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페이가 삼성페이·제로페이와의 연동을 시작했다고 17일 밝혔다. 이에 따라 카카오페이 애플리케이션(앱) 업데이트를 진행하면 카카오페이머니, 카카오페이포인트, 카카오페이상품권, 카카오페이에 등록한 신용·체크카드 등 모든 결제 수단으로 삼성페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아울러 제로페이 소상공인 매장에서 제로페이 큐알(QR)을 통해서도 카카오페이머니와 카카오페이포인트, 카카오페이상품권으로 결제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카카오페이는 오프라인 가맹점 어디에서나 기기 종류에 상관없이 결제할 수 있게 됐으며 간편결제 서비스 중 가장 많은 오프라인 결제처를 확보하게 됐다고 회사는 강조했다. 결제처는 카카오페이가 자체적으로 보유한 국내 온오프라인 가맹점 약 100만 곳과 삼성페이 결제처 300만 곳, 제로페이의 소상공인 매장 110만 곳이다. 삼성페이를 쓰는 갤럭시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카카오페이포인트 적립부터 결제하고 남은 잔돈을 펀드에 투자하거나 결제 금액의 일정 비율을 적금에 쌓는 등 결제와 금융이 연결된 서비스까지 한 번에 이용할 수 있다. 삼성페이 결제 기능은 업데이트를 거쳐 카카오페이앱에 우선 적용된다. 또 그간 오프라인 모바일 결제처가 결제처가 제한적이었던
하나카드는 카드 서비스 앱에 결제용 원큐페이 앱을 통합했다고 25일 밝혔다. 통합된 하나카드 앱은 간편결제, 송금, 본인신용정보관리(마이데이터), 자산관리 기능에 생활·해외·VIP 서비스를 더한 종합금융 플랫폼을 지향한다. 하나카드 비(非)회원에게도 앱을 개방해 하나머니와 계좌 잔액을 이용해 가맹점 결제와 송금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하나카드는 한국간편결제진흥원과 협업해 하나카드 앱에 제로페이 모바일 온누리상품권 구매와 QR 결제 기능을 추가하고, 연내에 제로페이 전 가맹점에서 QR 결제가 가능하게 할 계획이다.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첨단 헬로티] 제로페이 사업 수주로 뉴랜드 브랜드 제고에 큰 힘 국내외 공급업체가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는 국내 AIDC 시장에 뉴랜드코리아가 본격적으로 뛰어든지도 4년이 되어간다. 여러 편견 속에서도 성능과 가성비를 통해 꿋꿋하게 이 시장에서 포지셔닝을 해오고 있다. 작년 제로페이 단말기 사업의 수주는 가장 커다란 성과였다. 좋은 파트너의 경쟁력과 함께 가성비 좋은 제품을 통한 성과라고 볼 수 있다. 국내 시장에서 자리잡아가고 있는 뉴랜드코리아를 이끌고 있는 성태호 지사장을 만나 작년을 리뷰해보고, 올해 어떤 전략을 갖고 있는지 들어봤다. ▲ 뉴랜드코리아 성태호 지사장 Q. 국내 AIDC 시장도 다사다난했던 2019년도를 보냈습니다. 뉴랜드코리아의 2019년을 정리해주신다면 A. 2019년도의 국내 경제상황은 어느때 보다도 어려웠던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뉴랜드는 어려운 경제환경에도 불구하고 견조한 성장세를 유지하여 왔습니다. 특히, 두드러진 것은 총판사인 유니정보를 통해 제로페이 단말기 사업이 뉴랜드 제품(HR21)으로 낙찰되었다는 것입니다. 공공부문 프로젝트에 당당히 입문함으로써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뉴랜드가 본격적으로 시장의 신뢰를 받기 시작하고 있
[첨단 헬로티] 중소벤처기업부는 소상공인의 비용 부담을 획기적으로 줄이기 위해 결제 중간단계가 없는 소상공인 간편결제(제로페이)를 도입한다고 밝혔다. 이는, 그간 수차례의 카드수수료 인하 노력에도 불구하고 현장의 기대에는 미치지 못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지난7월 18일 ‘저소득층 일자리·소득지원 방안’을 통해 발표하였다. 제로페이는 ① 모든 은행·간편결제앱 사용가능 ② 공통 QR코드 활용 ③ 결제수수료 제로를 특징으로 하는 오픈 플랫폼으로 구축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행안부, 금융위, 지자체, 한은, 금결원, 민간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민관 합동 TF를 구성하여 추진 과정 상 법·제도적 애로사항이나 불합리한 규제 등에 대한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등 제로페이가 조속히 정착될 수 있도록 뒷받침해나갈 계획이다. 또한, 정부는 제로페이 활성화를 위해, 제로페이 사용대금에 대해 전통시장 이용금액에 준하는 40%의 소득공제 혜택을 주는 것을 지난 ‘저소득층 일자리·소득지원 방안’을 통해 확정했다. 이를 통해 지자체와 함께 적극 홍보하고 소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