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인공지능팩토리는 지난 29일 ‘D&I Learning Day 2021’ 개최해 AI에 대한 발표와 토론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출처 : ㈜인공지능팩토리 AI 소셜 커뮤니티 플랫폼 ‘광화문AI’와 ‘㈜인공지능팩토리’는 ‘다양성 및 포용성을 위한 AI’를 주제로 다름과 차이를 인정할 수 있는 좀 더 나은 세상을 위한 AI에 대한 얘기를 나눴다. 8인의 연사는 각자의 입장에서 바라본 ‘다양성·포용성을 위한 AI’에 대해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발표했다. 그들이 겪은 다양성 및 포용성에 기반한 AI 기술 사례는 다양했다. 연사들은 AI 기술은 더 좋은 세상을 위한 필수 요소이며, 이미 그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다는 데 함께 공감했다. 한편, 마이크로소프트의 후원으로 진행된 이번 행사는 다양성 및 포용성을 위한 AI 기술이라는 주제에 맞게 한국어, 영어, 중국어, 일본어 등 4개 언어의 자막을 실시간으로 제공했다. 실시간 질의응답 시간에서는 60개국 자막 서비스가 지원되는 QR 코드가 제공됐으며, 스마트폰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언
[헬로티] 디지털 혁신과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아 경기도의 뷰티, 바이오 코스메틱 산업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2021 경기 뷰티·바이오 코스메틱 산업 육성 전문가 포럼(이하 포럼)'이 27일(수) 오후 1시부터 온라인으로 개최된다. 이번 포럼은 성균관대학교 LINC+, 바이오코스메틱학과, 바이오코스메틱 유니크, 생체분자제어연구소가 주관하며, 방역관리 메뉴얼에 따른 안전한 환경 조성을 위해 온라인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이번 포럼은 1부와 2부로 구성된다. 1부에서는 대한화장품산업진흥원 신혜영 연구원의 '2020년 K-Beauty 현황과 향후 발전 방향'이라는 주제 발표를 시작으로 진행된다. 이후, 서울시립대학교 남기범 교수의 '화장품 산업 클러스터의 구축과 혁신 방향', 성신여자대학교 김주덕 교수의 '한국 화장품 산업과 기존 지역 산업과의 연계성', 성남산업단지관리공단 이승관 수석전문위원의 '한국 화장품 산업 선도견인체로서의 경기 화장품 산업 육성 방안' 등을 주제로 한 발표가 이어진다. 2부에서는 전문가 패널토론이 진행되며, 주제발표자와 경기중소기업연합회 화장품산업위원회, 김희수 원장, 경기도 및 성남시 관계자 등 화장품 산업 분야 전
전기 걱정? 톡톡 튀는 아이디어로 중무장한 우리들이 있다! 어른들은 가르치고, 아이들은 배운다. 당연한 말일 수도 있지만, 하나의 고정관념일 수도 있다. 어른도 어린이에게 배울 점이 많다. 때 묻지 않은 순수한 생각, 자유분방한 상상력, 기발한 아이디어로 무장한 어린이들은 어른들을 깜짝 놀래키곤 한다. 현재 전기·에너지 산업의 가장 큰 관심은 남북 에너지 협력이다. 많은 전문가가 이 문제에 대해 얘기하고 있다. 그렇다면 어린이들은 남북 에너지 협력에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을까? 기발한 아이디어와 엄청난 에너지로 중무장한 둔대초등학교 4학년 2반 학생들을 만나보았다. 북극곰 앞에 선 우리들, ‘정신을 차리자’ “기자님, 우리 선생님은 북극곰 선생님이에요.” 3교시가 끝난 쉬는 시간에 맞춰 둔대초등학교 4학년 2반에 방문하자 공기놀이를 하던 한 여학생이 맹수를 조심하라는 신호를 보냈다. 쉬는 시간이 끝난 후 정말 북극곰을 꼭 닮은 교사가 칠판에 ‘월드카페로 통일과 에너지 생각을 나눠봅시다’라는 문장을 적었다. 북극곰이라고 알려진 이 교사는 둔대초등학교 4학년 2반 담임 유준희 교사다.
한국금형기술사회가 주관하고 우진플라임이 후원하는 제1회 금형기술 컨퍼런스가 지난 10월 23, 24일 이틀간 충북 보은 우진플라임 교육원에서 열렸다. 이날 행사에는 금형기술사회 회원 33여명과 후원사 임원 17명 등 총 50명의 금형인이 한자리에 모여, 금형기술 세미나, 금형 발전 방향 토론, 금형인 골프대회 등 다양하고 유익한 행사를 진행했다. 금형기술사회 유중학 회장의 개회사로 시작된 컨퍼런스에서는 우진플라임 김익환 대표의 축사가 이어졌고, 그 후 우진플라임 부설연구소 전윤선 소장이 사출성형의 최신 기술을 주제로 강연을 했다. 사출성형기 전문 제조회사인 우진플라임은 1985년에 설립되어 지난 30년 동안 전세계 30여 개국 6,000여 회사에 사출성형기를 공급해 왔다. 1999년에 사출성형기 개발을 위한 부설연구소를 설립하고 2000년에는 국내 최초로 전자동식 사출성형기 개발에 성공했으며, 2004년에는 이중 사출성형기까지 자체 기술로 개발했다. 또한 2007년에는 우리나라 최초의 사출성형 전문 기술교육원을 설립해 2013년까지 총 3,331명의 졸업생을 배출했으며, 국가인적자원개발컨소시엄 첨단금형기술교육센터 운영기관으로 선정되기도 됐다. 이어서 진행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