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에이수스 코리아(ASUS Korea 지사장 강인석)는 유튜브 및 넷플릭스와 같은 스트리밍에 최적의 환경을 지원할 AC 라우터 ‘ASUS RT-AC 59U’를 국내 출시한다고 밝혔다. 이번에 출시되는 RT-AC 59U 모델은 4개의 MU-MIMO(Multi-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안테나를 장착해 새로운 와이파이 규격에 걸맞는 더욱 넓은 무선 커버리지(신호 범위)를 지원한다. ▲ 에이수스가 최적의 스트리밍 환경을 위한 AC 라우터 RT-AC 59U를 출시했다. <사진 : 에이수스> 5GHz에서 최대 867Mbps, 2.4GHz에서 최대 600Mbps의 전송속도를 제공한다. 특히 128MB의 대용량 메모리와 MU-MIMO(Multi-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기술을 채택해 스마트 TV, 콘솔, 나스 등 다양한 스마트 기기와 PC 등을 동시에 연결하여 안정적인 네트워크와 인터넷 환경을 경험할 수 있다. 4개의 유선 포트 모두 기가비트 랜(Gigabit LAN)을 지원해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온라인 게임 실행 시 안정적인 응답속
[첨단 헬로티] LS전선이 한국전력과 1086억 원의 HVDC(고압직류송전) 케이블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계약은 수도권 공단 지역에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사업의 일환으로 충남 서해안의 발전소에서 경기도 평택 사이 35km 거리를 HVDC 케이블로 연결하기 위해 체결됐다. ▲ LS전선 임직원들이 동해사업장에서 생산된 HVDC 케이블을 운반하고 있다. <사진 : LS전선> 전기가 사용된 100여 년 동안 전 세계 전력망의 대부분은 교류로 구성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직류가 송전 손실이 적은 장점이 부각되면서 HVDC가 장거리 송전망을 중심으로 빠르게 적용되고 있다. 실제로 HVDC 케이블은 선로 하나로 원전 3기의 발전량인 3GW의 전력을 보낼 수 있다. 전자파가 없고 변전소, 송전탑의 크기와 수도 줄이는 등 환경 영향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 국가와 대륙 간 전력망 연계와 해상 풍력과 태양광, 연료전지 등 다양한 직류 에너지원의 증가 등도 HVDC 시장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특히 유럽처럼 대륙 전체의 전력망을 연결하거나 중국, 인도, 브라질과 같이 면적이 큰 국가의 장거리 송전, 유럽 해상풍력발전단지와 아프리카 사
[첨단 헬로티] KETI(전자부품연구원, 원장 박청원)가 최근 광주광역시에서 DC전기전자산업육성센터 개소식을 개최했다. 2014년부터 총사업비 135억 원이 투입된 센터는 전자기‧환경신뢰성 등 DC전기전자 관련 테스트와 사업화를 위한 원스톱 지원체계를 갖춘 국내 유일의 인프라다. 직류는 송전 시 전력손실이 교류 대비 40%이상 적으며, 주파수가 없어 송전 시 전자파 문제가 없다. 또한 송전탑 대신 전력선을 지중에 매설해 송전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런 장점들에도 현재 전력인프라는 교류기반이다. 직류보다 교류방식의 변압기가 먼저 개발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시대가 바뀌었다. 디지털 이코노미와 4차 산업혁명의 영향으로 스마트폰, IoT, 전기자동차 등과 같은 직류부하기기와 시스템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교류전원을 제품 내부에서 직류로 바꾸는 비효율이 반복되고, 4%가량의 에너지손실도 발생한다. 아울러 태양광, 연료전지, ESS 등 신재생에너지 분야 역시 직류중심의 분산전원시스템이다. 직류전원에서 직류부하기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DC전력시스템의 개발과 보급이 늦춰져서는 안 되는 이유다. 이번에 개소한 DC전기전자센터는 호남지역 최초로 10m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