 등의 하드웨어와 제어를 위한 라이브러리/드라이버 코드 수행 등이 필요하다. 또 외부로 정보를 보낸 후 PC와 통신 연결을 위해 UART to USB 등의 컨버터를 사용한다[그림 1]. PC와 연결 이후에는 PC의 Terminal 프로그램으로 출력되는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기록한다. 그림 1. 이처럼 UART를 사용하는 경우 많은 리소스들이 사용되고 통신 속도 또한 제한적이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으로 첫번째, printf를 활용하는 방법이다. C/C++ runtime library에 포함돼 있는 printf를 IAR 임베디드 워크벤치(AR
[첨단 헬로티] “최근 소프트웨어 산업은 분석 테스팅에 집중하다가 최근에는 보안을 중요시하는 트렌드로 변화되고 있다. 즉, 만들어진 소프트웨어가 해킹 없이 안전하게 작동하는지에 대해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지난 11월 28일 반도체 유통기업 인셈의 주최로 개최된 ‘STM32 & IAR 테크페어’에서 이현도 IAR시스템즈 과장은 소프트웨어 산업 트렌드 변화에 대해 이 같이 말했다. 이현도 과장은 “최근 소프트웨어 산업은 통신, IoT, 클라우드, 오토모티브와 관련된 제품을 많이 출시하고 있으며, 시중에는 이와 관련된 제품이 많이 출시됐다. IAR시스템즈는 여기서 더 나아가 보안에 더 집중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현도 IAR시스템즈 과장 다수의 시장조사기관의 전망에 따르면 2025년이 되면 IoT로 연결되는 커넥티드 디바이스가 70억개에 달한다고 한다. IoT 시장이 커질수록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이 보안이다. 최근 코드가 방대해지고 복잡해지고 있기 때문에 사소한 부분에서 일어난 오류가 나중에 큰 문제로 발생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설계부터 제품 양산, 유지, 보수까지의 단계 중에서 한
[첨단 헬로티] 일반적으로 임베디드 시스템 소프트웨어, 특히 마이크로컨트롤러(MCU)의 소프트웨어의 디버깅을 위해서는 코드 실행, 메모리 값, 스택 포인터, 인터럽트 타이밍 및 레지스터 값에 중점을 둔다. 이번 글에서는 IAR 임베디드 워크벤치(IAR Embedded Workbench)의 C-SPY 디버거에서 레지스트 값을 확인하고 수정하는 등의 다양한 기능을 소개하고, 레지스터의 정보를 어떻게 확인하고 활용하는지 설명하겠다. 레지스터 윈도우 레지스터와 관련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Register Window이다. C-SPY 디버거에서 View > Register. Register 창에서 각 레지스터 별의 값 뿐 아니라 레지스터의 Read/Write 속성, 주소 등 다양한 정보를 볼 수 있다[그림 1]. ▲ 그림 1. IAR Embedded Workbench for Arm 7.50 버전 이상부터는 레지스터의 이름 검색의 기능이 추가돼 있다[그림 2]. 이로써 검색으로 필요한 레지스터의 정보를 빠르게 찾을 수 있어 편리하다. ▲ 그림 2. 또한 Register 창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 클리 후 나타나는 컨텍스트 매뉴 중 View Group기능을 통한 레
[첨단 헬로티] ETM Trace 마이크 로컨트롤러(MCU)의 제어를 위한 펌워어, 소프트웨어를 작성하고 디버깅하다보면 원인을 알 수 없는 문제에 직면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러한 경우 일반적인 디버거는 문제가 발생하고 문제를 인식했을 때의 상황만 확인 가능한 반면 Trace 기능을 이용하면 문제 발생 이전의 상황이 확인 가능해 문제 발생의 경로까지 알 수 있다. Trace 기능의 실제 사용 횟수는 많지 않지만 훨씬 버그를 찾아내고 해결하는데 효과적이다. Embedded Trace Macrocell(ETM)은 애플리케이션에서 실행되는 모든 명령어를 기록하고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명령 수행에 대한 모든 정보를 제공한다. 이번 글에서는 ETM 기술이 수행에 대해 설명하고 ETM Trace가 도움이 될 수 있는 방법 관련 예제를 통해 설명하겠다. ETM Trace는 고속으로 실행 이력 저장이 가능하며 가장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되는 다양한 디버그 모드를 제공한다. ETM Trace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코드 수행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즉, 시스템 실행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코어의 모든 명령어의 실행 이력을 저장할 수 있다. 코드 범위, 최
[첨단 헬로티] 임베디드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소프트웨어툴을 제공하는 스웨덴 기업 IAR시스템즈(IAR Systems)가 커넥티드 디바이스(Connected Device)에 최적화된 새로운 보안 솔루션 ‘임베디드 트러스트(Embedded Trust)’를 전세계 공식 출시했다. 지난 4월 11일 서울 여의도에서 진행된 ‘IAR 개발자 포럼 2018’을 위해 한국에 방안한 스테판 스카린(Stefan Skarin) IAR시스템즈 CEO를 직접 만나 IAR시스템즈가 지향하는 보안 솔루션과 향후 계획에 대해 들어봤다. ▲스테판 스카린 IAR시스템즈 CEO 여러 시장조사기관에서 발표했듯이 향후 몇 년 안에 모든 사물이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본격적인 IoT(사물인터넷) 시대를 앞두고 있다. 2025년이 되면 IoT로 연결되는 커넥티드 디바이스가 70억개가 되고, IoT 매출은 3조 달러가 될 전망이다. 그러나 현재 임베디드 보안 기능을 갖춘 IoT 디바이스는 4% 미만으로, 아직까지 기술 발전에 비해 보안에 대한 대비가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022년까지 보안 디바이스는 새로운 IoT 디바이스가 차지하는 비중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