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브리 화풍의 저작권 문제에 비해 이용자 초상권·개인정보 우려는 부각되지 않아 일본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지브리’ 풍의 사진 변환이 세계적으로 유행하면서 오픈AI의 이미지 생성 기능이 인기를 끌고 있다. 하지만 사용자들이 자발적으로 업로드하는 사진이 AI 학습에 활용될 가능성에 대한 관심은 여전히 미미하다. 화풍 저작권 문제는 주목받는 반면, 초상권과 개인정보 보호 문제는 유행 열기에 묻혀 있는 실정이다. AI 업계에 따르면, 최근 챗GPT의 국내 이용자 수가 급증한 주요 배경으로 이미지 생성 기능이 꼽힌다. 데이터 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는 지난달 27일 기준 챗GPT의 국내 일일 활성 이용자 수(DAU)가 125만2000명에 달했다고 밝혔다. 이는 한 달 전 대비 56%나 증가한 수치다. 특히 챗GPT-4o 이미지 생성 기능이 이러한 이용자 증가를 이끈 것으로 분석된다. 이미지 생성 기능은 사용자가 자신의 사진을 업로드해 지브리풍, 만화풍 등 다양한 스타일로 변환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다. 단 한 번의 사용으로도 오픈AI는 사용자로부터 고해상도 인물 이미지를 수집할 수 있는 셈이다. 업계에서는 국내에서만 하루에 수십만 장의 인물 사진이 오픈AI에 전
저작권 등 법적 문제가 없는 안전한 데이터로 구성 크라우드웍스가 고품질 AI 학습용 데이터를 자유롭게 거래할 수 있는 플랫폼 ‘A1(에이원) 데이터 마켓플레이스’를 공식 오픈했다. AI 성능을 좌우하는 핵심 자산인 데이터의 품질과 접근성을 높이고자 구축된 이 플랫폼은 멀티모달 시대에 부합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AI 학습 데이터 거래소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A1 데이터 마켓플레이스는 의료, 금융, 통신, 리테일, 수학 등 다양한 산업군에 특화한 도메인 데이터는 물론, 텍스트, 음성, 이미지, 영상 등 멀티모달 데이터까지 포괄적으로 제공한다. 특히 크라우드웍스가 직접 구축하거나 검수한 고품질 데이터만을 엄선해 제공해 신뢰성과 활용도를 높였다. 구매자는 대형언어모델(LLM) 학습에 적합한 대규모 텍스트 데이터, 57만 트랙 규모의 다국어 오디오 데이터, 자율주행 및 영상 분석에 최적화된 이미지 데이터 등 다양한 용도의 데이터셋을 선택할 수 있다. 추론형 AI 모델 학습에 필요한 멀티모달 수학 문항 데이터셋도 7000건 규모로 마련됐다. 이 외에도 고객 맞춤형 어노테이션, 데이터 증강 및 합성 등 주문형 데이터 구축 서비스도 함께 제공된다. 플랫폼 내 거래되는 모
데이터개방 플랫폼 '키프리스플러스'서 13일부터 이용 가능 특허청은 13일부터 의약품 실험데이터와 실험데이터 추출을 위한 인공지능(AI) 학습데이터 등 총 45만건을 데이터 개방플랫폼인 키프리스플러스(KIPRIS Plus)에서 무료로 개방한다고 12일 밝혔다. 키프리스플러스에서는 국내외 13개국의 주요 산업재산권(특허·상표·디자인) 공보와 특허행정 정보 등 데이터 상품을 제공하고 있다. 최근에는 다국어 번역, 이미지 검색 등을 위한 AI 학습데이터까지 총 115종의 데이터 상품을 개방하고 있다. 지식재산 서비스 업체들은 출원된 발명을 일반인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공개하는 특허공보의 실험데이터를 추출·활용해 서비스를 개발하고, 관련 기업· 연구기관들은 특허공보에 포함된 실험·비교예 등을 자유롭게 분석·활용해 백신·신약 등 연구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특허 당국은 기대하고 있다. 김기범 정보고객지원국장은 "기술 정보의 보고인 특허데이터에는 실험데이터와 같이 유용한 정보가 많다"며 "공공·민간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면 첨단 기술 분야에서 우리나라의 기술개발 역량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헬로티 김진희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