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서재창 기자] 인터몰드코리아 2021(이하 인터몰드)이 오는 3월 16일부터 22일까지 7일간 온라인으로 개최된다. 에스피엠은 이번 인터몰드에 참여해 사용자를 고려한 디자인 변경 등 현장조건을 고려해 향상된 방전가공기 장비를 선보일 예정이다. 에스피엠은 팬데믹 상황 속에서도 고객 원거리 교육 및 서비스 지원 등 비대면 환경에 적합한 비즈니스 환경 구축에 힘썼다. ▲임종석 에스피엠 대표 에스피엠은 어떤 회사인가? 에스피엠은 1993년 서울정기로 설립돼 금형산업의 기본 공작기계인 와이어 컷 방전기를 전문으로 생산하는 대한민국 유일의 업체다. 그간 국내외에 2천여 대를 판매했으며, 그동안의 많은 노력으로 기술개발을 진행해왔다. 자체 기술력으로 PC BASEED CONTROLLER를 적용한 와이어 컷 방전가공기를 판매하는 업체로 성장한 것에 대해 큰 자부심을 갖고 있다. 현재는 소형모델에서 TV 금형을 가공하는 대형모델까지 모두 8종류의 다양한 제품을 생산 및 판매하고 있다. 지난해 에스피엠의 경영 전략 및 방침은? 2년 전 인터몰드 전시회보다 한 단계 높은 수준의 장비를 출시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인원충원과 합리적인 관리, 절대품질 달성, 생산성 향상을
[첨단 헬로티] 스기야마 코스케(杉山 廣祐), 카타히라 케이코(片平 敬子) ㈜牧野후라이스제작소 1. 서론 최근 스마트폰과 태블릿 등의 급속한 보급에 의해 컴퓨터 기기의 성능이 비약적으로 향상되고 있으며, 유저 인터페이스나 모니터링 기능 등 응용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공작기계에서도 이러한 최신 테크놀로지를 도입, 기능 향상에 도움을 주고 싶다고 생각하고 있다. 또한 공작물에 대한 높은 정도 요구도 증가하고 있으며, 효율이 좋고 정도가 높은 가공 방법의 제안을 고려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와이어 방전가공기에 탑재하는 ‘음성인식에 의한 기계 조작’과 ‘카메라에 의한 기사 측정’에 대해 소개한다. 2. 음성인식에 의한 기계 조작 ATHENA (아테나) 음성인식에 의한 여러 가지 기기의 조작은 최근 매우 주목을 받아 진보하고 있다. 사람에 대해 지시를 할 때나 요건을 전달할 때와 같이 목소리를 내면, 컴퓨터가 그 말을 해석해 적절한 조작을 한다. 공작기계에서는 G 코드, M 코드나 조작 화면을 대신하는 새로운 인터페이스가 되어, 초보자도 기계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양손을 사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조작이
[첨단 헬로티] 오카네 마사히로 (岡根 正裕), 세키모토 다이스케 (關本 大介) 三菱電機(주) 1. 서론 최근 자동차 업계에서는 EV/HV화에 동반해 차체의 경량화를 위해 외장품․프레임품의 알루미늄합금화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으며, 다이캐스트 금형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플라스틱 금형에서는 1개의 금형에서 여러 개를 꺼내기 위해 대형화 요구도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가공기도 이러한 금형가공 요구에 맞춘 기능이 필요하다. 이 글에서는 플라스틱 금형과 다이캐스트 금형의 제조에 있어 와이어 방전가공 공정의 과제에 대해 정리하고, 동사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가공 사례를 소개한다. 2. 플라스틱 금형/다이캐스트 금형에서 와이어 방전가공의 과제 다이캐스트 금형과 플라스틱 금형에서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과제를 이하에 나타냈다. 과제① : 공작물의 판두께가 일정하지 않고, 복수 판두께가 혼재하거나 판두께가 서서히 변화하거나 하는 공작물(그림 1)에 대해 치수 정도의 고정도화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와이어 방전가공기는 공작물의 판두께에 따라 특정의 가공 조건을 사용한다. 가공 판두께가 변화하는 공작물에서는 지정한 가공 조건의 판두께와 공작물
[첨단 헬로티] 우네다 료(溶田 涼), 사와자키 타카시(澤崎 隆) ㈜소딕 1. 서론 최근 대용량의 정보를 취급하는 통신․이동 수단의 상품 개발에서는 제품 사이클의 단명화에 의해 구상에서 양산까지의 기간 단축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한편, 가공의 고정도화도 추진되어 품질의 안정화와 생산성 향상도 큰 과제가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동사에서는 방전가공기의 고정도화․고속화 연구 개발에 대응해 왔다. 이 글에서는 그 최신 기술과 가공 예를 소개한다. 2. 형조 방전가공의 고정도․고속화 기술 동사는 신전원 ‘LP4’를 탑재하고 주축에 세계 최초(동사 조사)인 CFRP를 채용한 형조 방전가공기 ‘AP30L’(그림 1)을 개발했다. 전원 LP4는 새로운 방전회로를 개발, 가공 조건 데이터베이스 ‘LN Pro ADV’의 AI 추론에 의한 최적 가공 조건을 생성함으로써 가공 성능의 향상에 성공했다. 3건의 특허를 취득한 새로운 주축에서는 시머트리(대칭) 구조에 CFRP를 채용함으로써 경량, 고강성의 헤드를 개발하고 또한 열원에 대한 철저한 냉각도 더
[첨단 헬로티] 하야시 유스케(林 勇介), 모리타 카즈나리(森田 一成) 三菱電機(주) 1. 서론 최근에는 제품의 경량화나 소형화와 함께 플라스틱 성형품의 보강용 리브의 박형화가 추진되고 있다. 또한 LED 냉각용 히트싱크의 소형화 또는 냉각 효율 향상을 목적으로 히트싱크 금형에서도 홈 폭의 박형화와 심구화가 추진되고 있다. 이들 금형은 형조 방전가공기에 의해 제작되는 경우가 많다. 2. 형조 방전가공기의 박형 리브가공의 과제 형조 방전가공기의 박형 리브가공에서 플라스틱 금형의 이형성과 질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면조도 균일성 향상과 생산성 향상을 목적으로 한 가공 시간 단축과 기계 가동률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금형 제작의 코스트 절감을 목적으로 전극 소모량 절감에 의한 전극 개수 삭감의 요구도 받고 있다. 형조 방전가공으로 하는 박형 리브 전극가공의 경우, 가공 중의 점프다운 동작이나 요동 시에 전극이 받은 액저항에 의해 박형 리브와 같은 강성이 약한 전극의 경우는 전극에 흔들림이나 휨이 발생한다. 그렇기 때문에 가공 중의 전극와 워크의 극간 거리가 안정되지 않고, 가공 서보가 불안정해져 즉시 방전이나 집중 방전의 발생 빈도가 높아진다. 이들 요인에 의
[첨단 헬로티] 순수 국내 기술로 경쟁하는 와이어컷 방전가공기 제조기업 SPM은 26년간 와이어컷 방전가공기 개발과 생산에 주력해온 기업이다. 지난 1993년 설립된 SPM은 순수 국내 기술을 원천으로 고정밀의 와이어컷 방전가공기를 생산하며, 국내외 시장에서 장비와 서비스에 관한 호평을 받고 있다. ▲SPM 임종석 대표 SPM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지난 1993년 설립된 SPM은 현재까지 26년간 와이어컷 방전가공기 개발과 생산에 주력해왔습니다. 그동안 당사 고객의 성원에 힘입어 한 차원 높은 와이어컷 방전가공기를 만들고자 노력했습니다. 특히 저희 회사는 외국과의 기술 제휴 없이 순수 국내 기술력으로 와이어컷 방전가공기를 개발했고, 외국 제품이 지배하던 국내 시장에 우수한 경쟁력과 품질로 국내 유일의 와이어컷 방전가공기를 생산하는 기업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제조업의 근간인 공작기계 분야에서 우수한 기술력으로 자체 개발한 장비와 브랜드는 외국제품과 국내 경쟁은 물론이고 해외에 수출하는 상품으로 도약하고 있죠. 한편, 자체 기업부설 연구소에서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개발한 기술로 반도체와 전기·전자, 금형 제조
[첨단 헬로티] 타카야마 츠바사 (高山 翼), 마츠모토 이타루 (松本 格) ㈜소딕 1. 서론 동사에서는 '세상에 없는 것은 우리들이 만든다'라고 하는 이념 하에, 주력 제품이 되는 리니어 모터 구동 방전가공기를 비롯해 머시닝센터, 사출성형기 등을 개발, 2014년에 정밀 금형 3D 프린터 ‘OPM 시리즈’를 발표했다. 이 글에서는 OPM 시리즈의 특징 및 사용 금형에 의한 하이사이클 고품질 성형 사례를 소개한다. 2. OPM 시리즈에 대해서 금속 3D 프린터에 의한 조형 방법으로서 동사는 Powder Bed Fusion법을 채용하고 있다. 테이블 상면에 균일하게 금속분말을 빈틈없이 깔고 슬라이스한 2차원 데이터부에 고출력의 Yb 레이저를 조사해 용융, 응고시킨다. 소결 후 테이블이 0.05mm 내려가 분말을 공급하고 다시 레이저 조사, 소결이 이루어진다. 10층(임의) 소결 후, 기내에 탑재되어 있는 고속 밀링에 의해 소결 형상 측면을 고정도 절삭가공, 다시 레이저 소결로 돌아가 적층 및 절삭을 반복해 간다. 이것에 의해 고정밀의 조형물이 완성된다. 레이저 발진기에는 500W 출력 Yb 레이저를, 주축에는 45,000min-1의 스핀들을
[첨단 헬로티] 이케가메 마코토 (池龜 誠) ㈜牧野후라이스製作所 1. 서론 자동차의 프론트 그릴이나 도어 패널, 가전제품의 커버 등 방전가공에서는 대형 금형에 여러 개 존재하는 리브 형상을 효율적으로 가공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리브 가공의 가공칩 배출 능력을 향상시켜, 안정된 방전가공을 실현시키는 기능으로서 개발한 ‘HS-Rib’ 및 이것을 표준 탑재한 대형 형조 방전가공기 ‘EDNC17’(그림 1)을 소개한다. 2. HS-Rib 방전가공에서는 가공 중에 생성되는 가공칩의 배출 방법으로서 전극을 상하로 움직이는 점프라고 하는 기능이 있다. HS-Rib 가공용 유닛(그림 2)은 점프 속도를 고속화해 가공칩의 배출 능력을 향상시킨 헤드이다. 그림 3은 점프 속도에 의한 가공 결과의 차이를 나타낸 것으로, 각각 2시간씩 가공했을 때의 가공 깊이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가공 사례는 가공 깊이부를 확인하기 위해 가공 후 2개로 나누고 있다. 점프량이 약 3mm로 최고 속도(최대 20m/min)에 도달하도록 제어되므로 2시간에 49mm로 지금까지보다 1.7배 빨라졌다. 가공칩이 전극과 워크 간(극간)에 많이 체
[첨단 헬로티] 세키사와 토모노부 (關澤 友伸) ㈜牧野후라이스製作所 1. 서론 와이어 방전가공기는 자동 결선의 성능 향상 등에 의해 야간의 무인운전도 많이 이루어지게 됐다. 또한 가공 형상이 큰 워크에서도 요구 정도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중형의 고정도 와이어 방전가공기가 요구되고 있다. 동사에서는 고객의 목소리를 듣고 기존의 고정도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축 스트로크(X 550/Y 370mm)보다 한단계 더 큰 (X 650/Y 470mm) 새로운 와이어 방전가공기 ‘UP6’을 개발했다(그림 1). 새로운 와이어 방전가공기는 스트로크의 크기와 동시에, 가공 정도 및 피치 정도는 기존의 고정도 와이어 방전가공기와 동등 혹은 그 이상의 성능을 지향한 개발이 됐다. 여기에서는 기계의 특징과 가공 사례를 함께 소개한다. 2. 특징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가공 정도는 여러 가지 외란이 크게 영향을 미친다. 가공 정도를 높게 유지하기 위해 그들을 적절하게 억제하고 제어하는 것이 요구된다. 예를 들면 와이어 방전가공기에서 사용하는 와이어 전극선은 강성이 없다. 강성이 없기 때문에 가공 중에는 와이어 단선이나 가공 궤적에 대한 와이어 지연 등의 사상이 발생,
[첨단 헬로티] 니시 코헤이 (西 航平), 사와자키 타카시 (澤崎 隆) ㈜소딕 1. 서론 최근 고정도 금형의 수요 증가에 동반해 안정된 가공 정도나 제조 공정 단기화 등의 요구에 의해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성능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 근거해, 이 글에서는 가공액을 인자로 하는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최신 성능과 피치 가공 정도의 향상을 가져오는 여러 가지 최신 기술에 대해 소개한다. 2. 오일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우위성 와이어 방전가공기에는 가공액의 종류로서 물과 오일이 존재한다. 각각의 가공액에는 다른 특징이 있으며, 원하는 정도나 가공 속도에 따라 적절하게 구분 사용하는 것이 품질과 생산 스피드 향상으로 이어진다. 여기에서는 가공액으로 오일을 사용한 경우의 메리트를 소개한다. 제품의 소형․경량․고기능화에 의해 금형에는 한층 더 미세․고정도화와 내구성 향상이 요구되고 있으며, 초경합금을 사용하는 금형이 증가하고 있다. 오일가공에서는 녹이나 전해 부식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초경합금의 코발트 용출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방전 갭이 좁기 때문에 고정도화를 예상할 수 있다. 초경합금의 면조도가 조밀한 영역에서는 동사
[첨단 헬로티] 지속적인 기술 개발 및 가격 경쟁력 확보가 경쟁력의 원천 진영코퍼레이션은 초정밀 부품의 형상 연마에 적합한 성형연삭기, 방전가공기를 제조하고, 판매하는 회사다. 진영코퍼레이션은 4차 산업혁명을 맞아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공장 자동화를 준비했다. 이후 송철호 대표는 최신의 생산설비기반을 갖추고, 로봇 기술 개발에 매진했다. 2019년, 도약할 준비를 마친 그에게 진영코퍼레이션의 미래를 물었다. Q : ㈜진영코퍼레이션을 설립하게 되신 계기가 궁금합니다. A : 반세기 동안 국내 금형산업을 이끌어 온 (주)진영정기 오너십이 바뀌는 시기가 있었습니다. 당시 저는 주력 판매설비인 정밀금형가공기계 CNC방전가공기, 성형연삭기를 생산해오던 인력과 함께 향후 금속표면가공기 및 지능화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2015년 9월에 진영코퍼레이션을 설립했습니다. 진영정기가 모태인 회사이기에 진영이라는 이름을 가져와 사용했습니다. ▲진영코퍼레이션 송철호 대표 Q : 회사의 대표 장비 및 솔루션에 대한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A : 1983년부터 국내 최초로 공급한 JFG-520M 수동형 성형연삭기는 국내에 최다 수량이 판매되며, 이를 PC로 제어한 JFG-520X
1. 서론 오일 사양의 방전가공액 정화 시스템 ‘슈퍼클리너 SPC/O-10’(그림 1)을 설치한 경우의 효과를 가공기의 종류에 따라 각각 실례를 기초로 해설한다. ▲ 그림 1. 슈퍼클리너 SPC/O-10 2. 오일 사양 방전가공의 종류 ① 형조 방전 (오일 사양) ② 와이어 방전 (오일 사양) ③ 세혈 방전 (오일 사양) 이상 3종류의 방전가공기에서 슈퍼클리너 효과는 개별적으로 다르며, 모든 가공에서 효과가 나오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각각의 효과에 대해서 개별적으로 설명한다. 3. 슬러지의 이온화 물 사양의 와이어 방전가공기에는 이온 교환수지가 설치되어 있는데, 오일 사양에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것은 슬러지가 이온화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것을 비교·설명하면 그림 2와 같이 된다. ▲ 그림 2. 슬러지의 이온화 메커니즘 그렇기 때문에 슈퍼클리너의 설치로부터 1주간 후 정도부터 충분한 효과가 나타난다. 이것은 가공액인 물과 오일에서의 슈퍼클리너 설치 후의 큰 차이이다(그림 3). ▲ 그림 3. 가공유 중의 슬러지 4. 세혈 방전의 경우 전극소모량과 코스트를 대폭으로 저감할 수 있다.
[첨단 헬로티] 1. 서론 최근 와이어 방전가공기에서는 코너 등 형상 정도의 향상 및 줄무늬 없는 면 등 가공 면질 향상이 요망되고 있다. 동사에서는 와이어 주행장치 및 헤드를 개선하고, 또한 새로운 코너 제어, 가공액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신 기능을 개발했다. 이 시장 요망에 대응하는 새로운 요소 및 가공 기술을 소개한다. 2. 가공 성능 형상을 위한 요소 와이어 방전가공기에서는 와이어가 공구이다. 와이어는 강성이 없고 가공 중에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진동하며, 축이동의 궤적에 대한 지연이 발생한다. 이들은 코너 정도나 표면조도만이 아니라, 줄무늬 등의 가공 면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 와이어 진동이나 지연에 크게 관계하는 요소에는 와이어 장력, 가공액 및 방전 제어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는 보다 좋은 가공 면질 및 형상 정도를 실현하기 위한 최신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3가지 요소를 소개한다. (1) 장력 제어 이번에 개발한 와이어 주행장치는 장력 발생기구에 AC 서보모터를 채용했다. AC 서보모터를 적절하게 제어하고, 또한 장력 변동의 기계적인 요인인 와이어의 슬라이딩을 억제한 기계 구조를 융합함으로써 보다 안정된 장력의 발생이 가능해졌다(그림 1).
1987년 세운정공으로 설립된 세운정밀기계는 1994년 1월 법인 전환하여 방전가공기를 전문으로 생산해 왔다. 세운정밀기계는 생산비용 절감, 제품 품질 향상을 위해 계속해서 연구 개발을 진행함에 따라 우수한 제품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2003년에는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의 우수 국산기계 EM 인증 마크를 획득하면서 방전가공기 성능과 품질을 한층 더 업그레이드함으로써 국내 공작기계 산업의 방전가공기 수입 대체 효과를 실현했다. 세운정밀기계는 국내 및 국외 회사들과의 영업 교류를 통해 새로운 사업 기회를 마련해 왔으며, 다양한 신기술을 연구 개발함으로써 파트너들의 영업 매출을 증대시키고 있다. 세운정밀기계는 2007년에 인천 중소기업청 INNO-BIZ 기업으로, 2013년에는 중소기업청 기술혁신 중소기업으로 선정됐다. 세운정밀기계의 다양한 방전가공기 중 정밀사출금형 및 소형 금형에 적합한 SE-50i 모델의 경우, 초사상 가공으로 균일하고 고운 가공면을 실현한다. 가공 종료 시 공작물 보호 셀렉트 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전극 충돌 방지 기능으로 터치 스톱 컨트롤을 적용했다. 또한 주축 이송은 C5급 연삭 볼 스크류를 채택했으며 롱 점프 기능으로 깊은 면적을
유니테크 이디엠의 방전가공기(U430)는 한글화된 터치스크린 방식을 채택해 사용이 간편하다. NC화된 프로그램으로 수동장비에서도 ZNC 기능과 함께 다양한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가공 중 조건 변경, 편집 등이 가능하며, 가공 진행 상황을 TFT 화면으로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색상 반전을 통해 각 기능들의 동작 상황과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가공주파수의 최적화를 실현함에 따라 가공스피드와 가공면조 도가 향상됐으며 화재 방지 기능도 강화됐다. 김희성 기자 (npnted@hellot.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