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유헬스 글로벌 시장 3] 유헬스 웹 서비스의 발전
[유헬스 글로벌 시장 1] 데이터 활용이 유헬스 시장 키운다 [유헬스 글로벌 시장 2] 미국의 유헬스 시장은? [유헬스 글로벌 시장 3] 유헬스 웹 서비스의 발전 [유헬스 글로벌 시장 4 영국의 유헬스 시장 [유헬스 글로벌 시장 5] 일본의 유헬스 시장과 시사점 유헬스 웹 서비스 발전 한편, 미국에서는 e헬스 시대부터 다양한 유헬스 웹 서비스들이 이미 발전하였고, 앱들로 이어지고 있다. 민간 주도 사업으로는 온라인 건강정보사이트가 주를 이루는데, 예로 웹MD(www.webmd.com)가 있다. 모태가 바로 1996년 웹브라우저 넷스케이프의 공동 창업자인 짐 클라크가 설립한 헬스 스케이프 이다. 이 회사는 헬시온으로 개명되더니 1999년 웹MD과 합병하면서 헬시온/웹MD로 불리다가 웹MD로 바뀌었는데, 증세 체커(Checker), 약 정보, 의사들의 블로그 서비스를 통해 회원 2억 명의 웹사이트로 성장했다. 웹MD는 방대한 콘텐츠를 구축하고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해 초기 5년 동안 25억 2,983만달러의 누적적자를 기록했다. 하지만 2002년부터 흑자를 기록한 후 2011년 5억 5,589만달러 매출과 7,458만달러의 순이익을 기록하는 등 꾸준히 성장세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