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력·사업성 내세워 글로벌 프로바이더로 성장할 것” 클로봇이 이달 28일 코스닥에 상장했다. 서비스 로봇 소프트웨어 업체로는 첫 사례다. 클로봇은 코스닥 상장에 앞서 이달 16일부터 진행된 일반 청약에서 경쟁률 1037대 1, 건수 31만 건, 수량 7억7799만 주를 기록했다.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에서는 933대 1의 경쟁률을 올렸다. 이 과정에서 수집된 공모 희망가 범위(밴드)는 9400~1만900원으로, 최종적으로 1만3000원이 공모가로 확정됐다. 클로봇은 지난 2017년 출범 이후, 범용 자율주행 솔루션 ‘카멜레온(Chameleon)’, 이기종 통합 관제 솔루션 ‘크롬스(Croms)’ 등 원천기술 기반 서비스 로봇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출시했다. 현재 제조·물류·운송 등 각종 산업 분야에서 130여 개 고객사를 확보해 비즈니스 순항 중이다. 아울러 현대자동차차그룹 제로원, 네이버 D2SF, 롯데벤처스 등에게 약 320억 원의 누적 투자금을 유치했다. 이를 기반으로 지난 2020년부터 연평균 성장률(CAGR) 79%를 기록하고 있다. 김창구 클로봇 대표는 “클로봇이 보유한 기술력·사업성 등 강점을 필두로, 글로벌 서비스 로봇 서비스·솔루션 프로바
31만 건, 7억7799만 주 몰려...경쟁률은 1037대 1 “서비스 로봇 SW 통해 산업 성장에 기여할 것” 클로봇이 코스닥 상장 직전 진행된 일반청약에서 증거금 5조570억 원을 달성하며 상장에 청신호를 밝혔다. 클로봇은 이달 16일부터 이틀 동안 일반 청약을 진행했다. 그 결과 경쟁률 1037대 1, 건수 31만 건, 수량 7억7799만 주를 기록했다. 특히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에서 2414개 국내외 기간이 참여했는데 이 중 95.3%가 1만3000원 이상의 희망공모가를 제시했다. 김창구 클로봇 대표이사는 “상장 이후 다양한 로봇 하드웨어와 연동되는 서비스 로봇 소프트웨어를 지속 고도화할 것”이라며 “이 과정에서 선제적으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고, 시장 영향력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클로봇은 범용 자율주행 솔루션 ‘카멜레온(Chameleon)’, 이기종 통합 관제 솔루션 ‘크롬스(Croms)’ 등 원천기술 기반 서비스 로봇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보유했다. 현재 제조·물류·운송 등 각종 산업 분야에서 130여 개 고객사를 확보해 순항 중이다. 아울러 미국 로봇공학업체 보스턴다이내믹스(Boston Dynamics), 인천국제공항 등과 파트너십
[헬로티] 클로봇이 제10회 국제물류산업대전(이하 산업대전)에 참가해 클라우드 기술 기반한 로봇 통합 관리 시스템 'CROMS'을 선보였다. ▲전시회에 참가한 클로봇의 부스 전경(사진 : 서재창 기자) 클로봇은 AI를 활용한 얼굴인식 기술, 챗봇, 자율주행 등의 요소 기술에 대한 경험과 전문성을 갖춘 기업이다. 특히 자율주행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로봇을 관리 및 관제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로봇 관리 시스템을 개발했다. CROMS는 'Cloud Robot Management System'의 줄임말로 로봇 제조사 및 운영체제와 관계없이 다수의 로봇을 통합 관리 및 모니터링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로봇 관리 시스템이다. 클로봇 관계자는 "현장 프로세스의 복잡성이 높을 수록 도입하는 로봇의 종류와 기능이 다양해지고 있다. 로봇들은 제조업체 별로 로봇 관리 시스템이 있으나 상호간의 호환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CROMS는 모든 로봇을 통합 연결해 이기종 로봇 관리, 멀티 로봇 동시 관리, 모빌리티 로봇 특화 관리 등을 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한국통합물류협회 주최로 7월 30일(목)까지 진행되는 국제물류산업대전은 코로나19로 비대면 문화가 확산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