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조상록 기자 | 이플랜(EPLAN)이 새로운 'EPLAN 플랫폼 2022'를 출시했다. 이번 플랫폼은 새롭게 설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개선된 워크플로우를 비롯해 상호 보완적인 클라우드 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추가 기능을 갖추고 출시 준비를 완료했다. 새로운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는 전반적으로 사용 편의성과 뛰어난 성능을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두었으며, 이는 통합 리본 바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백스테이지 뷰 사용자는 기존의 다른 많은 소프트웨어 솔루션에서도 인식이 가능하며, 사용자 인체공학적 기능 또한 크게 향상되었다. 이플랜 개발자들은 워크플로우 주제에 중점을 두고, 산업 가치사슬에 따라 협업을 개선할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를 설계했다. 이는 이플랜 플랫폼과 같은 CAE 솔루션이 기업들의 엔지니어링 및 제품 개발의 백본(Backbone)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반적인 고객 인프라 및 전략과 매우 긴밀하게 통합되어 있으며, 투자 측면에서도 수 년을 앞서 계획되었다. 이플랜 이빌드(eBuild) 및 이매니지(eManage)와 이뷰(eView)와 같은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은 이플랜 플랫폼의 맥락에서 완전히 새로운 형태의 협업이 가능하도록
헬로티 조상록 기자 | 이플랜(EPLAN)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전기설계 표준화 솔루션을 비롯해 3D 제어반 및 배전반 설계 솔루션, 하네스케이블 설계를 위한 2D/3D 솔루션 등의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전기설계 표준화 솔루션 ‘이플랜 일렉트릭 P8’은 이플랜 플랫폼의 핵심 솔루션이다. 이플랜 Electric P8은 자동화 장비 및 설비의 전기 회로를 설계하고, 제작, 시운전, 유지보수에 필요한 각종 보고서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관리한다. 또한, 다양한 자동화 기능을 통해 설계 리드타임을 단축하고 엔지니어링 오류를 최소화해 신뢰하는 프로젝트 수행을 지원한다. ‘이플랜 프로 패널’은 3D 제어반 및 배전반 설계 솔루션이다. 이 솔루션은 P8의 회로 설계를 3D 상에서 판넬에 배치하고 장치간의 배선을 자동으로 연결해 케이블의 연결 경로와 길이를 최적화한다. 또한, 장치간의 간섭체크, 케이블 덕트의 용적률 계
헬로티 서재창 기자 | 미쓰비시전기는 EPLAN의 새로운 파트너 프로그램인 'EPLAN 파트너 프로그램(이하 EPP)'에 가입했다고 밝혔다. EPLAN은 다년간 미쓰비시전기의 e-F@ctory Alliance 파트너로 활동하고 있으며, 이번 연계 강화로 스마트 매뉴팩처링 분야에서 디지털 연계와 솔루션 제공을 더욱 강화해갈 것으로 보인다. EPLAN 파트너 프로그램은 EPLAN의 소프트웨어와 파트너 기업의 PLC나 시뮬레이터 등 생산 현장의 기기, 부품 간의 인터페이스를 공동 개발해 제공하기 위해 이러한 인터페이스의 개발을 추진 및 강화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부가가치나 품질 향상을 목표로 한다. 미쓰비시전기와 EPLAN이 제공하는 통합 솔루션은 EPLAN의 Electric P8과 FA기기의 프로그래밍, 제어를 담당하는 미쓰비시전기의 MELSOFT iQ Works를 접속해 소프트웨어 간에 심볼릭주소, I/O리스트, 프로세스 변수 등의 데이터를 오픈데이터 형식으로 송수신 가능하게 한다 . EPLAN의 데이터셋을 MELSOFT iQ Works의 PLC 하드웨어 구성 및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의 기초 데이터로 활용하며, 사용자는 개발의 모든 단계에서 임의의 데이터를 교
헬로티 임근난 기자 | 미쓰비시전기는 EPLAN의 새로운 파트너 프로그램인 ‘EPLAN Partner Program’에 가입했다고 밝혔다. EPLAN은 다년간 미쓰비시전기의 e-F@ctory Alliance 파트너로 활동하고 있으며, 이번 연계 강화를 통해 스마트 제조에 있어서 디지털 연계와 솔루션 제공을 더욱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EPLAN Partner Program(EPP)은 EPLAN의 소프트웨어와 파트너 기업의 PLC나 시뮬레이터 등 생산 현장의 기기, 부품 간의 인터페이스를 공동 개발하여 제공하기 위해 이러한 인터페이스의 개발을 추진, 강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부가가치나 품질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 미쓰비시전기와 EPLAN이 제공하는 통합 솔루션은 EPLAN의 Electric P8과 FA기기의 프로그래밍, 제어를 담당하는 미쓰비시전기의 MELSOFT iQ Works를 접속하여 소프트웨어 간에 심볼릭 주소, I/O리스트, 프로세스 변수 등의 데이터를 오픈데이터 형식(AutomationML)으로 송수신 가능하게 한다. 이를 통해 엔지니어링 및 자동화 프로세스의 도입을 최적화할 수 있다. EPLAN의 데이터셋을 MELSOFT iQ Works의P
[헬로티] 글로벌 산업자동화 계기·솔루션 전문기업 엔드레스하우저가 엔지니어링 프로세스의 효율화를 위해 소프트웨어 솔루션 기업 ‘Eplan’의 파트너 네트워크에 합류했다. Eplan은 전기, 자동화 및 메카트로닉 엔지니어링 분야에 특화된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2021년의 포문을 여는 이니셔티브로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 향상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는 새로운 파트너 네트워크를 선보였다. 엔드레스하우저 또한 엔지니어링 프로세스의 효율화를 위해 네트워크의 일원으로 합류했으며, 파트너 네트워크의 핵심은 공급업체 간의 노하우 공유를 통한 협업의 증대와 지식의 전문화다. Eplan 네트워크는 가치사슬에 따라 각종 도구와 소프트웨어를 통합할 수 있는 새로운 툴을 정의하는 것은 물론, 공급업체 간의 열띤 의견 교환과 협업을 통해 고객이 이용 중인 다양한 시스템의 통합 또한 가능케 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엔드레스하우저의 프로젝트 매니저인 보리스 만은 “점점 더 많은 고객들이 개별적인 솔루션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이 같은 요구가 엔지니어링 및 플래닝 서비스에 대한 높은 수요로 이어지고 있다&rd
[첨단 헬로티] 스마트제조혁신센터, 스마트제조·스마트물류·글로벌 융합·IT 솔루션 등 전시 스마트제조의 발전과 확산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단순히 제조업 분야에서 자동화 수준으로 구축되던 스마트제조는 IoT, 클라우드, 디지털 트윈 등의 기술들과 접목해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제조 모델로 발전하고 있다. 더욱이 이 같은 모델은 활용 범위를 제조업에서 물류, 에너지, 건설 등으로 확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번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19’(이하 오토메이션월드) 전시장에 마련된 ‘스마트제조혁신센터’에서는 그 발전과 확산의 모습을 엿볼 수 있었다. 스마트제조혁신센터에는 SK텔레콤, 미쓰비시전기, 이플랜(EPLAN), 마이다스아이티(MIDAS IT), 버넥트(VIRNECT), 훼스토(FESTO), RS오토메이션, 스튜디오쓰리에스 등이 참가해 다양한 솔루션을 선보였다. 이 참가 기업들의 솔루션은 스마트제조 네트워크 인프라에서부터 빅데이터 분석, 디지털 기반 설계 솔루션, 스마트 물류 등으로 요약된다. ▲SK텔레콤의 5G 기반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전시 부스 SK텔레콤은 5G를 기반으
이플랜소프트웨어앤서비스(EPLAN Software & Services)가 최근 한국독립법인을 설립했다. 이플랜소프트웨어앤서비스는 지난 2008년에 국내 시장에 진출해 현재 국내 600여 고객에게 2700라이선스를 공급하는 성과를 이뤘다. 한국법인 설립에 대해 회사 관계자는 "제품의 다양화, 서비스의 향상 및 맞춤형 솔루션을 더욱 체계적이고 합리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독립법인 설립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플랜코리아는 국내 고객들을 위해 적극적인 활동을 전개할 계획이다. 올해 영남지역 고객을 긴밀히 지원할 수 있도록 영남지사를 설립할 예정이고, 전국을 4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고객 교육센터 운영을 기획하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이플랜코리아의 지속적인 투자와 협력으로 한국기업이 글로벌 경쟁에서 앞서나가며 또한 스마트팩토리 구현을 앞당길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진희 기자 (jjang@hellot.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