政 ‘안티 드론 규제’ 개선 영향...‘탐지·식별·무력화’ 안티 드론 체계 구축 가속도 시스레인이 ‘대드론 통합관제 시스템’ 개발에 박차를 가한다. 이 시스템은 드론관제센터에 도입돼 무인항공기(드론)를 식별하고, 공격 등에 대한 대응체계를 구축하는 데 활용되는 기술이다. 기본적으로 탐지·식별·무력화 3단계로 운용된다. 이를 기반으로 대상 드론에 대한 데이터 수집·분석, 실시간 모니터링 등을 수행한 후 대응 방안 수립을 지원한다. 특히 데이터 분석에 대한 결과를 시각화함으로써 대상 드론을 무력화하는 ‘재밍(Jamming)’ 정확도를 극대화할 것으로 기대받는다. 구체적으로, 드론용 ‘능동형 위상배열레이더(AES)’를 통해 반경 10~13km 거리 내에 있는 무인기를 탐지한다. 이후 거리·방향·속도 등을 기반으로 해당 드론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수집한다. 이어 탐지된 목표물을 고해상도 가시광 영상이나, 열 영상 촬영이 가능한 고배율 줌 기반 전자광학(EO)·적외선(IR) 카메라를 활용해 식별한다. 시스레인 측에 따르면, 최근 정부의 안티 드론 규제 개선 정책이 해당 시스템 개발에 힘을 보탤 전망이다. 정부는 안티 드론 시험·훈련 확대 방침, 안티 드론 수출 활성화
인공지능 기반 온라인 시험 감독 기술 스타트업 스마트디아그노시스(대표 김환진)는 일본 도쿄에서 열리는 아시아 에듀테크 서밋(Asia Edutech Summit 2023)에서 ‘AES Global Awards 파이오니어상’을 수상 했다고 오늘 밝혔다. 올해로 4회째를 맞이하는 아시아 에듀테크 서밋은 아시아 에듀테크 기업의 교류와 협력을 대표하는 글로벌 커뮤니티인 AES(Asia EdTech Summit)가 매년 개최하는 행사로 10월 31일부터 11월 1일까지 열린다. 이번 시상식에서 스마트디아그노시스는 얼굴인식과 시선추적 기술이 적용된 AI 온라인 시험 감독 솔루션인 ‘테스트위드(Testwith)’로 파이오니어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테스트위드는 온라인 시험 중 발생하는 부정행위 의심 영상을 얼굴인식, 시선추적 및 기타 브라우저상의 이상 행동을 감지하여 부정행위 영상만 저장하므로 부정행위를 쉽게 포착할 수 있으며, 사후 증거로 제시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는 차량의 블랙박스와 같이 필요한 영상만 저장하므로 기존 온라인 시험 감독 솔루션보다 획기적 비용 절감과 사용자의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특히, DRM(디지털권리관리) 기술을 적용하여 원격
[헬로티 = 김동원 기자] 지멘스(Siemens)와 AES가 합작 설립한 플루언스(Fluence)가 공장형 하드웨어와 첨단 소프트웨어, 데이터 기반 인텔리전스를 결합한 6세대 에너지 저장 기술 스택을 16일 공개했다. 12년여의 산업 리더십과 혁신을 녹여낸 6세대 에너지 저장 기술 스택은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영하는 방식을 변화시켜 더 간단하고 안전하며 빠르고 비용 효율적인 배치가 규모에 맞게 가능하다. ▲ 플루언스 그리드스택 코어 (플루언스 제공) 브렛 갈루아(Brett Galura) 플루언스 최고기술책임자는 “에너지 저장 애플리케이션은 시스템이 매우 유연해야 특정 시장과 고객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다”며 “지금까지 고객들은 주문 제작한 솔루션이나 유연성이 없는 수직통합형 제품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플루언스의 6세대 기술은 업계 최대로 꼽히는 자체 데이터세트와 깊이 있는 업계 경험을 결합해 비할 데 없는 인텔리전스와 유연성을 제공하고, 안전 장치를 표준화해 대량 생산이 용이하며 배치 시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크게 줄여준다”며 “지난 수십 년간 에
ⓒGetty images Bank [헬로티] 미국 전력공급업체 AES가 전력유지보수작업에 드론을 사용하고 있어 눈길을 끈다. 최근 AES는 드론 서비스 업체 메셜(Measure)로부터 공급받은 드론을 통해 전 세계 10개국에서 전력유지보수작업을 실시했다. 드론은 작업자가 접근하기 힘든 전력타워나 전송선을 검사하고 데이터를 수집한다. 광범위한 태양전지패널 단지 검사에도 사용됐다. 크리스 쉘톤 AES 부사장은 “드론을 통해 유지보수작업을 실시하면 작업자는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고 작업 효율성 또한 높아진다”며, “가까운 시일 내에 미국과 라틴아메리카 발전소에서는 드론을 통한 유지보수작업이 메뉴얼화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지환 기자 (ueghqwe@hellot.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