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IC가 미국의 제재에도 불구하고 강력한 자국 내 수요에 힘입어 최대 분기 실적을 올렸다. 9일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SMIC는 지난 3분기(7∼9월) 매출이 작년 같은 기간보다 34% 늘어난 21억7천만달러(약 3조원)를 기록했다고 지난 7일 공시했다. SMIC 분기 매출이 20억달러를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순이익은 1억4천880만달러(약 2천억원)로, 작년 동기 대비 58.3%나 늘어났다. 3분기 매출 가운데 86.4%는 중국에서 나왔고 미국과 유럽·아시아 비중은 각각 10.6%와 3%였다. SMIC는 2020년 12월 미국 제재 리스트에 올라 반도체 첨단장비에 대한 접근이 차단당하자 레거시(구형) 제품 판매 확대로 돌파구를 마련했다. 미국의 제재 속에 화훙반도체와 넥스칩 등 다른 중국 반도체 회사들의 3분기 실적도 호조를 보였다. 이에 따라 재집권에 성공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취임 후 중국 반도체 산업에 대한 통제를 강화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마이클 맥콜 미국 하원 외교위원장(공화·텍사스)이 미 상무부에 SMIC 시설을 조사하고 화웨이를 위해 불법적으로 반도체를 생산하는지 여부를 규명해야 한다고 최근 촉구하는 등 벌
두 기업의 3분기 실적, 콘텐츠 분야에서 희비가 엇갈려 네이버와 카카오의 올해 3분기 실적이 콘텐츠 매출 등 요인으로 엇갈렸다. 네이버는 8일 연결 기준 3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1.1% 증가한 2조7천156억원, 영업이익은 38.2% 증가한 5천253억원으로 집계됐다고 공시했다. 영업이익은 연합인포맥스가 집계한 시장 전망치 5천32억원을 4.4% 상회했다. 네이버가 영업이익 5천억원을 넘은 건 이번이 처음이다. 영업이익률은 3.8%포인트 오른 19.3%를 기록하며 6분기 연속 상승 추세를 이어갔다. 이는 2022년 최수연 대표이사 취임 후 네이버가 인건비·마케팅 비용을 적정 수준으로 통제하고, 인프라 투자를 합리적으로 집행한 영향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또한, 홈피드·클립 등 신규 서비스 출시, 기존 플랫폼 고도화 등 수익 창출을 통해 이용자가 네이버 생태계 안에서 머물도록 유도함에 따라 자연스레 광고 수익 증가로 이어진 측면도 있다. 이런 가운데 올해 들어 누적 매출 7조8천억원을 넘어선 네이버가 올해 처음으로 연매출 10조원을 달성할지 관심이 쏠린다. 지난해 매출 9조6천706억원을 기록하며 처음으로 매출 9조원대를 기록한 네이버가 2022년 3분
삼성전자 3분기 세계 스마트폰 출하량 5950만 대로, 전년 동기 대비 8.461% 감소 삼성전자의 3분기 전 세계 스마트폰 출하량이 전년 동기 대비 8% 넘게 감소한 반면 경쟁업체인 애플과 샤오미의 출하량은 늘어난 것으로 전해졌다.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은 20일(현지시간) 시장분석기관 IDC를 인용해 삼성전자의 3분기 세계 스마트폰 출하 규모가 5950만 대로 전년 동기 대비 8.461% 줄어들었다고 보도했다. 이에 시장 점유율도 전년 동기 21.4%에서 지난 3분기 19.7%로 내려왔다. 반면 2위 애플은 3분기 출하 규모가 5360만 대로 전년 동기 대비 2.485% 늘었고 시장 점유율도 17.2%에서 17.7%로 올라갔다. 3위 샤오미는 출하 규모가 전년 동기 대비 2.469% 늘어난 4150만 대이고, 시장 점유율은 13.4%에서 13.7%로 늘었다. 한편 WSJ은 시장분석기관 카운터포인트 리서치를 인용해 지난달 중국 시장에서 화웨이·샤오미 등 중국 제품 출하는 늘어난 반면 애플 아이폰은 부진했다고 전했다. 지난달 1∼4번째주 중국 내 스마트폰 출하 규모가 전년 동기 대비 11% 늘었고 화웨이는 90% 이상, 샤오미는 33% 증가했다는 것이다. 화
Armv9 프로세서 기술 포함 자동차, 서버에서 Arm 기반 칩 수요 대폭 증가 Arm이 2022년 회계연도 3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분기 총 매출액은 전년 대비 28% 증가한 7억4600만 달러를 기록했다. Arm파트너사들이 역대 분기 최고로 80억 개의 Arm 기반 칩을 출하하면서, 현재까지 총 출하량은 1조의 25%인 2500억 개를 넘는다. 조정 EBITDA는 4억500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조정EBITDA 마진율 50%를 초과했다. 라이선싱 매출은 전년 대비 65% 증가한 3억 달러로, 이는 4개의 핵심 고객(자동차 OEM,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 주요 마이크로컨트롤러 제조업체, 가전용 반도체 공급업체)과의 새로운 전략적 장기 계약을 포함한다. 로열티 매출은 전년 대비 12% 증가한 4억4600만 달러로, 이는 프리미엄 스마트폰 및 클라우드 서버 애플리케이션에서 주목받는 Armv9 프로세서 기술뿐 아니라 자동차 분야의 Arm 기반 서버 기술 및 Arm 기반 칩에 대한 강력한 수요에서 비롯됐다. 자동차, 소비자용 디바이스, 인프라 및 IoT 전반에서 두세 자릿수의 매출 증가로 모든 타깃 시장에서 강력한 매출 성장을 드러냈다. Arm 르네 하스(R
헬로티 서재창 기자 | 서울반도체는 5일인 오늘 2021년 3분기 매출(연결기준) 3403억 원, 영업이익 240억 원, 당기순이익 284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7%, -5.6%, 95.2% 성장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2분기에 기록한 역대 최고 분기 매출을 다시 경신한 기록이며, 3분기 누계 당기순이익은 722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5% 성장했다. 서울반도체는 반도체 부품 부족, LCD패널 가격 상승 등으로 인한 전방산업의 생산 차질에도 불구하고, 디스플레이 부문은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로 각광받는 Mini LED를 양산하며 글로벌 TV 업체들에게 공급하기 시작했다. 일반조명 부문은 인체의 24시간 생체리듬에 최적화된 햇빛과 가장 유사한 광원 ‘썬라이크’, 일부 경쟁사의 인수합병으로 비즈 기회가 확대된 '하이파워', 원예용 LED시장 등에 적극 대응하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자동차 부문은 글로벌 생산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반도체 혁명인 패키지가 필요 없는 ‘와이캅’ 기술 제품이 전기자동차 등 헤드램프에 확대 적용되며 2021년 기준 년 글로벌 자동차 출하량(7900만 대)의 10%에 가까운 700만 대 규모의 자동차에
헬로티 서재창 기자 | 현대오토에버는 29일인 오늘 올해 3분기 실적이 연결 기준으로 5535억 원의 매출과 248억 원 영업 이익을 기록했다고 29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39.4%, 영업 이익은 10.8% 성장했다. 3분기 사업 부문별 실적을 보면, SI 사업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7.8% 증가한 1975억 원으로 집계됐다. ITO 사업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6.1% 늘어 2662억 원을 기록했다. 합병으로 추가된 차량 소프트웨어 부문은 897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각 사업 부문 실적은 차량 소프트웨어 플랫폼 모빌진 클래식의 확대 적용, E 커머스 플랫폼(기아 글로벌 온라인 판매 플랫폼 등) 구축, 완성차 인도네시아 공장 IT 시스템 구축, 디지털키 2.0 시스템 구축, 커넥티드 카 서비스를 위한 클라우드 인프라 증설 등 다양한 사업의 확대로 매출이 성장했다. 현대오토에버가 올 3분기까지 연구 개발비에 투자한 금액은 416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395% 증가한 막대한 투자 규모를 기록해 기술 투자에 적극적인 빅테크 기업을 연상하게 했다. 미래차 기술 리더로 도약하기 위해 현대오토에버는 더 적극적으로 차량 소프트
[첨단 헬로티] 씨게이트 테크놀로지(Seagate Technology)가 2020년 4월 3일 마감된 회계연도 2020년 3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씨게이트는 2020년 3분기 동안 3억 9천만 달러의 운영 현금을 창출했고, 2억 6천만 달러의 잉여현금 흐름을 기록했다. ▲ 씨게이트의 3분기 실적 결과 (씨게이트 제공) 해당 분기 동안 씨게이트는 견조한 대차 대조표를 유지했으며, 1억 7천만 달러의 현금 배당금을 지급했고 1억 9천 5백만 달러에 400만 보통주를 환매했다. 씨게이트의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분기 말 기준 총 16억 달러에 달하며, 동 분기 기준 보통주 2억 5천 7백만 주가 발행됐다. 씨게이트의 회장 겸 CEO인 데이브 모슬리(Dave Mosley)는 “씨게이트는 코로나19라는 전례 없는 위기 상황 속에서도 3분기를 훌륭히 헤쳐나갔다”며 “임직원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최선의 노력을 다했으며, 고객 요구 사항을 지원하고 제품 로드맵을 실현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이러한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우리는 탄탄한 재무 성과 및 중반기 가이던스를 뛰어넘는 매출과 GAAP 기준
[첨단 헬로티] LG전자가 2017년 3분기 잠정실적을 발표했다. LG전자는 이번 3분기에 연결기준 매출액 15조 2,279억 원, 영업이익 5,161억 원을 기록했다.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각각 15.2%, 82.2% 증가했다. 올 3분기 누적 기준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44조 4,365억원, 2조 1,017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각각 9.5%, 53.1% 늘었다. 잠정실적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에 의거한 예상치이며, 연결기준 순이익 및 사업본부별 실적은 이달 말 예정된 실적설명회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LG전자는 주주 및 투자자들에게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경영실적을 전달하기 위해 2016년 1분기부터 잠정실적을 공시하고 있다.
▲ 삼성SDS 2016년 3분기 매출실적 [사진=삼성SDS] [헬로티] 삼성SDS가 27일 잠정실적 공시를 통해 3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삼성SDS는 3분기 매출액은 지난해 동기 대비 6.8% 증가한 2조 12억 원, 영업이익은 지난해 동기 대비 41.9% 증가한 1706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사업부문별 실적을 보면 IT서비스 사업 매출은 1조 1305억 원, 영업이익은 1172억 원이고 물류BPO 사업 매출은 8707억 원, 영업이익은 534억 원을 각각 달성했다. 물류BPO 사업의 경우는 고객사 IT제품 판매호조에 따른 물동량 증가와 판매물류 사업 확대로 매출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IT서비스부분에서는 현재 IT서비스 시장의 어려운 상황에도 불구하고 솔루션 사업 확대로 어려움을 극복한 것으로 풀이된다. 삼성 SDS는 “IT서비스시황이 좋지 않아 어려움이 예상되었지만 지속적인 원가혁신과 적극적인 글로벌 시장 공략 등을 통해 시장 컨센서스에 부합하는 수준을 보여줬다”고 밝혔다. 김지환 기자 (ueghqwe@hellot.net)
▲ 삼성전자 2016년 3분기 매출실적 [자료=삼성전자] [헬로티] 삼성전자가 지난 3분기 매출 47조 8200억 원, 영업이익 5조 2000억 원, 순이익 4조 5400억 원의 실적을 발표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7.5%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29.7% 감소했다. 기타 영업 외 이익은 약 5400억 원 수준이며, ASML 등 투자자산 처분 이익의 영향이 컸다. 부문별 세부 내용을 살펴보면, 3분기 반도체 사업은 고용량 제품 공급 확대에 따른 메모리 실적 성장으로 매출 13.15조 원과 영업이익 3.37조 원을 달성했다. 메모리 사업은 48단 V-NAND 공정 전환의 지속적인 추진과 수요가 집중된 20나노 제품 출하량을 크게 늘린 결과 전 분기 대비 실적이 대폭 개선됐다. 시스템LSI 사업은 14나노 파운드리 수요 호조, 중저가 모바일 시스템온칩(SoC) 판매 확대, 중국에서의 이미지센서 매출 증가에 힘입어 견조한 실적을 달성했다. 3분기 디스플레이 사업은 매출 7.06조 원, 영업이익 1.02조 원을 달성했다. OLED 패널의 경우, 고부가 제품 비중 확대로 실적이 대폭 개선됐고, LCD 부문도 수급 개선과 고부가 제품 비중 확대로 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