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화 약세에 힘입은 실적 개선이 요인인 것으로 보여 일본 도요타자동차의 시가총액이 7년 반 만에 삼성전자를 넘어 대만 TSMC에 이어 아시아 2위에 올랐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16일 보도했다. 전날 도쿄 증시에서 도요타 주가는 전장보다 0.1% 하락한 3382엔(약 2만9980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삼성전자 종가는 1.35% 내린 7만3000원이었다. 전날 종가 기준으로 시가총액은 도요타가 55조1772억 엔(약 490조원)으로 삼성전자(436조 원)보다 약 54조 원 많았다. 앞서 도요타는 이달 들어 일본 기업으로는 처음으로 시총 50조 엔을 돌파했다. 닛케이는 "도요타가 삼성전자의 시가총액을 뛰어넘은 것은 약 7년 반 만"이라고 전했다. 아시아에서 시총 1위 기업은 대만의 TSMC였다. TSMC의 시총은 전날 기준으로 18조900억 대만달러(약 769조 원)였다. 도요타가 삼성전자를 시총에서 제칠 수 있었던 이유로는 엔화 약세에 힘입은 실적 개선이 꼽힌다. 도요타는 지난해 전 세계에서 신차 1123만 대를 팔면서 4년 연속 세계 판매 1위를 차지했다. 도요타는 2023회계연도(2023년 4월∼2024년 3월) 연결 기준 순이익이 전년보다 84%
9개국 콜라보레이션 상품 동시 론칭, 블랙핑크 협업 푸드는 한국에서만 만날 수 있어 스타벅스 코리아가 글로벌 K-POP 아티스트 블랙핑크와 손잡고 블링크(블랙핑크 팬클럽)를 비롯한 K-POP 팬들을 설레게 할 다채로운 협업 상품을 선보인다. 이달 25일부터 한정 기간 동안 판매되는 블랙핑크 콜라보레이션 상품들은 블랙핑크를 테마로 기획한 프라푸치노 음료와 푸드를 포함해 스타일리시한 디자인의 MD, 스타벅스 카드 등으로 구성됐다. 이번 콜라보레이션은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9개국에서 동시 론칭하는 행사로, 블링크와 스타벅스 고객들은 전 세계를 사로잡은 블랙핑크만의 차별화된 매력이 담긴 이번 협업 상품들을 통해 스타벅스에서 더욱 밝고 신나는 여름을 즐길 수 있게 됐다. ‘블랙핑크 스트로베리 초코 크림 프라푸치노’는 오트 베이스에 딸기 시럽과 다크초콜릿 소스를 배합해 블랙과 핑크 컬러의 조화로운 색감을 강조한 상품으로, 음료 위에는 핑크색의 휘핑크림과 블랙핑크 로고 모양의 하트 초콜릿을 올렸다. 특히, 스타벅스는 한국에 유일하게 블랙핑크 협업 푸드를 선보인다. 같은 날 출시하는 ‘블랙핑크 딸기 크림 초코 바움쿠헨’과 ‘블랙핑크 딸기 크림 초코번’ 역시 초코 풍미의 바
Basler 아시아가 싱가포르에 두 번째 사무실을 마련했다. 최근 몇 년 동안 많은 신규 직원을 채용하며 꾸준히 성장해 온 결과다. 2021년 12월부터 영업을 시작한 싱가포르 사무실은 지하철 옆에 있어 편의성이 뛰어나다. 또한 Basler 주 사무실과 제조 시설서도 도보로 접근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Basler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컴퓨터 비전 구성 요소 및 솔루션에 대한 급증하는 수요에 완벽하게 대비하기 위해 싱가포르의 제조시설을 확장하여 해당 지역의 고객에게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고객들이 인정하는 Basler 독일 공장의 모든 품질 보증 조치는 싱가포르의 최첨단 시설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Basler는 이런 확장을 통해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고객들과의 긴밀한 관계를 더욱 발전시키고 있다.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에이버리데니슨은 스타트업과 파트너 관계를 맺는 세계 최초의 라벨 및 패키징 산업 프로그램 ‘AD Stretch’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지속가능성, 고객 경험, 밸류 체인 관련 핵심 과제 해결을 위해 혁신적인 스타트업과 파트너 관계를 통해 해결하겠다는 것이다. 에이버리데니슨은 전 세계의 스타트업 기업과 협력해 라벨 및 포장 산업의 혁신적인 역량을 강화할 계획이다. 에이버리데니슨이 보유하고 있는 경험과 규모를 활용하고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유망 스타트업 기업과 협력해 두 회사가 함께 성장함은 물론 업계에서 가장 시급한 비즈니스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 이 프로그램의 목적이다. 에이버리데니슨의 라벨 및 그래픽 머티리얼 아시아 태평양 지역 총괄 책임자이자 부사장인 Anil Sharma는 “AD Stretch는 가장 뛰어난 인재와 신생기업에 손을 내밀어 공동의 목표와 가치를 실현하고 향후 10년의 주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협력함으로써 최첨단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밝혔다. 해당 프로그램은 아시아 태평양과 라틴 아메리카 지역을 시작으로 올해 말 유럽과 미국까지 전 세계적으로 출시될 예정이다. 특정 문제를 해결한다는 최종 목표로 각 스타트업 그룹은 지역
헬로티 서재창 기자 | TSMC가 중국의 거대 기술기업인 텐센트를 제치고 아시아의 시가총액 1위 기업에 올랐다. 세계 1위의 반도체 파운드리 업체인 TSMC는 세계적인 반도체 공급 부족 사태로 기업가치가 높아졌지만, 텐센트는 중국 당국의 기술기업에 대한 전방위적인 규제로 주가가 급락한 데 따른 결과다.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18일 블룸버그의 자료를 인용해 대만의 TSMC가 중국의 텐센트를 제치고 아시아에서 시가총액 1위 기업이 됐다고 보도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17일 종가 기준으로 TSMC의 시가총액은 5400억 달러에 달했다. 아시아의 시가총액 2위 기업은 텐센트로, 텐센트의 시가총액은 17일 종가 기준으로 5380억 달러에 그쳤다. 이어 아시아의 시가총액 3위 기업은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인 알리바바로 집계됐다. 알리바바의 시가총액은 4794억 달러였다. TSMC의 시가총액은 이달 초 텐센트를 추월했다고 SCMP는 전했다. TSMC는 신종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세계적인 반도체 공급 부족 여파로 성장 가도를 달리고 있다. 올해 들어 TSMC의 주가는 9.4% 상승했다. 시장조사 업체인 트렌드포스의 반도체 파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사)한국자동인식산업협회(회장 송준원, 이하 KAIIA)이 한국을 대표하는 AIM 코리아로 본격적으로 활동한다. AIM이 (사)한국자동인식산업협회(KAIIA)의 공인 AIM 코리아(AIM Korea) 신청을 승인했다고 밝혔다. David Han AIM 코리아 사무총장은 "우리는 AIM과 AIM 아시아 지역 계열사의 일원이라는 것이 자랑스럽다. AIM코리아는 IoT, AI, 클라우드, 빅데이터 등 자동식별 기술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AIDC 기업들이 모인 곳이다. 모든 AIM 구성원과 함께 멋진 협업과 성장을 기대한다"고 전했다. AIM의 최고 운영 책임자인 Mary Lou Bosco는 "AIM Korea의 추가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업계 리더들과 이미 전 세계에 AIDC 기술과 혁신을 촉진하는 주창자 역할을 하는 광범위한 네트워크를 연결하기 위한 핵심 단계다"라고 말했다. 덧붙여 "우리는 한국 전역의 주요 자동인식 전문가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어 영광이다. AIM 코리아와 기술개발, 교육, 첨단기술 도입, 유관기관과의 교류협력 등을 중점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사)한국자동인식산업협회 관계자는 "AIM코리아
[첨단 헬로티] 기업문화에 대한 세계적인 전문기관인 ‘일하기 좋은 기업 선정 위원회(Great Place to Work)’가 HP를 2020 아시아에서 가장 일하기 좋은 상위 25개 다국적 기업으로 선정했다. ▲사진 : 한국HP 이번 조사는 중국, 인도, 일본, 싱가포르,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8개국의 220만 직원이 참여했다. 특히 일하기 좋은 기업 선정은 코로나19로 인해 아시아 지역 전체의 일상생활과 비즈니스 운영이 영향을 받는 상황에서 발표됐다. 아시아 내 일하기 좋은 기업은 코로나19 발병 전에 수집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선정됐으나, 선정된 기업은 모두 코로나19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와중에도 직원, 고객, 커뮤니티를 위한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크리스토프 쉘(Christoph Schell) HP CCO는 "HP가 2020 아시아에서 가장 일하기 좋은 기업으로 선정되어 매우 기쁘다. HP는 임직원이 개인적, 업무적 성장을 모두 이루면서도, 직장에서 스스로의 모습 그대로 일하는 문화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이처럼 어려운 시기에 임직원 모두가 힘을 모아 고객과 파트너, 우리 스스로를 보호하고 지원하는 모
[첨단 헬로티] 한국전기공사협회(류재선 회장)가 진행한 2019 FAPECA(아시아-태평양 지역 전기공사협회 연합회) 총회가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협회는 지난 6일부터 9일까지 3일간 2019 FAPECA 총회 및 컨퍼런스를 광주광역시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개최했다. FAPECA 총회 및 컨퍼런스는 1986년 대한민국 서울에서 제1회 회의 개최를 시작으로 매년 회원국에서 순차적으로 개최됐다. 올해로 33회를 맞이한 이 행사는 의장국인 한국에서 8년 만에 열렸다. 올해 행사는 특별히 한전에서 개최하는 BIXPO 2019와 연계 개최되어 8개 회원국(필리핀, 인도네시아, 태국, 홍콩,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대만, 하와이)에서 116명의 해외대표단이 참석하고 정부, 정계, 학계는 물론 협회 회원사를 비롯한 총 400여 명이 참가해 역대 최대규모를 자랑했다. 행사 첫째 날인 6일 BIXPO 전시회 참관과 환영 만찬 등으로 진행하고 이튿날엔 Power Systerm Interconnection(전력계통연계)이라는 주제로 컨퍼런스가 진행되어 국가별 주제발표, 기조연설(정부기관 인사), FAPECA 이사회, 환송 만찬 등의 시간이 마련됐다. 한국에서는 문재도 전임 산업부
[첨단 헬로티] 세계 최초 개발한 '한손엄지 드론조종기', '수소 드론' 등 신제품 소개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 부산광역시는 1월 24일(목)부터 26일(토)까지 3일간 부산 벡스코에서 '2019 드론쇼 코리아'를 개최한다. 아시아 최대 규모로 매년 개최중인 이 행사는 이번이 4회째로 110여개 기업이 참여하는 드론 종합전시회, 7개국 50여명의 국내외 저명인사가 참여하는 국제 컨퍼런스, 신제품·신기술 발표회, 일반인들이 드론을 제조·비행 체험 이벤트 등으로 구성했다. ▲2019드론쇼코리아는 아시아 최대 규모로 열리는 드론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국내 110여개 기업이 300여개의 드론과 관련 부품을 전시할 예정으로, 비행제어, 고강도 경량소재 등 새로운 기술을 접목하여 안정성과 성능이 크게 향상된 드론뿐 아니라 자율비행, 군집비행 등이 가능한 최첨단 드론 등도 새롭게 선보인다. 에스케이(SK) 텔레콤은 이번 전시회에 참여해 5세대(5G) 통신망을 활용, 드론으로 촬영한 영상을 원거리에서 모바일앱을 통해 실시간 전송받을 수 있는 'T라이브 캐스터' 서비스 출시계획을 발표했다. 특히, 2019년 3월부터 5G 통
▲LONGi Solar의 PV 프로젝트 [첨단 헬로티] 지난 11월 30일 공개된 2018년 4분기 블룸버그 신에너지 금융보고서에서 발표에 따르면, LONGi는 BNEF 1등급 기준 만족하는 태양전지 모듈 생산업체 중 하나로 선정됐다. 블룸버그 NEF 기준에서 1등급 모듈 생산업체는 자체 브랜드를 통해 자체 생산한 제품 1.5MW 이상을 여섯 가지의 상이한 사업에 공급하고, 지난 2년간 여섯 곳의 상이한 은행에 의한 자금 조달을 요구한다. 또한, 중국, 인도 및 터키 내 생산업체에 대해서는 더욱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고 있으며, 사업이 무담보로 진행될 것을 요구한다. 이는 은행에서 모듈사업 실패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감수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LONGi는 모든 기준을 만족했으며, 자체 생산능력을 갖춘 기업군에 다섯 번째로 합류했다. LONGi Solar 사장 Li Wenxue는 "BNEF 1등급 공급업체로 선정된 것을 기쁘게 생각하지만, 놀랍지는 않다"라며, "LONGi는 전 세계로의 확장을 위한 발전을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다양한 투자자를 위한 자금조달능력 요구사항을 지속해서 만족할 뿐만 아니라, 이를 초과 달성하는 것은 유
[첨단 헬로티]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내 정보통신기술(ICT) 업계의 아시아 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 7일과 8일 양일간 양재동 더케이호텔 서울에서 ‘Connect. W 2017’를 개최했다.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가 주관하는 이번 행사는 아시아 주요 통신사, 국내 ICT 기업 관계자 등 200여 명을 대상으로 해외진출을 위한 1:1 비즈니스 미팅, 업무 협약식으로 구성됐다. 이번 행사로 인도네시아, 태국, 베트남, 필리핀 등 10개국의 통신사 및 협력사와 국내 중소 ICT 업체 7개사 간 약 3,750만 불 규모의 계약과 공동사업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이끌어냈다. 또한 그동안 과기정통부가 국내 중소 ICT 기업의 해외진출 지원을 위해 아시아 각국에서 개최해온 IT로드쇼를 통해 협력관계를 맺은 해외 통신사 임원과 바이어들을 이번 행사에 초청해 성과 향상을 꾀하였다. 주요 성과로 (주)액세스 모바일은 가입자 수가 5천만 명에 달하는 인도네시아 이동 통신사업자인 엑셀 악시아타(XL Axiata)와 자녀안심서비스 서비스 관련 등으로 총 750만 불의 수익분배 계약을 체결했으며, 말레이시아의 유력 디지털 마케팅 플랫폼 운영사인 스다니아
다수의 국가가 참여하는 거대 협력 사업인 슈퍼그리드 구축은 권역 및 개별 국가의 정치·경제·외교·사회적 이해에 따라 상충되는 이해구조를 가질 수 있기에 슈퍼그리드 구축을 위한 당사국 간 공동의 발전 비전과 목표를 제시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요구된다. 다국가 간 광역 전력망을 연계를 통해 전력자원을 상호 공유하는 것을 의미하는 슈퍼그리드는 대규모 신재생 발전기술, 고압직류(HVDC) 송전기술, ICT 기술의 발전에 따라 ‘전력융통의 슈퍼 하이웨이(Super Highway)’1)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추진되거나 논의되고 있는 대표적인 슈퍼그리드 프로젝트로는 북유럽 슈퍼그리드(Nord EU Supergrid), 남유럽-MENA 슈퍼그리드(Sud EU-MENA Supergrid), 아프리카 슈퍼그리드(Grand Inga Project) 및 동북아 슈퍼그리드(NEA Supergrid) 등이 있다. 이 가운데 북유럽 슈퍼그리드가 가장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으며, 남유럽-MENA 슈퍼그리드는 최근 의미 있는 사업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반면 그랜드 잉가(Inga) 프로젝트는 사업추진의 투명성 부
[헬로티] ASEM 경제장관회의 한국 개최가 확정됨에 따라 2017년 하반기 한국에서 아시아 유럽 통상 경제장관들이 한자리에 모인다. 내년 경제장관회의는 2005년 로테르담 회의 이후 처음 개최되는 회의로 최근 확산되는 보호무역주의와 통상환경 변화에 아시아 유럽이 공동 대응을 모색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경제장관회의 한국 개최가 확정됨에 따라 산업통상자원부 ASEM 경제장관회의 준비기획단이 정식 출범했다. 이는 지난 12월 2일 개최된 무역투자고위관리회의 의장성명서가 회원국 내부 절차를 완료하고 최종 채택된데 따른 것으로, 준비기획단은 지난 8월 임시조직으로 출범하여 경제장관회의 개최 확정을 위해 회원국을 대상으로 아웃리치 활동을 해왔다. 대내적으로는 행정자치부와 조직 협의가 마무리되고 준비기획단 조직에 관한 대통령 훈령이 공포되어 준비기획단이 정식화됐다. 준비기획단 현판식에서 주형환 장관은 “아시아 유럽이 함께 참석하는 경제장관회의가 의미있는 성과를 내도록 시의성 있는 의제선정이 중요”하다며, “최근 확산되는 보호무역주의에 대응하여 무역 투자 원활화와 같은 전통적 이슈와 4차 산업혁명, 기후변화에 따른 지속가능 성장
슈나이더 일렉트렉이 싱가포르에 향후 수년 간 6천 5백만 유로를 투자해 동아시아 본부를 세우고, 소프트웨어 산업 솔루션 센터 및 소프트웨어 지역 허브, 물류 네트워크·분석·수송을 위한 지역 컨트롤 타워를 건립한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동아시아 본부는 한국, 대만, 몽골과 동남아 지역 지사의 운영을 총괄한다. 이와 함께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새로운 브랜드 전략 ‘라이프 이즈 온(Life Is On)’을 바탕으로 동아시아 지역에 혁신적인 에너지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는 데 주력하게 된다. 특히,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이번 투자를 통해 싱가포르에 ‘소프트웨어 산업 솔루션 센터’와 ‘소프트웨어 지역 허브’를 유치하는 등 동아시아 지역의 소프트웨어 산업발전에 힘을 보탠다는 계획이다. 이 센터는 화학, 식음료, 석유 및 가스, 교통, 수처리, 전력망 관련 산업용 소프트웨어를 제공해 기업들의 생산성과 안전성 향상을 돕는 역할을 하게 되며, 2018년까지 60명 이상의 숙련된 연구진과 엔지니어들이 소속된 조직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한편, 센터 내에서는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산업용 솔루션을 선
글로벌 전자기업 … 아시아 시장 진출 기회 도모 전미가전협회가 주관한 2015 인터내셔널 CES 아시아가 지난 5월 25일부터 27일까지 중국 상하이에서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상하이 뉴인터내셔널엑스포센터에서 개최된 이번 행사에서는 아시아 시장에 진출한 글로벌 기업들의 최신 제품과 기술을 만나볼 수 있었다. 지난 5월 25일부터 27일 중국 상하이의 뉴인터내셔널엑스포센터에서 제1회 인터내셔널 CES 아시아가 개최됐다. 전미가전협회(CEA)가 중국에서 개최하는 첫 번째 ‘아시아판 CES’로 관심을 모은 이번 전시회에는 유수의 글로벌 기업이 참가해 관람객의 눈길을 끌었다. 전미가전협회는 2860억 달러 규모의 미국 소비자 가전 산업을 대표하는 테크놀로지 무역 협회다. CEA는 인터내셔널 CES를 소유 및 주관하고 있는데 최근 중국이 세계 가전 시장의 핵으로 부상하자 올해 처음으로 중국에서 CES 아시아를 개최했다. CES 아시아에는 중국, 핀란드, 프랑스, 독일, 홍콩, 이스라엘, 뉴질랜드, 노르웨이, 필리핀, 한국, 싱가포르, 스웨덴, 대만, 영국, 미국 등 주요 경제국에서 200개 이상의 업체가 참가했다. 한편 등록자의 절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