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왕 지강 (王 志剛) 岐阜대학 소성가공은 제조에서 소재 제조와 부품가공의 2가지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부품가공법으로서는 용해가공, 제거가공 및 부가가공 등과 경쟁하면서 발전했으며, 인류의 지속 발전의 관점에 더해 ‘좋은 것을 저렴하게’라고 하는 제조의 가치 기준에 기초해 활용되고 있다. 소성가공에서 트로이볼로지 연구 개발도 지속 가능한 시점에 더해, 어떻게 소성가공 제품의 경쟁력 향상에 공헌할 수 있을지를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다. 소성가공에서 트라이볼로지의 과제 소성가공 제품의 경쟁력 강화의 시점에서 소성가공 기술의 과제와 트라이볼로지 요망을 개관하면, 이하의 점이 특히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1. 복합 성형 기술의 개발 판 성형, 단조, 회전 성형 등을 조합해서 소성가공 제품의 네트 셰이프화를 도모, 절삭 등으로 만들어지고 있는 부품을 소성가공화하는 것은 매우 매력적인 테마이다. 최근 큰 진전을 보이고 있는 판단조 기술은 그 좋은 예이다. 복합가공에서 가공 부위에 따른 트라이볼로지 조건의 상이는 기존 가공법보다 크고, 트라이볼로지 관점의 공정 설계 및 형 설계가 필요하다. 2. 공정 단축 기술의 개발 마찰 조건이 성형
[첨단 헬로티] 이 인택 (李 仁澤), 타키자와 히사시 (瀧澤 堅), 나미키 모토하루 (竝木 元治) 오토폼 재팬(주) 1. 서론 트라이아웃 또는 양산의 서포트를 지향한 판성형 해석의 고정도화에는 실제 마찰 조건을 재현하는 선진 마모 모델이 요구된다. 여러 가지 마찰 상태(트라이볼로지)의 검증 실험 및 파라미터화에 동반하는 계산 소프트웨어와의 제휴가 필요해진다. 판성형 가공에서 트라이볼로지의 과제로서는 공구와 소재의 재질, 표면 상황, 윤활제의 막두께와 성질, 윤활 조건의 도포나 냉각법, 가공 시의 면압, 온도, 누적 슬라이딩량 등 여러 가지 인자가 생각되며, 알루미늄의 경웅는 특히 소재와 공구의 재료특성에 기인하는 슬라이딩 속도, 온도, 윤활재의 도포량이 크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글에서는 알루미늄제 펜더 부품을 이용해 선진 마찰 모델에 관한 공구와 소재의 접촉기구와 윤활기구에 기초한 시험편 실험 방법에서부터 양산 지원 판성형 해석과의 연성까지 해석 프로세스에 대해 논한다. 2. 판재의 소성가공에서 관찰칙 윤활재의 사용, 면압비가 0.1에서 1 정도, 슬라이딩 속도가 최대 수백 mm/s, 마찰면 온도가 실온에서 150℃ 정도인 마찰 조건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