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서버, 데이터센터, 전기자동차 충전 인프라 등 시장 과녁 ‘정조준’ “친환경 에너지 시대 핵심 파트너로 자리매김할 것” 솔루엠이 ‘제58회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 2025)’에 등판했다. 솔루엠은 이 자리에서 수랭식 서버 파워 서플라이 및 파워 모듈을 전시했다. CES 2025는 ‘미국소비자기술협회(Consumer Technology Association)’가 매년 주관하는 글로벌 IT 박람회로, 올해는 4500개사가 혁신 기술로 중무장한 솔루션을 들고나온다. 솔루엠이 소개한 파워 제품은 인공지능(AI) 서버, 데이터센터, 전기자동차(EV) 충전기 등에 탑재되는 솔루션이다. 먼저, 2.4kW급 수랭식 서버 파워 서플라이는 냉각 효율 향상, 전력 소비 저감을 동시에 달성한 기술로 알려졌다. 주로 AI 서버와 데이터센터에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이어 50kW급 EV 충전기용 파워모듈은 완전 밀폐형 구조를 채택한 수랭 기반 제품이다. 이러한 구조적 설계점을 특징으로 안정적 성능을 갖췄고, 실시간 자가진단·원격 소프트웨어 업데이트(OTA) 등 기능을 구현한다. 솔루엠 측은 올해 초 해당 솔루션에 대한 관련 인증을 완료하고, 공급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이에
다쓰테크가 캐나다 증권거래소(CSE) 상장을 통해 글로벌 시장 공략에 나선다고 4일 밝혔다. 이번 상장 추진은 전기차(EV) 충전기와 이차전지 사업을 포함한 신사업 확장을 위한 중요한 발판이 될 전망이다. 지난 7월 캐나다 법인을 설립한 다쓰테크는 북미 EV 충전기 시장 진출을 가속화하며 향후 미국 나스닥(NASDAQ) 상장까지 추진해 글로벌 성장을 도모할 계획이다. 다쓰테크는 태양광 인버터 제조와 태양광 발전소 시공 등에서 다년간의 경험을 쌓아온 신재생에너지 기업으로 최근 V2G(Vehicle-to-Grid), EV 충전기 파워모듈 등의 기술개발에 대한 투자를 이어오고 있다. 특히 전기차 충·방전 기술인 V2G 시장에서의 리더십을 강화해 전기차와 신재생에너지를 연결하는 미래형 에너지 솔루션을 제공하고 상장을 통해 북미 시장에서 새로운 도약을 준비할 예정이다. 다쓰테크 관계자는 “2033년에는 V2G 시장이 1235억 달러(약 162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며 “V2G 기술은 전기차 배터리를 활용해 에너지를 저장하고 전력 사용이 많은 시간대에 전기를 공급하는 방식으로 북미에서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다쓰테크는
모던텍이 창원국제스마트팩토리 및 생산제조기술전(SMATOF 2023)에서 무인로봇 충전 시스템을 선보인다. 모던텍의 무인로봇 충전 시스템은 전기차 배터리 용량 증가에 따른 고용량 충전기 케이블 무게 증가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 안전성을 높인다. 이 시스템은 비전 시스템을 통해 차량 위치를 확인하고 충전구 식별이 가능하며, 관제 시스템을 통해 안정적인 충전 시스템 구동 및 관리가 가능하다. 화재, 폭발 등 전기차/충전기 관련 사고로부터 사용자를 분리하고, 레일을 이용한 충전건 탈부착 방식으로 로봇 1기로 최대 20대까지 충전할 수 있다. 한편, 모던텍은 EV 충전기 제조업체로 분리형 충전 시스템 기술을 바탕으로 공공 전기버스 시장의 80%를 점유하고 있다. 소형 AC 7kW 충전기부터 DC 50kW~300kW 충전기와 배터리 교환 시스템, ESS연동 시스템 등 다양한 충전기(시스템)를 생산 및 개발하고 있다. 아울러 2023년 3600억 원 규모의 북미 수출 계약과 현지 공장 설립을 통해 세계적인 기업으로 도약하고 있다. 한편, 경상남도와 창원특례시가 주최하고 첨단, 한국무역협회, 한국산업지능화협회, 경남로봇산업협회가 공동 주관하는 SMATOF 2023는 올해
반도체 기반 전력 회로차단기 기술력 가진 ATOM POWER…EV 충전 등 활용 가능 SK와 SK에너지가 미국 에너지솔루션 기업 ‘ATOM POWER(이하 아톰파워)’ 경영권을 1억5000만 달러(약 2천억 원)에 인수한다고 밝혔다. 2014년 설립된 아톰파워는 전력반도체로 제어되는 회로차단기인 ‘솔리드스테이트 서킷브레이커(SSCB)’ 기술을 개발해 미국에서 에너지솔루션 사업과 전기차 충전 사업을 벌이고 있다. SSCB는 전력 과부하 발생 시 전류를 차단하는 역할만 하는 일반 회로차단기와 달리 각 세대 전력의 중간관문(Gateway)으로써 전력 사용 데이터를 측정하고 수집하는 역할도 한다. 아톰파워의 회로차단기가 수집하는 데이터는 전력 사용량, 태양광 발전량, 전기차 충전량, 에너지 저장장치(ESS) 충∙방전량 등 다양하다. 회로차단기가 모은 전력 빅데이터는 각 세대는 물론 지역 단위의 전력 발전, 소비 양상을 예측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아톰파워의 회로차단기는 EV 충전기에도 활용할 수 있다. 설치 비용과 면적, 관리비용 모두 크게 줄일 수 있는 게 장점이다. 충전기 1대당 개별 회로차단기를 필요로 하는 기존 방식과 달리, 여러 대의 소형 회로차단기를 1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웰바이오텍이 전기자동차 충전기(EV 충전기) 국내 생산 파트너 선정을 완료하고 한국형 EV 충전기 신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웰바이오텍은 한국형 EV 충전기 제품 명칭을 ‘EV LUCY’로 확정하고, 본격적인 제품 생산을 위해 신오전자와 EV LUCY 생산 협력 계약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웰바이오텍은 국내 생산 협력 파트너로 그동안 이스트그룹(EAST Group)과 협력에서 가장 적극적이고 원활한 대응을 한 신오전자를 선택했다. 특히 신호전자는 GUI (Graphical User Interface)에 대한 많은 노하우를 보유한 자동차 부품업체로 차량의 전조등, 실내등, 후미등 등 PCB 어셈블리와 모듈 조립 생산 제조업체다. 생산 공장은 경기도 안산 2개, 평택 1개, 중국 청도 1개를 운영하고 있다. 신오전자는 EV 충전기의 충분한 생산 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중국 청도 공장을 통해 이스트그룹과 원활한 정보 교류가 가능한 것이 강점이다. 국내외 유명 자동차 메이커의 SQ 인증을 획득해 차량용 전기전자 분야에 대한 품질 혁신 및 신뢰성을 입증받은 점도 돋보인다. 웰바이오텍은 이번 신오전자와 생산 협력 계약이 마무리되면서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