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B200 NVL72, 고속 연산과 대용량 처리 환경이 필요한 차세대 워크로드에 최적화 엔비디아와 코어위브가 차세대 AI 모델 훈련과 추론의 속도를 대폭 끌어올릴 ‘GB200 NVL72’ 시스템을 상용화하며 본격적인 서비스에 돌입했다. 이번 발표를 통해 코어위브는 엔비디아 그레이스 블랙웰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한 AI 슈퍼컴퓨팅 시스템을 가장 먼저 온라인 상에서 고객에게 제공한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으로 이름을 올렸다. GB200 NVL72는 총 72개의 블랙웰 GPU와 36개의 그레이스 CPU를 NV링크로 연결한 랙 스케일의 고성능 AI 컴퓨팅 플랫폼이다. 이는 AI 에이전트, 대규모 언어 모델, 영상 생성 모델 등 고속 연산과 대용량 처리 환경이 필요한 차세대 워크로드에 최적화한 설계로, 단일 인스턴스에서 최대 11만 개 GPU까지 확장이 가능한 네트워크 환경도 함께 제공한다. 이미 코히어, IBM, 미스트랄 AI 등 글로벌 AI 기업들이 GB200 NVL72를 기반으로 자사 모델을 훈련하고 추론하며 성능 향상 효과를 입증하고 있다. 코히어는 자사의 AI 플랫폼 ‘노스(North)’에서 블랙웰 기반 환경으로 전환한 후 1000억 개 파라미터 모델 훈련에서 기
AI와 모션 트래킹 기술 결합해 선수 맞춤형 훈련 프로그램 개발 투플랫폼이 한양대학교 ERICA 캠퍼스의 글로벌스포츠경영리서치센터(GSBRC) 및 스포츠 영상 분석 플랫폼 '스포클립'과 협력해 스포츠 산업의 디지털 전환(DX)을 본격 추진한다. 이번 협업은 AI와 모션 트래킹 기술을 결합해 선수 맞춤형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스마트 스포츠 인프라 구축을 지원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각 기관은 기술과 인프라, 연구 기반을 유기적으로 연결해 스포츠 현장의 혁신을 견인한다는 계획이다. 투플랫폼은 실리콘밸리에 본사를 둔 스타트업으로, 한국과 인도를 거점으로 활동하고 있다. 지난해 자체 기술로 개발한 거대언어모델(LLM) ‘수트라(SUTRA)’를 시작으로, 비주얼 생성 모델 ‘수트라 아바타’, 음성 생성 모델 ‘수트라 하이파이’ 등 다양한 AI 솔루션을 선보이며 기술력을 입증해 왔다. 특히 지난 2월에는 한국어 벤치마크 테스트에서 국내외 경쟁 모델을 앞서는 성능을 기록한 추론형 LLM ‘수트라-R0’를 공개하며 주목받았다. 스포클립은 농구, 배드민턴, 풋살 등 다양한 종목에서 촬영된 사용자 영상을 AI로 분석하고, 쇼츠 콘텐츠와 자막을 자동 생성하는 플랫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