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대한통운은 신영수 대표가 지난 8일 종로 본사에서 열린 창립 94주년 기념식에서 “급변하는 대내외 환경 속에서 변화하고 혁신하지 않으면 생존할 수 없다는 절박함을 가져달라”고 당부했다고 11일 밝혔다. 신 대표는 임직원과 온오프라인 타운홀 미팅에서 “CJ대한통운은 지난 94년간 대한민국 물류 근대화를 이끌어온 기업”이라며 “회사의 주역으로서 자긍심을 갖자”고 말했다. 이어 “최근 우리를 둘러싼 경영환경은 급변하고 있으며 변화의 속도가 빠르고 근원적”이라며 “우리의 미래 생존을 고민해야 할 절체절명의 시기”라고 강조했다. 또한 신 대표는 “‘하고잡이’(뭐든 하고 싶어 하는 사람) 정신과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용감한 혁신을 통해 대한민국 최고의 기업으로 만들어 나가자”고 말했다. CJ대한통운은 1930년 11월 15일 ‘조선미곡창고’라는 이름으로 창립해 국내 최대 물류기업으로 성장했다. CJ대한통운은 창립 기념식에서 40년 근속자 1명을 포함해 350명의 장기근속자에 대해 포상하고, CJ대한통운 어워즈를 통해 총 6개 부문에서 우수한 성과를 창출한 개인과 조직을 시상했다. 1984년 입사한 김석준 지사장은 지난 40여년 간 회사와 물류산업의 발전에 함께하며
CJ대한통운은 사우디아라비아 '네스마'(NESMA) 그룹과 손잡고 중동 시장 공략을 가속화 한다고 22일 밝혔다. 네스마 그룹은 건설과 금융, 물류 등 다양한 산업군의 51개 계열사를 보유하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와 이집트, 아랍에미리트(UAE), 튀르키예 등 4개국에 진출해 있으며 네옴시티 프로젝트를 비롯한 사우디 정부의 핵심 사업에도 참여하고 있다. 또 CJ대한통운이 킹칼리드 국제공항 내 리야드 통합물류 특구에 조성 중인 글로벌권역물류센터(GDC) 건축도 담당하고 있다. 사우디 글로벌권역물류센터는 글로벌 쇼핑몰 '아이허브'의 중동지역 국제 배송을 전담할 센터로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가동할 예정이다. CJ대한통운의 중동 자회사인 CJ ICM이 현지 물류 운영을 담당한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공동 사업 기회를 적극적으로 발굴하는 등 폭넓은 협력관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CJ대한통운은 이를 통해 사우디 글로벌권역물류센터에 이은 새로운 사업 기회를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강병구 CJ대한통운 글로벌사업부문 대표는 "사우디는 아프리카와 유럽을 연결하는 지리적 이점에 풍부한 성장 잠재력도 보유한 시장"이라며 "네스마 그룹과의 협력을 통해 새로운 사업
"독보적인 중량물 프로젝트 물류 역량 보유...우크라이나 재건사업 주도적 역할 담당할 것" CJ대한통운은 중동지역 자회사 CJ ICM이 튀르키예에서 총 1만톤의 중량물을 운송하는 프로젝트 물류를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26일 밝혔다. 프로젝트 물류란 사회기반시설 설치, 생산시설물 건설 등 대규모 공사에 필요한 자재들을 공사 기간에 맞춰 운송하는 물류를 의미한다. CJ ICM은 지난해 4월부터 약 1년 6개월에 걸쳐 튀르키예 남부 메르신(Mersin) 항구부터 약 57㎞ 떨어진 아다나(Adana) 지역 석유화학공장 건설현장까지 130여 개의 대규모 기자재들을 운송했다. 최대 무게 670톤, 길이 51.3m, 높이 14.2m에 달하는 초대형 화물을 포함해 운송 화물의 총 무게는 1만 톤에 달한다. CJ ICM은 항공기, 선박 등 초대형 화물을 육상으로 운송할 때 사용하는 특수장비인 자체 추진 모듈 트레일러(SPMT, Self-Propelled Modular Transporter)를 현장에 투입했다. 지형고도변화에 민감한 만큼 속도는 시속 10㎞ 안팎을 유지해 운송했다. CJ대한통운은 화물의 하중을 분산하는 CJ ICM의 독보적인 '엔지니어링(Enginee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