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C 제어기·신규 로봇 2종’ 현장 시연으로 베트남 제조업계 주목 동남아 시장 진출 가속화, 현지 협력사와 글로벌 네트워크 강화 산업 자동화 전문기업 아진엑스텍이 지난 11월 5일부터 7일까지 베트남 박닌에서 열린 ‘VIAF 2025’에 참가해 동남아 스마트 제조 시장의 본격 진입을 알렸다. 이번 전시에서 아진엑스텍은 최신 제어기 ‘iPC 시리즈’와 함께 새롭게 선보인 SCARA 및 수직다관절 로봇 2종을 현장 시연하며 현지 제조업계 관계자들의 관심을 집중시켰다. 고속·정밀 조립 및 다품종 소량생산 환경에 최적화된 제어 성능은 베트남 산업 현장의 자동화 수요와 맞닿으며 높은 평가를 받았다. 전시 부스에서는 DC Servo, AC Servo 등 다양한 서보 라인업도 함께 전시되어 아진엑스텍의 로봇 구동 기술력과 제어 솔루션의 통합 경쟁력을 입증했다. 특히, 현지 방문객들에게 공개된 ‘Gen1~Gen6 로드맵’은 회사의 30년 기술 진화를 한눈에 보여주는 핵심 콘텐츠로 주목받았다. 이 로드맵에는 모션칩과 보드부터 일본 필드버스 기반 제품, EtherCAT 보드, iPC 제어기, 소프트웨어 솔루션 ‘RemoteManager’, 그리고 최신 로봇·서보 제품군까지
산업용 모션 제어 솔루션 전문기업 아진엑스텍은 자동화 산업 현장에 특화된 신규 모션 제어기 4종을 정식 출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라인업은 iPC 기반 제품 3종과 독립형 제어기 1종으로 구성되며, 정밀한 제어 성능과 넓은 호환성, 그리고 높은 확장성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iPC 시리즈는 △2U △4U △W1 모델로 선보인다. 전 모델은 고속·고정밀 제어를 기본으로 지원하며, 최대 8축을 125마이크로초(μs) 주기로 구동할 수 있다. 더불어 최대 128축까지도 1밀리초(ms) 이내 속도로 안정적인 제어가 가능해 까다로운 공정 제어 환경에서도 탁월한 성능을 발휘한다. 또한 C++, C#, Visual Basic 등 다양한 개발 언어와 호환되는 SDK(소프트웨어 개발 키트)를 기본 제공하여, 고객이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환경에 맞춰 유연한 맞춤 적용이 가능하다. 고급 모션 제어 기능은 별도 옵션으로 지원된다. 모델별 특성을 살펴보면, 2U 제품은 콤팩트한 설계로 제한된 설치 공간에 적합하며, 4U 모델은 PCI 슬롯 2개와 PCIe 슬롯 4개를 탑재해 확장성이 필요한 시스템에 유리하다. W1 모델은 PCI 2슬롯과 PCIe 1슬롯을 갖춘 공간 효율적 설계로 활용
산업용 모션 제어 솔루션 기업 아진엑스텍이 스마트팩토리 구축에 최적화된 신규 소프트웨어 툴 4종을 공개하며 통합 제어 생태계 확장에 나섰다. 이번에 발표된 제품군은 △RemoteManager △EzROAL IDE △EzWorks △EzEmulator로, 설계부터 운영·유지보수까지 전 과정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RemoteManager는 AXL API 기반 RPC(Remote Procedure Call) 미들웨어로, 원격 장치를 로컬처럼 제어할 수 있다. 기존 코드를 수정하지 않아도 활용 가능하며, 알람 발생이나 네트워크 장애 상황에도 실시간 대응이 가능하다. 또한 Modbus TCP와 Melsec MC 프로토콜을 지원해 PLC 최대 250대, 제어기 24대(각 16축 기준)를 동시에 연결할 수 있어 대규모 설비 관리에 강점을 가진다. EzROAL IDE는 아진엑스텍 제어기에 특화된 개발 환경으로, Basic 문법 기반의 단순한 함수 구조를 제공해 복잡한 제어 로직을 쉽게 구현할 수 있다. 원격 디버깅 기능을 지원하며 RemoteManager와 연계 시 HMI·PLC 통합 개발 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 EzWorks는 현장 작업자를 고려한
아진엑스텍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모터 제어 전용 칩 CAMC 시리즈를 선보였다. 아진엑스텍은 1995년 창립 이후 첨단 산업 자동화 분야에서 제어기 국산화를 선도해 온 기업이다. CAMC 계열 모터 제어 전용 VLSI 칩을 개발 및 판매하며 반도체 제조, LED 및 LCD 디스플레이, PCB/SMT 공정, 모바일, 자동차 제조 등 다양한 산업에 적용되는 제어 기술을 국산화했다. Mechatronics 부품소재 전문 기업으로 자리 잡은 이후 현재는 전자부품, 미들엔드, PC 기반 모션 제어 시장과 더불어 기계 모듈, 하이엔드, PLC 및 로봇 제어 시장으로도 사업을 확장해 스마트 팩토리 구현과 전기차(EV) 제어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 선보인 CAMC 시리즈는 아진엑스텍이 자체 기술력으로 개발한 고성능 모션 제어 전용 칩으로, 1축 및 4축 모션 제어 칩으로 구성되어 있다. Step Motor, DC&AC Servo 등 다양한 모터를 제어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된 속도로 펄스를 출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Over-run 검출
기존 제어부 공급에서 완제품으로 수주 확대 아진엑스텍이 올해 2분기부터 삼성전자에 스카라 로봇 세트를 공급하고 있다. 스카라 로봇(Selective Compliance Assembly Robot Arm Robot)은 평행 회전형 관절 로봇이다. 주로 전자제품 조립 공정에서 활약한다. 아진엑스텍은 지난 2021년부터 삼성전자에 제어기, 전장 박스 등 스카라 로봇 제어부를 공급했다. 2분기를 기점으로 스카라 로봇 세트 단위를 공급하면서 수주 규모를 확장했다. 아진엑스텍 관계자는 “지난 3년 동안 삼성전자와 로봇 공급에 협력했다”며 “이번 스카라 로봇 세트 공급을 시작으로 로봇 사업 부문을 확장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질적 성장을 위한 로봇 컨트롤러 및 부품 경쟁력을 지속 내재화해 고객사 만족도를 끌어올릴 것”이라고 덧붙였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아진엑스텍이 삼성전자에 대한 산업용 로봇 납품이 올해 1분기부터 본격화되고 있음을 밝혔다. 이 회사는 지난해 초도 납품을 시작으로 올해에는 납품 수량이 지난해에 비해 큰 폭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아진엑스텍은 지난해부터 삼성전자에 완제품 세트 단위의 산업용 로봇을 공급하기 시작했다고 전했다. 이번 1분기에는 이미 전년도 납품 수량의 두 배를 넘어서는 성과를 달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회사는 올 한해 예상되는 총 납품 수량이 전년 대비 의미 있는 수치로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아진엑스텍은 멀티 로봇 시스템, 스카라 로봇 제어기를 포함한 다양한 제품 라인업을 갖추고 있으며, 납품 지역을 국내외 다양한 사업장으로 확대하고 있다. 이와 함께 적용 사업 부문도 다각화되어 가고 있어,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 아진엑스텍 관계자는 “다양한 품목의 산업용 로봇을 납품하게 되었다는 점과 세계 각국의 생산 시설에 적용되고 있다는 사실이 큰 의미를 가진다”고 말하며, “로봇 세트 납품은 물론, 로봇 컨트롤러 내재화 등을 통해 추가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범용 모션 제어 칩 및 모듈,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모션 제어
“EtherCAT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모션제어 솔루션 확보로 2~3년 내에 글로벌 시장을 공략하겠다.” 아진엑스텍 김창호 대표는 8년 전부터 중국을 포함한 중화권 동남아 시장 개척에 꾸준한 투자를 해왔으며 특화된 제품 개발을 위한 R&D 역량도 갖추었다고 말한다. 최근 아진엑스텍은 네트워크 모션제어(NMC) 제품을 추가 개발 완료함으로써 기존 NMC용 제품의 풀 라인업을 갖추게 되었고 고가의 외국제품들을 대다수 대체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향후 로봇 컨트롤러를 접목해서 제조지원용 로봇사업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한다. 아진엑스텍의 영업전략을 김창호 대표에게 들어봤다. 아진엑스텍 김창호 대표 Q. 2015년 국내 모션제어 분야 시장 전망은? A. 2014년은 스마트폰 설비투자 등이 전방산업의 매출 감소에 의해 비중이 축소되는 시장 환경 속에서도 탄탄한 성장을 유지했다. 2015년은 2014년보다 설비투자 감소가 가속화될 것이란 전망이어서 어려운 한 해가 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아진엑스텍은 신규 산업 분야의 영업활동 강화와 신제품 출시로 매출 신장을 이어갈 계획이다. Q. 최근 IoT 기반 제조업혁신이 국가적인 화두가 되고 있는데, 아진엑스텍은 어떤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