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광화문 HJ 비즈니스센터서 산업부-태양광 제조기업 대표자 간 간담회 개최 한국태양광산업협회(이하 협회)가 18일 산업통상자원부와 태양광 제조기업 대표자 간의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태양광 산업계의 건의사항·애로사항, 태양광 산업 활성화 및 산업 정책 방향 등이 공유됐다. 또한 연속되고 있는 집중 폭우로 인한 상황에 대해 논의하고 산지 태양광을 비롯해 태양광 안전관리와 점검에 대해 태양광 산업계에서도 정부 정책에 발맞춰 적극적으로 노력하기로 했다. HJ 비즈니스센터 광화문에서 진행된 간담회에는 최연우 산업통상자원부 재생에너지정책관, 박성우 산업통상자원부 재생에너지산업과장, 김철영 산업통상자원부 재생에너지산업과 서기관, 임은성 산업통상자원부 재생에너지산업과 사무관, 유영선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센터 실장, 추승환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센터 팀장, 이건우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센터 팀장, 홍성민 한국태양광산업협회 회장, 최기혁 한국태양광산업협회 총회의장을 비롯해 모듈기업, 인버터기업, 구조물기업, EPC기업, 시스템기업, 재자원화기업 대표 등 20여 명이 참석했다. 최근 국내 태양광 산업은 금리 상승, 수입산 모듈의 저가공세 등 대외적 환경변화와
지능형 전력 및 센싱 기술 기업인 온세미는 업계 최고 수준의 성능으로 전도(conduction) 및 스위칭 손실을 최소화하는 새로운 초고효율 1200V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insulated-gate bipolar transistors, 이하 IGBT)를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해당 디바이스는 고속 스위칭 애플리케이션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주로 태양광 인버터,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UPS),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전기차(EV) 충전 전력 변환과 같은 에너지 인프라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될 예정이다. 새로운 1200V 트렌치 필드 스톱(Trench Field Stop) VII(이하 FS7) IGBT는 고전압(부스트 스테이지)에 대한 입력을 증가시키는 데 사용되며, 인버터는 높은 스위칭 주파수 에너지 인프라 애플리케이션에서 AC 출력을 제공한다. FS7 디바이스의 스위칭 손실이 낮기 때문에 더 높은 스위칭 주파수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자성 부품의 크기를 줄이고 전력 밀도를 높이며 시스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고전력 에너지 인프라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FS7 디바이스의 양의 온도 계수를 통해 병렬 작동이 가능하다. 온세미 파워 솔루션 그룹
자금 조달 등 태양광 사업 내 다양한 문제에 대한 솔루션 제시 에너지 IT 플랫폼 기업 엔라이튼(ENlighten)이 업계 최초로 시공비와 기자재에 대한 최대 100% 여신 상품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엔라이튼은 국내 1위 태양광 금융 실적 노하우와 국내 최대 에너지 플랫폼을 기반해 태양광 사업 여신 상품을 기획했다. 이를 통해 자금 조달 고민 등 태양광 사업 내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는 것이 골자다. 엔라이튼에 따르면, 시공비 최대 100% 여신은 담보와 보증 부담을 최소화해 태양광 발전 사업에 대한 건설 기간 내 현금 확보 부담을 해소해 준다. 태양광 발전소를 건설 중이거나 착공 예정이라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으며, 1MW 기준 공사비 최대 8억 원까지 먼저 지급된다. 엔라이튼은 "까다로운 선급금 이행 보증 증권이 요구되지 않고, 검토부터 자금 집행까지 1개월 이내에 신속하게 이루어진다"고 설명했다. 기자재 여신의 경우 자금 조달에 대한 고민 없이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태양광 모듈과 인버터를 확보할 수 있게 마련됐다. 총 금액의 30% 이내 선급금만으로 현금 매입가의 모듈과 인버터를 확보해 공사에 착공할 수 있으며, 모든 제조사의
[헬로티]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는 650V CoolSiC Hybrid IGBT 디스크리트 제품군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출처 : 인피니언 CoolSiC Hybrid 제품군은 650V TRENCHSTOP 5 IGBT 기술과 유니폴라 구조의 쇼트키 배리어 CoolSiC 다이오드를 결합했다. 우수한 스위칭 주파수와 낮은 스위칭 손실로 DC-DC 파워 컨버터와 PFC (역률 보상)에 적합하다. 주요 애플리케이션은 배터리 충전 인프라, 에너지 저장 솔루션, 태양광 인버터, 무정전 전원장치 (UPS), 서버 및 텔레콤 SMPS 등이다. CoolSiC Hybrid IGBT는 IGBT와 프리휠링 SiC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를 패키지에 통합해, 동작 시 거의 일정한 dv/dt 및 di/dt 값으로 스위칭 손실을 크게 낮춘다. 표준 실리콘 다이오드 솔루션과 비교해서 Eon은 최대 60퍼센트, Eoff는 최대 30퍼센트까지 낮춘다. 또한 출력 전력 요구는 그대로이면서 스위칭 주파수를 40퍼센트까지 높일 수 있다. 스위칭 주파수를 높이면 수동 부품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므로 BOM (bill of materials) 비용을 낮출 수 있다고 인피니언은 전했다. 또한 쇼트키 배리어
[첨단 헬로티] 리얼테크가 9월 27(수)일부터 29일(금)까지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리는 Energy Plus 2017(2017 에너지풀러스)에 참가해 전력변환장치, 풍력·태양광 인버터, 에너지저장장치 등을 전시했다. 리얼테크는 신재생에너지, 전력변환장치의 개발·설계·제작 전문기업으로 설계뿐만 아니라 대량 생산체제를 구축해 국내 유수기업에 공급하고 있으며, 제품의 품질을 세계시장에서 인정받아 그 입지를 더 넓혀가고 있다. 기업 가치를 높이기 위해 설계 및 조립공정 개선을 통한 최고의 제품생산과 마케팅 강화를 통해 경쟁력을 갖춘 기업으로 역할을 다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에너지신산업 전시회들이 통합되어 역대 최대 규모로 열리는 에너지 산업 전시회인 ‘Energy Plus 2017(2017 에너지플러스)'은 코리아스마트그리드엑스포, 인터배터리, 한국전기산업대전‧한국발전산업전, 서울국제전기차엑스포, 신재생에너지엑스포 및 그린빌드 총 5개의 명성 있는 에너지 분야 전시회들이 한자리에 모여 700개사 1,500부스 규모로 개최된다. Energy Plus 2017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스마
[첨단 헬로티] 싱가포르가 새로운 태양 에너지 사용으로 에너지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육지 면적이 부족한 싱가포르는 태양 에너지 적용을 엄격하게 제한해 왔으며, 그 대안으로 수상 부유식 솔라 패널을 도입했다. 수상 태양 플랫폼은 물로 둘러 쌓여 있기에 자연적인 냉각을 통해 에너지 생산 효율성을 크게 높여준다. 연구에 따르면 물 위에 태양 전지가 위치하여 자연적인 냉각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해 육상 태양전지 대비 11%까지 더 효율적이다. 전기제품, 산업자동화 기술 선도인 ABB는 싱가포르의 1MW(메가와트) 수상 태양광 실증을 위해 주요 구성요소를 제공하기로 했다. 축구 경기장 1.5배 크기인 이 발전소에서 발전된 에너지는 국가 전력망에 공급되며, 최대 250 가구에 전기 공급이 가능하다. ABB 전기제품 사업본부 총괄대표 타락 메타는 “이번 프로젝트는 에너지 변혁에 대한 차세대 전략과 완전하게 조화를 이루고 있다”며, “파트너사와 함께 협력하여 미래 에너지 믹스에 더 많은 신재생 에너지를 도입하기 위한 중요한 단계”라고 말했다. 싱가포르 서부의 텐저 저수지에 위치한 이 시설물은 공급업체가 수상 부유식 태양 플랫
CORE는 PCS, OPS, EV 차저 등 태양광 인버터 내부에 들어가는 부품을 제조하는 업체이다. 최근에는 트랜스포머나 리액터, EMI 필터, 전류 센서 등도 제조하면서 인버터 내부 부품을 일괄 공급하고 있다. 다쓰테크, 동양ENP, 햅시바 등 약 60% 이상의 국내 기업과 거래 중인 CORE는 더 많은 해외 바이어를 찾고자 2017 월드 에너지 위크를 찾았다. Q. 이번 전시 콘셉트는 무엇인가요? 최근에는 저희 회사가 인버터 소형화를 위해 메가플럭스나 아몰퍼스 같은 최신 소재를 사용하여 리액터나 트랜스포머를 소형화하고 중량을 줄이려고 하고 있어요. 단가적인 문제가 있다 보니 제품의 무게와 크기를 줄이는 방향으로 콘셉트를 잡았습니다. Q. 일본 시장에 진출하신 지 5년 정도 된 걸로 알고 있습니다. 일본 시장의 특징이 무엇인가요? 일본 시장은 품질과 신뢰에요. 처음 거래를 뚫기가 매우 어렵지만 한 번 뚫으면 신뢰를 바탕으로 앞으로 10년, 20년을 바라보며 사업을 할 수 있는 영역이죠. 그러다 보니 저희도 쉽게 놓지 못하고 있어요. Q. 진출하면서 어떤 점이 가장 어려웠나요? 일본 업체와의 신뢰를 확보하기 위해 ‘디버깅(debugging)&rsq
인우에너지는 아직 사업을 시작한 지는 3년밖에 안 된 업체이지만 다양한 제품군으로 일본 시장을 공략하고자 전시에 참여했다. 주 생산 품목은 태양광 인버터와 하이브리드 인버터, ESS이고 산업용이나 큰 부하에 사용할 수 있는 ESS 시스템을 위주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인우에너지의 허진 팀장에게 출시 기술에 대해 자세히 들어보았다. Q. 전시에 참여한 목적이 무엇인가요? 이 전시회가 일본뿐만 아니라 중국과 한국에서 많은 분들이 찾아오고 있잖아요. 그 분들에게 저희 제품을 소개하고 잠재적 구매자를 찾기 위해 이 전시에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Q. 전시 중인 기술에 대해 소개해주세요. 가정용 PV 인버터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3KW 정도의 부하를 사용할 수 있는 태양광 인버터 기술이에요. 또 배터리 팩에 전기를 저장해서 비상시나 피크 시간 때에 사용할 수 있는 ESS 형태의 제품을 전시 중입니다. 저희 기업의 ESS 제품은 리튬 이온 배터리 팩을 사용하지만 납축전지도 사용할 수 있는 범용적인 제품이에요. 제품 자체에 UPS 기능도 가지고 있어서 비상 전원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태양광, 패널, 부하 그리드를 전부 한 곳에 물릴 수 있습니다. MPP
[헬로티]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코리아 대표 이승수, 이하 인피니언)가 새로운 62mm IGBT 모듈을 출시했다. 이 모듈은 검증된 62mm 패키지에 더 넓은 칩 면적과 개조된 DCB 서브스트레이트를 사용하여 패키지 크기를 늘리지 않고서도 갈수록 높아지는 전력 밀도에 대한 욕구를 충족할 것으로 보인다. 1200V 블로킹 전압 모듈 제품은 드라이브, 태양광 인버터, 무정전 전원장치(UPS) 등의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며, 1700V 블로킹 전압 모듈은 중전압 드라이브에 적합하다. 1200V 블로킹 전압 62mm 모듈과 1700V 블로킹 전압의 최대 정격 전류는 각각 600A, 500A이다. 이 패키지는 산업 표준 크기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기존 디자인에 보다 쉽게 통합할 수 있다. 인피니언의 새로운 전력 모듈 제품의 두 버전은 ‘공통 이미터(emitter)’ 구성을 제공하므로 3레벨 토폴로지(T-type, NPC2)를 구성할 수 있다. 이는 전력 요구량이 높은 태양광이나 UPS같은 애플리케이션에 효율적으로 사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모듈 제품은 양산 공급중이며 TIM(thermal interface material)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