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전기차 기업인 비야디(BYD)의 승용차 국내 출시가 임박한 것으로 보인다. 7일 환경부에 따르면, BYD는 지난 5일 중형 세단인 '실(SEAL)' 1개 차종의 배출가스 및 소음 인증을 국립환경과학원에 신청했다. 국내 출시 절차를 밟기 시작한 것이다. 1회 충전 시 주행거리 등을 확인하는 배출가스 및 소음 인증에는 통상 2~3개월이 걸린다. 전기차 구매 보조금을 받기 위한 성능평가는 이후 한국환경공단에서 별도로 받아야 한다. 이에 이르면 연내 BYD 전기 승용차 국내시장 첫 출시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BYD 홈페이지에 따르면 실은 완충 시 주행거리가 유럽(WLTP) 기준을 적용했을 때 약 570㎞다. 중국 내 가격은 기본형이 23만5000여 위안(약 4437만 원)으로 알려졌다. 국내로 수입되며 가격이 올라도 전기차 구매 보조금을 100% 받을 수 있는 범위(기본가격 5500만 원 미만)에 들 것으로 예상되나, 리튬인산철(LFP) 배터리가 장착된 점이 보조금을 받는 데 불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헬로티 서재창 기자 |
하이브리드차 중 국산차 72%…전기차 판매선 수입차 비중↑ 지난 한 해 국내 시장에서의 친환경차 판매가 처음으로 55만 대를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와 국토교통부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국산차와 수입차를 합한 친환경차(하이브리드차·전기차·수소연료전지차) 판매량은 55만 8112대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과 비교해 24.3% 증가한 것으로, 연간 친환경차 판매량이 50만대를 넘기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국내 친환경차 판매량은 2021년 34만 8850대, 2022년 44만 8934대 등 최근 3년간 매년 10만 대 이상 증가하는 추세다. 지난 3년간 하이브리드차 판매를 보면 국산차가 수입차를 크게 앞섰다. 전체 하이브리드차 판매에서 국산차 점유율은 2021년 61.2%에서 2022년 67.1%, 2023년 71.7%로 해마다 늘었다. 매년 업그레이드되는 모델과 국내 완성차업체들 친환경차 전환 흐름과 맞물린 결과로 풀이된다. 게다가 친환경차 구매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확산한 데다, 1회 충전 시 주행거리의 제약, 충전 인프라 부족, 비싼 가격 등으로 순수 전기차 구매를 다소 꺼리는 경향도 일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실제 지난
[첨단 헬로티] 올해 판매된 전기차 중 EV가 강세인 것으로 조사됐다. PHEV는 계속되는 하락세에 고개를 떨구고 말았다. SNE리서치가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전 세계(71개국)에 판매된 전기차(EV, PHEV : 승용차+상용차) 판매량을 조사한 결과 EV가 시장을 이끄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EV는 전년 같은 기간 대비 1.6배 이상 급증하면서 전체 성장세를 이끌었다. 반면, PHEV는 소폭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EV와 PHEV는 모두 2018년에 50%대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급성장세를 보였다. 올해는 달랐다. 올해부터는 둘 다 판매 성장세가 다소 꺾이기 시작했다. EV는 올해 1월에 2.5배에 가까운 성장률을 나타냈지만, 이후 대체로 둔화되는 추이를 보였다. 다만, 두 자릿수 성장세는 유지했다. 반면에 PHEV는 1월부터 판매 추이가 급격히 약화됐고, 3월부터는 아예 역성장으로 돌아섰다. 특히 5월에는 무려 25.2%나 급감하면서 올해 누적 판매량이 처음으로 감소했다. 국가별로는 미국, 모델별로는 BYD의 친(Qin)과 쏭(Song) DM, ROEWE의 eRX5와 ei6, BMW X5 xDrive40e, 도요타 프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