써모 피셔 사이언티픽 코리아는 아시아대양주정보산업기구(ASOCIO)가 주관하는 ‘ASOCIO 어워드 2025’에서 인재개발(Talent Development) 부문 수상 기업으로 선정됐다고 12일 밝혔다. ASOCIO 어워드는 아시아·대양주 24개국의 ICT 협회가 참여하는 국제상으로, 매년 디지털 혁신과 발전에 기여한 우수 기업 및 기관을 선정한다. 인재개발 부문은 교육, 인재 양성, 조직 역량 강화 등 인적 자원 개발을 통해 디지털 생태계 발전에 기여한 기업에게 수여된다. 써모 피셔는 최근 3년간 사내 디지털 문화 프로그램 ‘윈디(WINDI, Winning with Digital)’를 중심으로 임직원의 디지털 역량을 체계적으로 강화해왔다. ‘윈디’ 프로그램은 직원들이 직접 참여하는 디지털 학습 플랫폼으로 ▲AI 활용 아이디어를 실험하고 공유하는 AI 커뮤니티 ▲반복 업무를 자동화하는 RPA(Robotics Process Automation) 사내 개발 활동 ▲보안 인식을 높이기 위한 사이버보안 앰배서더 프로그램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를 통해 직원 주도의 학습과 실행 중심의 디지털 문화가 정착됐으며, 자동화와 AI 활용이 조직 전반으로 확산됐다. 이번 수
엘리스그룹이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AI 서밋 서울&엑스포 2025’에 참가해 엘리스 올인원 AX 솔루션을 선보이고, 기업 중심의 실질적인 AI 트랜스포메이션(AX) 전략을 제시한다. 올해 8회째를 맞은 AI 서밋 서울은 AI와 산업의 융합을 주제로 글로벌 기업과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대규모 컨퍼런스로 산업 전반의 AI 기술 동향과 적용 사례가 공유된다. 엘리스그룹은 이번 행사에서 ‘엘리스클라우드’, 생성형 AI 툴 ‘AI헬피챗’, 그리고 AI 컨설팅 서비스를 포함한 올인원 AX 솔루션을 전시한다. 현장에서는 부스 전시와 체험뿐 아니라 기업 맞춤형 AX 전략을 직접 컨설팅 받을 수 있는 상담존도 운영한다. 엘리스클라우드는 AI 데이터센터, GPU·NPU 자원, AI 인프라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클라우드 솔루션이다. 복잡한 설정 없이 직관적인 환경에서 AI 서비스 운영과 모델 개발 전 과정을 지원하며 비용 효율적으로 자원을 운용할 수 있다. 핵심 구성인 AI 데이터센터 ‘엘리스 AI PMDC’는 B200, H200 등 최신 GPU를 기반으로 수랭식·공랭식 맞춤 설계가 가능한 모듈형 구조로 설계됐다. 엘리스그룹은 올해 국내 최초이자 아시아 최초로
교육부는 10일 인공지능(AI) 대전환 시대를 선도하고 국민의 인공지능 역량 강화를 위한 ‘모두를 위한 인공지능(AI) 인재양성 방안(AI for All)’을 발표했다. 정부는 글로벌 기술 경쟁이 심화되는 인공지능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사회 전반의 AI 활용 역량을 높이고, 인재 중심의 AI 국가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교육부는 이러한 변화에 맞춰 현장 의견과 정책 연구를 반영한 인재양성 종합방안을 마련했다. 이번 방안은 교육 분야 국정과제인 ‘인공지능 디지털시대 미래인재 양성’을 실현하기 위한 후속 조치로, AI 3대 강국 실현을 지원하는 것이 목표다. 교육부는 이번 인재양성 방안의 두 가지 핵심 목표를 제시했다. 첫째, 국민 누구나 인공지능을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전 생애에 걸친 보편적 인공지능 교육을 확대한다. 둘째, 인공지능 세계 3강 도약을 이끌 혁신인재·융합인재 등 다층적 인공지능 인재를 체계적으로 양성한다. 우선 초·중등 교육 단계부터 인공지능 기초 소양을 함양할 수 있도록 교육 지원을 강화하고, 인재 저변 확대를 통해 미래 인재 양성의 기반을 다질 계획이다. 또한 지난 11월 7일 논의된 ‘과학기술인재 확보 전략’과 연계해 정부 차원의
중소벤처기업부는 ‘2025년 소상공인 상생협업교육(소상공인 AI 활용 교육)’에 참여할 소상공인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소상공인이 비즈니스에 활용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술을 이해하고 실습할 수 있도록 구성된 프로그램으로, 민간 AI 기업과 협력해 교육 과정을 운영한다. 이 사업은 2026년 소상공인 인공지능 교육 과정 체계화를 위한 시범사업으로 추진된다. 운영 성과를 바탕으로 교육과정과 운영체계를 정비해 다음 해 사업에 반영할 계획이다. 교육에는 국내 주요 AI 기업인 네이버, 뤼튼테크놀로지스, 카카오가 참여한다. 각 기관은 자체 기획한 커리큘럼에 따라 현장 교육과 온라인 교육을 병행해 운영할 예정이다. 현장 교육은 서울, 경기, 광주, 대전, 대구, 부산, 제주 등 7개 지역에서 진행된다. 교육 내용과 일정, 장소는 기관별로 다르며, 소상공인은 1개 기관의 1개 과정만 신청할 수 있다. 현장 교육에 참여하기 어려운 소상공인은 유튜브 채널 ‘공사장TV’를 통해 실시간으로 교육을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소상공인 지식배움터(edu.sbiz.or.kr)’에서도 관련 AI 교육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 네이버는 서울, 부산, 광주의 네이버 스퀘
AI·에듀테크 마켓플레이스 ‘체더스(Cheddars)’를 운영하는 테크빌교육(대표 이형세)이 교사들의 AI 활용 역량 강화를 위한 실습형 프로그램 ‘교사의 하루에 AI를 더하다’ 부트캠프를 개최한다. 이번 부트캠프는 5일 대구 경북대학교 사범대학에서 열리며 대구실천교사와 교사성장학교 ‘고래학교’가 주최하고 경북대학교 사범대학과 테크빌교육이 공동 주관한다. 교사들이 실제 수업과 행정 업무에 AI를 적용할 수 있도록 기획된 실무 중심의 프로그램이다. 참가 대상은 대구 지역 초·중·고등학교 교사와 경북대학교 사범대 재학생이며, 선착순 100명을 모집해 전액 무료로 진행된다. ‘교사의 하루에 AI를 더하다’ 부트캠프는 AI를 수업 설계와 행정 자동화에 접목하는 실습 중심 커리큘럼으로 구성됐다. 교사들은 수업 자료 제작, 학급 운영, 학부모 상담 등 다양한 상황에서 AI를 활용하는 실제 사례를 체험하며 업무 효율화 방안을 배운다. 행사는 ‘AI 부트캠프’와 ‘AI·에듀테크 테이블 토크’ 두 세션으로 진행된다. AI 부트캠프에서는 ▲수업 준비 및 실행 단계에서의 AI 적용 사례 ▲AI 기반 업무 최적화 방안 ▲AI 수업자료 생성과 활용 전략 등이 다뤄진다. 특히 테크빌
AI 기반 온라인 평가 플랫폼 기업 그렙(대표 임성수)이 리눅스 재단 아시아태평양(APAC)과 공식 인증 교육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11월 4~5일 서울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리는 ‘오픈소스 서밋 코리아 2025(Open Source Summit Korea 2025)’에 참여한다. 이번 협약을 통해 그렙은 리눅스 재단의 공식 교육 프로그램을 국내에 도입해 기업, 교육기관, 정부, 개인 학습자 등 다양한 수요층에 맞춘 오픈소스 전문 교육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한국 내 오픈소스 인재 양성과 기술 생태계 확산에 본격적으로 나선다는 계획이다. 최근 국내 오픈소스 산업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지만, 실무 중심의 고품질 교육 인프라는 여전히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그렙은 이번 파트너십으로 학습자가 필요한 과정을 쉽게 탐색하고 신청할 수 있는 리눅스 재단 전용 랜딩 페이지를 구축했으며, 공식 교육 및 자격 인증 과정에 대한 얼리버드 할인도 제공한다. 임성수 그렙 대표는 “이번 리눅스 재단과의 협력은 그렙이 쌓아온 교육 인프라와 기술 역량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결과”라며 “세계 최고 수준의 오픈소스 교육을 국내 학습자에게 제공해 산업 전반의 기
AI 에듀테크 영어교육 전문기업 ㈜아이포트폴리오 리딩앤(대표 김성윤)이 일본 도쿄에서 열린 ‘JALT 2025(Japan Association for Language Teaching)’ 국제학술대회에서 ‘뇌과학과 AI 기반 교수법’을 주제로 초청 강연을 진행했다. JALT는 일본 내 최고 권위의 영어교육자 협회로, 올해 창립 50주년을 맞아 ‘LanguageS: Learning, Teaching, Assessing – Challenges and Perspectives’를 주제로 학습·교수·평가의 혁신 방향을 논의했다. 이번 행사에는 아시아, 북미, 유럽 등 세계 각국의 언어교육 전문가들이 참석해 최신 연구 동향과 AI 기반 교육 기술을 공유했다. 김성윤 대표는 강연에서 “AI는 교육의 본질을 대체하기보다 학습의 깊이를 확장시키는 도구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하며, AI와 뇌과학을 결합한 언어학습의 미래를 제시했다. 그는 실제 사례로 자사의 대표 프로그램 ‘옥스포드 리딩 클럽(ORC)’과 유네스코가 인정한 AI 학습친구 ‘로라(LAURA)’를 소개하며, 데이터 기반 언어 학습과 학습자 맞춤형 리딩 솔루션의 성과를 공유했다. 김 대표는 “AI는 학습자의 뇌 반응과
이노그리드는 국민대학교 소프트웨어융합대학과 SW·AI 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협약식은 28일 국민대학교 미래관 회의실에서 열렸으며, 이노그리드 김홍진 전무, 박창원 전무, 정기봉 이사와 국민대 소프트웨어융합대학 황선태 학장, 윤수연 교수 등 양 기관 주요 관계자가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대학의 첨단 소프트웨어 교육 역량과 기업의 클라우드 기술 노하우를 결합해 SW·클라우드 융합형 실무 인재를 양성하고, 현장 중심의 산학협력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전략적 협력의 일환으로 추진됐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교육과정 공동 개발 및 운영 ▲SW·클라우드 융합형 실무교육 프로그램 운영 ▲산학협력 세미나 및 프로젝트 운영 ▲산학 연계형 인턴십 및 현장실습 공동 운영 ▲양 기관 인프라 및 연구 자원 공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할 계획이다. 이노그리드는 이번 협약을 통해 산업 현장에서 요구되는 기술 수요를 교육과 연계하는 산학협력 모델을 강화하고, 국민대학교는 학생들에게 실무 중심의 클라우드 및 소프트웨어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현장형 인재 양성 체계를 확립할 것으로 기대된다. 김명진 이노그리드 대표이사는 “SW와 클라우드는 디
글로벌 AI 에듀테크 기업 아이포트폴리오 리딩앤(대표 김성윤)이 중국 란저우에서 열린 ‘글로벌 문해력 교육역량 혁신을 위한 컨퍼런스(Global Conference on Innovating Language Literacy Education Capacity)’에 초청받아 뇌과학과 AI를 융합한 영어 교수법을 발표했다. 이번 행사는 중국 어린이 영어교육 선도기업 인컬리지 에듀케이션(Encourage Education)이 주최했으며, 중국 전역의 교사와 교육부 관계자, 교육 전문가 등 6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진행됐다. 김성윤 대표는 기조연설에서 ‘뇌과학과 AI 기반 교수법: AI 시대, 읽기가 영어교육을 다시 쓰다(Neuroscience and AI Powered Pedagogy: How Reading Reshapes ELT in the Age of AI)’를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그는 읽기 활동이 아동의 두뇌 발달과 언어 습득에 미치는 영향을 뇌과학적으로 설명하며, AI 기술이 교육의 본질을 대체하기보다 학습자의 사고력과 표현력을 확장하는 도구로 활용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AI 기술 발전이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면서도 ‘읽기 기반 사고력’의
AI 리터러시 전문 교육기업 에이블런(대표 박진아)이 2025년 상반기 기업 대상 AI 교육에서 참여 기업의 70% 이상이 후속 과정을 요청하는 성과를 거뒀다고 밝혔다. 특강에서 실무·심화 과정으로 이어지는 단계적 확대가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전체 교육 만족도는 5점 만점에 4.8점을 기록했다. 이는 리더가 AI를 먼저 이해하고 조직 차원의 학습 문화를 조성한 결과라는 분석이다. 에이블런은 2020년 설립 이후 700여 개 기업과 기관, 2만 명 이상을 대상으로 AI 리터러시 교육을 진행해왔다. 생성형 AI의 확산 이후 기업 현장에서는 단순한 이론 교육보다 즉시 실무에 적용 가능한 실습형 교육이 요구되고 있다. 에이블런은 실무 중심 교육과 직무별 맞춤형 커리큘럼을 통해 이러한 수요에 대응하며, 참여 기업 10곳 중 7곳이 후속 과정을 요청할 만큼 높은 재참여율을 보였다. 이번 성과의 핵심 요인으로는 ‘리더의 AI 리터러시’를 꼽았다. 리더가 먼저 AI의 가능성을 이해하고 조직 내 교육 환경을 주도적으로 조성한 기업일수록 교육 효과가 빠르게 확산됐다. 실제 후속 과정을 진행한 기업 대부분은 리더급이 먼저 특강을 수강한 후, 사무직과 현장직으로 교육을 확대한 패
엘리스그룹이 운영사로 참여한 ‘현대자동차그룹 2025 빅데이터 부트캠프’가 지난 9월 성공적으로 종료됐다. 이번 프로그램은 제조 현장의 데이터를 AI 기술로 전환하고 실제 비즈니스 성과로 이어질 수 있는 AX(Autonomous Transformation)형 인재 육성을 목표로 진행됐다. 현대자동차그룹 인재개발원이 주관한 이번 부트캠프는 약 6개월간 진행됐으며 현업에서 해결하기 어려운 사업 과제를 AI·데이터 기반으로 분석하고 솔루션을 도출하는 PBL(Problem Based Learning) 방식으로 설계됐다. 올해는 내부 리더들의 참여를 강화해 과제의 비즈니스 효과를 극대화했으며 전 기간 동안 비즈니스 코칭과 테크 코칭, 튜터링이 병행됐다. 운영사로 참여한 엘리스그룹은 AI 특화 클라우드와 실습 중심 교육 플랫폼을 제공해 교육 효과를 높였다. 고성능 GPU 인프라를 기반으로 한 실습 환경과 데이터 분석에 최적화된 시스템을 구축해 교육생들이 실제 산업 데이터를 활용한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또한 AI 전문가 그룹의 코칭을 통해 과제 완성도와 결과물의 품질을 향상시켰다. 교육생 개별 역량 진단 결과를 반영한 맞춤형 학습 콘텐츠 제공도 눈에 띈
에듀테크 선도기업 뤼이드(Riiid)가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을 이끌기 위해 사명을 ‘소크라 AI(Socra AI)’로 변경했다. 이번 결정은 즉각적인 답변만 제공하는 기존 AI의 한계를 넘어 학습자가 질문과 대화를 통해 스스로 사고하고 답을 찾아가도록 돕는 ‘사람을 성장시키는 AI’라는 비전을 반영한 것이다. 소크라 AI라는 이름에는 고대 소크라테스의 문답법처럼 대화를 기반으로 학습자 스스로 깨달음을 얻도록 지원하겠다는 철학이 담겼다. 단순히 정답을 알려주는 도구가 아니라, 학습 과정 전반에 걸쳐 사고력을 확장하고 학습자의 주도적 성장을 촉진하는 AI 학습 파트너로 진화하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 소크라 AI는 오는 12월 교육용 GPT ‘소크라 AI’의 오픈 베타 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이다. 이 서비스는 기존의 일반 GPT와 달리 교육적으로 정렬된(Educationally Aligned) GPT로 설계됐다. 단순 답변 대신 학습자가 질문을 던지고 탐구하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탑재해, 개인별 맞춤형 학습 경험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영어 시험 준비나 언어 학습 과정에서 단순 해설이 아니라 학습자가 논리적 사고 과정을 통해 답을 도출하도록 이끈다. 박수영 소크라
마이크로소프트가 국내 교사들을 대상으로 AI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본격 추진하며 미래 교육 혁신에 나선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전 세계 교육자와 학교의 AI 활용 능력 강화를 목표로 출범한 조직 ‘마이크로소프트 엘리베이트(Microsoft Elevate)’를 통해 한국에서도 교사와 학생이 함께 AI를 학습하고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전개한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프로그램은 △마이크로소프트 선도학교(Showcase School) △혁신교사(MIEE, Microsoft Innovative Educator Expert) 리뉴얼 △심화 AI 연수 과정 ‘마이 히어로(Microsoft AI Hero)’를 중심으로 운영된다. 이를 통해 교사들이 수업과 업무 현장에서 AI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학생들에게는 창의성과 비판적 사고를 키울 수 있는 AI 학습 환경을 제공한다는 구상이다. 마이크로소프트와 PSB 인사이트가 발간한 2025 AI 교육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교육 리더의 76%는 AI 문해력을 핵심 역량으로 꼽았지만 실제 AI 교육을 제공하는 기관은 10%에 불과하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교사와 학생 모두의 AI 리터러시를
마이크로소프트가 교사 대상 AI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본격 추진하며 국내 교육 현장에서의 AI 활용 확대에 나섰다. 이번 프로그램은 초·중·고 교육자들이 학생들에게 책임 있는 AI 교육을 제공할 수 있도록 역량을 지원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학교와 교사가 미래 교육 혁신의 주체로 자리 잡도록 돕는다. 마이크로소프트는 글로벌 차원에서 AI 역량 개발을 지원하는 조직 ‘마이크로소프트 엘리베이트(Microsoft Elevate)’를 출범한 데 이어 한국에서도 초·중·고 교사를 대상으로 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주요 프로그램은 ‘마이크로소프트 선도학교(Microsoft Showcase School)’, ‘마이크로소프트 혁신교사(MIEE, Microsoft Innovative Educator Expert)’, 그리고 심화 AI 연수 과정인 ‘마이 히어로(Microsoft AI Hero, MAI Hero)’다. 마이크로소프트 선도학교에 참여한 학교들은 마이크로소프트 및 국내외 파트너와 협력해 교육 혁신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심화 학습을 전개한다. 참여 학생들은 학습자 중심의 몰입형 환경 속에서 미래 사회에 필요한 기술 역량을 강화할 수 있다. 국내에서는
한국레노버가 충남교육청, 구글코리아와 함께 충남 지역 학교의 AI 기반 스마트 교육 환경 조성을 위한 크롬북 기증식을 진행했다. 충남교육청은 AI 시대에 모든 학생이 디지털 소외 없이 성장하도록 AI 교육 특화도시 확대와 AI 교육센터 조성 등 미래 교육 인프라 구축에 힘쓰고 있다. 이러한 비전 아래 세 기관은 총 22개 학교, 68개 학급을 대상으로 ‘알버스(Albus)’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이번 충남 지역 알버스 프로젝트에서 한국레노버는 총 150대의 교육용 디바이스를 지원한다. 모든 참여 학교 교사들에게 생성형 AI가 탑재된 크롬북 ‘레노버 크롬북 플러스 14’가 제공되며, 구글의 최신 AI 모델 ‘제미나이(Gemini)’가 온디바이스로 탑재된다. 이를 통해 교사들은 인터넷 연결 없이도 요약, 글쓰기, 수업자료 생성 등 레노버 전용 AI 기능을 포함한 다양한 AI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학생용으로는 디지털 수업을 위한 성능과 높은 내구성, 세련된 디자인을 갖춘 ‘레노버 500e 크롬북’을 아산시 한들물빛초등학교와 홍성군 홍북중학교에 지원한다. 구글은 구글 워크스페이스 포 에듀케이션을 기반으로 제미나이를 활용한 AI 기반 디지털 수업, 클라우드 협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