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자동차 업계는 완전 자율 주행을 실현하기 위해 돌진하고 있는 상황이다. 일본의 경우를 보더라도, 고급 자동차뿐만 아니라, 일반 자동차 및 경차에 이르기까지 신차에는 자동 브레이크 시스템 등의 ADAS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기능이 탑재되고 있으며, 그 인지도도 매우 높아짐에 따라 생활에 밀접해지고 있다. 로옴도 ADAS용 전원 LSI를 중심으로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그림 1) ▲ 그림 1. 자동차기기의 메인 분야인 ADAS 그러나, 완전 자율 주행 실현을 위해서는 아직도 다양한 기술의 혁신이 필요하다. 본 기고에서는 그 중요한 요소의 하나인 커넥티드 카, 특히 자동차의 무선 통신에 대해 기재하고자 한다. 자동차가 무선 기술을 통해 다양한 사물과 연결되어 온 경위를 되짚어봄으로써 앞으로 일어날 수 있는 동향을 예측해 보고, 편의성을 위한 도입인지, 법규제화에 따른 도입인지를 분류함으로써 각각의 기능 도입 이유 및 현상을 파악해보고자 한다. 기존의 커넥티드 -차량 내부에서의 통신 기존의 차량 내부에는 다양한 무선 기능이 탑재되어 있다. 편의성을 위해서는 스마트키 및 FM 트랜스미터가 탑재됐다. 최근에는
[헬로티] 국내 커넥티드 카 시장이 오는 2020년에는 23억 달러에 이를 전망이다. 또한 연결되는 자동차수도 440만 대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같은 전망은 최근 현대경제연구소가 발표한 사물인터넷 관련 유망산업 동향 보고서에 따른 것이다. ⓒGetty images Bank 현대경연에 따르면 국내 커넥티드 카(Connected Car) 시장은 2015년 5억2000만 달러에서 오는 2020년에는 23억 달러로 성장, 5배에 가까운 증가세를 보인다. 부문별 점유율을 보면 안전 및 주행보조 기능이 13억3000만 달러로 전체의 57.9%를 차지하고, 연결 및 통신 분야가 5억5000만 달러), 차량관리 1억5000만 달러 등이다. IoT로 연결되는 차량 수는 같은 기간 60만대에서 440만대로 8배 이상 확대될 전망이다. 세계 커넥티트 카 시장의 경우, 2015년 263억2000만 달러에서 오는 2020년에는 1,186억2000만 달러로 연평균 35% 이상 성장을 거듭할 것이란 추산이다. 이 가운데 안전 및 주행보조 기능이 부문별 점유율이 가장 클 것으로 보인다. 745억 4000만 달러로 전체 커넥티드 카 시장의 62.8%를 차지한다는 분석이다. 이어 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