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물인터넷] 글로벌 기술 표준화, 플랫폼 구축으로 미래 사물인터넷 시대 주도 1 - 국제 표준화 기구의 사물인터넷 기술 표준화 [사물인터넷] 글로벌 기술 표준화, 플랫폼 구축으로 미래 사물인터넷 시대 주도 2 - 산업체 주도 연합의 사물인터넷 기술 표준화 산업체 주도 연합의 사물인터넷 기술 표준화 1. Allseen Alliance 오픈소스 코드 프레임워크를 통해 기기 연결과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난 2013년 12월, 리눅스 재단의 주도하에 퀄컴, LG전자, 하이얼, 샤프, 마이크로소프트, 파나소닉, 티피링크 등 51개 기업이 참여하여 출범한 연합체이다. 즉, 다양한 기기들이 특정 브랜드, 플랫폼, 운영 체제 등에 관계없이 능동적으로 상호 작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오픈 소스 기반의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연결성 지원을 위한 개방형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으며, 우선 적용 분야는 스마트 홈 시장이다. 따라서 네트워크를 통한 기기 간 정보전달 및 제어를 위해 퀄컴이 개발한 오픈소스 기반 솔루션인 ‘올조인(AllJoyn)‘을 채택함에 따라 윈도 OS, 안드로이드 OS, iOS, OS X 등 각종 스마트 단말
[사물인터넷] 글로벌 기술 표준화, 플랫폼 구축으로 미래 사물인터넷 시대 주도 1 - 국제 표준화 기구의 사물인터넷 기술 표준화 [사물인터넷] 글로벌 기술 표준화, 플랫폼 구축으로 미래 사물인터넷 시대 주도 2 - 산업체 주도 연합의 사물인터넷 기술 표준화 산업체 주도 연합의 사물인터넷 기술 표준화 1. Allseen Alliance 오픈소스 코드 프레임워크를 통해 기기 연결과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난 2013년 12월, 리눅스 재단의 주도하에 퀄컴, LG전자, 하이얼, 샤프, 마이크로소프트, 파나소닉, 티피링크 등 51개 기업이 참여하여 출범한 연합체이다. 즉, 다양한 기기들이 특정 브랜드, 플랫폼, 운영 체제 등에 관계없이 능동적으로 상호 작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오픈 소스 기반의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연결성 지원을 위한 개방형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으며, 우선 적용 분야는 스마트 홈 시장이다. 따라서 네트워크를 통한 기기 간 정보전달 및 제어를 위해 퀄컴이 개발한 오픈소스 기반 솔루션인 ‘올조인(AllJoyn)‘을 채택함에 따라 윈도 OS, 안드로이드 OS, iOS, OS X 등 각종 스마트 단말
최근 IoT 시장 선점을 위한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2015년에는 시장의 주도권을 잡기 위한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사물인터넷과 로봇 플랫폼 로열티를 확립하기 위한 행보를 주시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 로봇융합기술 및 산업 전망 세미나에서 류한석기술연구소의 류한석 소장이 발표한 <사물인터넷, 로봇, 인공지능 트렌드와 비지니스 전망>의 내용을 정리한다. Evans Data Corporation가 2014년 6월 조사한 바에 따르면, 전 세계 개발자의 40%가 사물인터넷(IoT)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하고 있거나 2014년 내에 개시할 생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트너는 2020년까지 260억개의 IoT 기기가 사용될 것이며 3000억달러 규모의 시장을 창출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2014년을 기점으로 로봇 벤처들에 대한 투자가 가속화되고 있으며, 올해부터 실제 제품의 출시 및 매출을 발생시키는 기업들이 점차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무엇보다 플랫폼을 확립하는 기업이 시장의 승자가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렇다면 현재 시장에 출시된 IoT 플랫폼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사물인터넷 및 로봇 플랫폼의 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