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국내 대표 로봇 전문기업인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최대주주 지위를 확보했다. 대표이사 직속의 미래로봇추진단도 신설, 신성장 동력으로 꼽아 온 휴머노이드 등 미래로봇 개발에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2023년 868억 원을 투자해 지분 14.7%를 갖고 있는 레인보우로보틱스에 대해 보유 중인 콜옵션을 행사했다고 31일 밝혔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는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지분을 35.0%로 늘려 기존 2대 주주에서 최대 주주가 된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삼성전자의 연결재무제표상 자회사로 편입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앞서 지난해 1월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지분 10.22%를 590억 원에 매입한 데 이어 같은해 3월 278억 원을 들여 지분을 추가 매입하고 콜옵션 계약도 맺어 향후 레인보우로보틱스를 인수해 최대주주에 오를 가능성을 열어놨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국내 최초로 2족 보행 로봇 ‘휴보’를 개발한 카이스트 휴보 랩 연구진이 2011년 설립한 로봇 전문기업으로 2족 보행 로봇, 4족 보행 로봇, 협동로봇 등을 개발·공급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레인보우로보틱스를 자회사로 편입함에 따라 미래로봇 개발을 위한 기반을 더욱 탄탄히 구축하게 됐다. 삼성전자는 인
투자금으로 총 12억 원 집행 “딥테크 분야 초기 스타트업 위한 실질적 지원 이어갈 것” 스타트업 초기투자기관이자 팁스(TIPS)운영사인 더인벤션랩(대표이사 김진영)이 운영 중인 딥테크벤처투자조합을 통해 퓨처게이트와 디스펙터의 신주인수를 마무리 지었다고 밝혔다. 이는 Pre-A 시리즈 투자로 각각 4억 원, 8억 원 등 총 12억 원을 집행했다. 디스펙터는 4족 보행 로봇에 탑재가능한 센서 및 AI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로보틱스 기업이다. 더인벤션랩은 디스펙터에 이미 약 4.8억 규모의 시드(Seed) 투자를 집행한 바 있다. 이번 투자는 이에 대한 후속투자 성격으로 이번 라운드에서는 스케일업파트너스와 함께 클럽딜로 후속투자를 진행했다. 퓨처게이트는 무인 유통매장을 위한 최적의 AI무인 매대 솔루션 및 AI 무인 유통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다. 이미 SK텔레콤 및 SK쉴더스, 효성 TNS, 아파트아이(국내 아파트 관리 및 주민정보 플랫폼) 등 국내 주요 기업들과 AI무인 매장 사업 공동 추진을 위한 사업제휴를 맺어 초기고객을 확보했으며 특히 마켓컬리와는 컬리용 AI무인 매대를 제작완료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진영 더인벤션랩 대표는 “앞으로 벤처투자조합
전시장서 야간 실종자 수색 장면 연출 “국내 치안 산업에 기여하도록 연구개발에 매진할 것” 로봇 솔루션 스타트업 에이딘로보틱스가 ‘2023 국제치안산업대전’에서 치안 전용 4족 보행 로봇을 알렸다. 국제치안산업대전은 치안 산업 전시회로, 치안 산업 활성화와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경찰청·인천광역시가 공동 주최하는 행사다. 전시회에는 국내외 치안 분야 기업이 참가해 연구개발 성과를 공유하고, 국내 기업의 제품 및 기술을 선보인다. 올해 국제치안산업대전 전시장에는 에이딘로보틱스 4족 치안 로봇이 상부에 이식된 열화상 카메라로 야간 실종자 수색 모습을 시연했다. 에이딘로보틱스가 이번 행사에서 공개한 4족 보행 치안 로봇은 24시간 자율순찰, 실종자 수색, 범죄자 탐색 등 치안 활동을 위해 개발됐다. 이 밖에 해당 로봇은 위험시설 점검 관리, 건설 현장 및 열화상 시설 모니터링, 스마트시티 물리 보안 등 산업군에서도 활약할 전망이다. 이윤행 에이딘로보틱스 대표는 “시민 안전을 위해 로봇 기술을 활용할 수 있게 돼 뜻깊게 생각한다”며 “앞으로도 국내 치안 산업에 기여하도록 연구개발에 매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드론 및 4족 보행 로봇이 산업 현장서 큰 역할할 것” 영인모빌리티와 테이슨이 드론 및 4족 보행 로봇의 활성화를 위해 MOU를 체결했다. 양사는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앞으로 산업 현장에서 안전을 목적으로 로봇을 활용하는 사례를 확대할 계획이다. 영인모빌리티의 로봇 플랫폼과 테이슨의 로봇 원격 운영 및 영상 관제 통합솔루션인 ‘로봇워크(RobotWork)’ 등 양사의 역량과 노하우를 총동원한다. 이번 행사에는 권용식 영인모빌리티 대표이사와 김영우 테이슨 대표이사 등 양사 관계자가 참석했다. 협약 내용은 드론 및 4족 보행 로봇 통합 운영관제 솔루션 개발과 더불어 산업 육성·비즈니스 모델 개발 등에 대한 상호 협력안이다. 권용식 영인모빌리티 대표이사는 “산업 현장 안전이 어느 때보다 중요한 지금, 드론 및 4족 보행 로봇이 산업 현장에서 안전 지킴이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영인모빌리티의 로봇 기술과 테이슨의 로봇 통합 운영관제 솔루션이 산업 내 필수 요소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SK하이닉스와 동국대학교 융합연구센터(CRC)는 산업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스마트 기술 공동 연구 협약(MOU)을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SK하이닉스와 CRC는 ▲사업장 내 4족 보행 로봇의 자율 주행 안전성 향상 ▲위험 예지 시스템 인공지능(AI) 알고리즘 고도화 ▲로봇-사람 간 실시간 소통 강화 등에 협력하기로 했다. 각자 연구 분야 성과를 공유해 연내 SK하이닉스의 사내 안전관리 디지털 전환(SDX) 관련 기술 개발을 완료할 계획이다. CRC가 연구 중인 범죄 예방 정보통신기술(ICT)은 산업 안전 분야에도 접목할 수 있어 시너지를 낼 것으로 SK하이닉스와 동국대는 기대했다. 임중연 CRC 센터장은 "사회적으로 의미 있는 연구 개발을 함께하게 됐다"며 "산업 안전과 범죄 예방 분야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내도록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김형수 SK하이닉스 부사장은 "ICT를 접목해 당사의 산업 안전은 물론 우리 사회의 범죄 예방 효과를 높이고자 최선의 협력을 다할 것"이라며 "SK하이닉스는 융합 기술을 지속적으로 확보해 안전한 사업장을 만들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