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익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자동화 설비를 지원하는 모션제어기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이번 전시회에서 소개된 파익스 모션제어기는 이더넷(TCP/IP) 통신으로 제어하는 외장형 제어기다. 기존 PC내부에 장착해 사용하는 PCI보드 타입 제어 방식에서 구현하기 어려웠던 무제한 연속보간(3D프린터, 조각기 등), 연속보간 중 노드 별로 디지털 신호 출력 제어(디스펜서, 본더 등)와 같은 특수 기능을 탑재했다. 이더넷 통신은 제어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빈번하게 수행할 경우 통신의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파익스 모션제어기는 각종 정보를 한번에 읽어 올 수 있는 구조체 형태로 개발됐다. 파익스는 PC기반 모션제어기, PLC, 인버터, 서보 모터, 스텝 모터, HMI의 개발, 제조 및 유통 전문 기업이다. 오랜 시간
‘로봇 소부장 스타트업’ 에이딘로보틱스는 중국 강소성에 위치한 ‘딩스(DINGS)’와 현지 공급 및 판매 계약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딩스는 2008년에 설립된 스텝 모터 기반 리니어 액추에이터를 전문으로 제조 및 판매하고 있는 중국 내 상장 기업이다. 한국에서는 2008년부터 제품 판매를 시작했으며 2016년에 딩스코리아가 설립되면서 한국 내 활동도 이어오고 있다. 딩스는 산업자동화 영역의 사업 확장을 위해 모터, 모션 제어기 등으로 제품 라인업을 확장하고 있으며, 미국을 비롯해 일본, 유럽 등으로 넓혀 나가고 있다. 에이딘로보틱스는 이번 협약으로 자체 개발한 힘 토크센서를 딩스를 통해 중국 시장에 판매할 예정이다. 현재 에이딘로보틱스는 스마트 6축 힘 토크센서(AFT200-D80) 제품을 비롯해, 초박형 관절 토크센서(ATSB Series), 초소형 6축 힘 토크센서(AFT20-D15) 등을 국내를 비롯해 미국, 유럽, 아시아 다수 국가로 수출하고 있다. 해당 제품들은 성균관대학교 기계공학부 내 Robotics Innovatory 실험실에서 1995년부터 연구해온 필드센싱 기술을 바탕으로 탄생했다. 특히 기존 시장에 나와 있던 정전용량 방식의 제품 중
전기 모터는 시스템의 움직임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지만, 각 유형은 서로 다른 용도로 설계되었으며 서로 다른 강점과 한계를 가지고 있다. 서보 모터(Servo Motor)와 스텝 모터(Step Motor)는 산업 자동화 응용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각 모터 유형은 특정 작업에 더 적합한 고유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두 가지 사이의 결정은 정밀도, 속도, 토크, 비용 및 환경 조건과 같은 특정 응용 프로그램 요구 사항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차이점, 응용 프로그램 및 고려해야 할 요소를 살펴보면 현명한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서보 모터는 기계 시스템의 속도와 위치를 정밀하게 제어하도록 설계된 모터 유형이다. 이 모터는 외부 입력에 따라 위치를 정확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피드백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서보 모터의 기본 구성 요소는 모터, 피드백 센서(예: 엔코더) 및 제어 시스템이다. 제어 시스템은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모터의 속도와 위치를 지속적으로 수정하여 시스템의 움직임을 정밀하게 제어한다. 스텝 모터는 작은, 정밀한 증분, 즉 스텝으로 회전하는 모터 유형이다. 이 모터는 로봇 공학이나 컴퓨터 수치 제어(CNC) 기계와 같은 정밀 위치
아이모션테크/지피테크놀러지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브레이크, 모터 등 자동화 모션 제품을 전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아이모션테크/지피테크놀러지는 전시회에서 전방 장착용 전자브레이크와 HP-Vanguard 모터, Nanotec의 스텝 모터, 드라이버, 컨트롤러 등 제품을 선보였다. 아이모션테크/지피테크놀러지는 전시회에서 전방 장착용 전자브레이크와 HP-Vanguard 모터, Nanotec의 스텝 모터, 드라이버, 컨트롤러 등 제품을 선보였다. 전시된 제품은 스텝핑모터에 장착가능한 전방 장착 브레이크 모듈로 비상 정전 시에 브레이크가 작동해 유닛의 낙하방지 및 정위치를 구현할 수 있다. 빠른 제동 시간의 구현이 가능하고, 적용된 마찰라이닝은 내구성과 수명이 뛰어나다. MBS- 과여자 기능이 있는 소형 슬림 브레이크는 설치 공간을 절약하기 위해 초소형으로 설계됐다. 특수한 과여자 컨트롤러를 결합하여 높은 토크, 낮은 소비 전력 및 브레이크의 온도
[헬로티] ‘인아오리엔탈모터’와 ‘인아엠씨티·인아코포(대표 신동진)’가 지난 8일부터 다아라 온라인 전시관에서 열리는 ‘산업 다아라 온라인 전시회’에 참가했다. 인아오리엔탈모터는 △스텝 모터 △AC 기어드 모터 △스피드 컨트롤 모터 △BLDC 모터 △전동 액추에이터 등 다양한 라인업을 바탕으로 각 제품군별 향상된 사양과 기능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도록 구성했다. 특히 모터의 최적화 설계에 따른 높은 효율을 실현한 새 삼상 인덕션 모터 ‘KII/KIIS Series’, 고 토크 저 진동·저 소음을 더 추궁해 성능을 향상시킨 ‘CVK Series’, 저소음 시스템 구성이 간단한 ‘US2 Series’, 토크 제한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탑재해 PC에서의 설정 및 지령도 가능한 ‘BLE2 Series’ 등이 소개된다. 인아엠씨티는 스마트 팩토리로 대표되는 다양한 제품군을 소개한다. 고온·진공 등 열악한 환경에서도 대응 가능한 보쉬렉스로스코리아의 차세대 물류이송 시스템인 &lsqu
서울 금천구에 위치한 이레텍은 30년 동안 모션컨트롤 산업에 직접 참여해서 얻은 경험과 기술 노하우를 바탕으로 고객에게 더 좋은 품질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미국 일렉트로크레프트가 파트너사이며 IC, 모션컨트롤, 드라이버, 모터(서보, 스텝, 리니어) 등의 제품을 취급하고 있다. 이레텍은 2011년 CE RoHS ISO9001, ISO14001 인증을 획득했고, 2012년에는 서울 중소기업청 수출 유망 중소기업으로 지정됐다. 2013년에는 경영혁신형 중소기업(MAIN-BIZ)과 기술혁신형 중소기업(INNO-BIZ) 인증을 획득했다. 그리고 2014년에는 하이서울브랜드 우수 중소기업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이레텍의 서보형 스텝 모터인 EDB 3000-28V48 모델은 윈도우 DLL 라이브러리 및 샘플 프로그램과 PLC 사용자를 위한 HEX 데이터를 제공한다. 그리고 스탠드 얼론 프로그램을 지원하며 모터 크기별 길이(S, M, L)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일체형 스텝 모터인 EDCI-28V24 모델의 경우 28mm 2상 바이폴러 스텝 모터에 컨트롤러, 드라이버, 인코더가 포함된 일체형 제품으로, 콤팩트한 디자인과 간편한 배선 연결로 인해 설비상
스텝 모터는 고정자 와인딩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전환하는 방식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모터의 회전력과 모터 속도를 제어하기 위해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해야 한다. 이 글은 풀 스텝 모드, 하프 스텝 모드, 마이크로 스텝 모드로 구동되는 스텝 모터와 관련하여 디지털 모터 컨트롤과 같은 새로운 기술 발전에 대해서 기술한다. 스텝 모터 드라이버 설계에서 가장 중요한 요건은 매끄러운 동작과 고효율성이다. 스텝 모터를 단순하게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회전자(rotor)에 영구 자석을, 그리고 고정자(stator)에 두 개의 코일을 가지고 있는 스텝 모터는 고정자 와인딩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전환(switching)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전류의 방향 전환은 고정자의 자계를 변화시키고 회전자는 고정자와 정렬하기 위해 움직이게 된다. 전류가 전환할 때마다 모터는 한 단계씩 이동한다. 따라서 스텝 모터는 모터의 회전력(토크)과 모터 속도를 제어하기 위해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해야 한다. 이 글은 풀 스텝 모드, 하프 스텝 모드, 마이크로 스텝(micro-stepping) 모드로 구동되는 스텝 모터와 관련하여 디지털 모터 컨트롤과 같은 새로운 기술 발전에 대해서 기술
스텝 모터는 고정자 와인딩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전환하는 방식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모터의 회전력과 모터 속도를 제어하기 위해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해야 한다. 이 글은 풀 스텝 모드, 하프 스텝 모드, 마이크로 스텝 모드로 구동되는 스텝 모터와 관련하여 디지털 모터 컨트롤과 같은 새로운 기술 발전에 대해서 기술한다. 스텝 모터 드라이버 설계에서 가장 중요한 요건은 매끄러운 동작과 고효율성이다. 스텝 모터를 단순하게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회전자(rotor)에 영구 자석을, 그리고 고정자(stator)에 두 개의 코일을 가지고 있는 스텝 모터는 고정자 와인딩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전환(switching)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전류의 방향 전환은 고정자의 자계를 변화시키고 회전자는 고정자와 정렬하기 위해 움직이게 된다. 전류가 전환할 때마다 모터는 한 단계씩 이동한다. 따라서 스텝 모터는 모터의 회전력(토크)과 모터 속도를 제어하기 위해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해야 한다. 이 글은 풀 스텝 모드, 하프 스텝 모드, 마이크로 스텝(micro-stepping) 모드로 구동되는 스텝 모터와 관련하여 디지털 모터 컨트롤과 같은 새로운 기술 발전에 대해서 기술
ⓒGetty images Bank 스텝 모터는 고정자 와인딩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전환하는 방식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모터의 회전력과 모터 속도를 제어하기 위해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해야 한다. 이 글은 풀 스텝 모드, 하프 스텝 모드, 마이크로 스텝 모드로 구동되는 스텝 모터와 관련하여 디지털 모터 컨트롤과 같은 새로운 기술 발전에 대해서 기술한다. 스텝 모터 드라이버 설계에서 가장 중요한 요건은 매끄러운 동작과 고효율성이다. 스텝 모터를 단순하게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회전자(rotor)에 영구 자석을, 그리고 고정자(stator)에 두 개의 코일을 가지고 있는 스텝 모터는 고정자 와인딩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전환(switching)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전류의 방향 전환은 고정자의 자계를 변화시키고 회전자는 고정자와 정렬하기 위해 움직이게 된다. 전류가 전환할 때마다 모터는 한 단계씩 이동한다. 따라서 스텝 모터는 모터의 회전력(토크)과 모터 속도를 제어하기 위해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해야 한다. 이 글은 풀 스텝 모드, 하프 스텝 모드, 마이크로 스텝(micro-stepping) 모드로 구동되는 스텝 모터와 관련하여 디지털 모터 컨트롤과 같
ⓒGetty images Bank 스텝 모터는 고정자 와인딩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전환하는 방식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모터의 회전력과 모터 속도를 제어하기 위해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해야 한다. 이 글은 풀 스텝 모드, 하프 스텝 모드, 마이크로 스텝 모드로 구동되는 스텝 모터와 관련하여 디지털 모터 컨트롤과 같은 새로운 기술 발전에 대해서 기술한다. 스텝 모터 드라이버 설계에서 가장 중요한 요건은 매끄러운 동작과 고효율성이다. 스텝 모터를 단순하게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회전자(rotor)에 영구 자석을, 그리고 고정자(stator)에 두 개의 코일을 가지고 있는 스텝 모터는 고정자 와인딩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전환(switching)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전류의 방향 전환은 고정자의 자계를 변화시키고 회전자는 고정자와 정렬하기 위해 움직이게 된다. 전류가 전환할 때마다 모터는 한 단계씩 이동한다. 따라서 스텝 모터는 모터의 회전력(토크)과 모터 속도를 제어하기 위해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해야 한다. 이 글은 풀 스텝 모드, 하프 스텝 모드, 마이크로 스텝(micro-stepping) 모드로 구동되는 스텝 모터와 관련하여 디지털 모터 컨트롤과 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