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생산 환경에 특화한 AI 솔루션 도입 가속할 계획 밝혀 마키나락스가 자동화 기업인 ‘쿠카(KUKA)’의 자회사이자 IoT/데이터 분석 기업인 ‘디바이스 인사이트’와 산업용 AI 솔루션 개발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양사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기업의 생산 환경에 특화한 AI 솔루션의 도입을 가속할 예정이다. 데이터 수집에서 데이터 거버넌스, 맞춤형 알고리즘과 AI 에이전트 개발에 이르기까지 생산 현장에서의 실질적인 AI 구현 속도를 획기적으로 앞당기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글로벌 산업용 로봇 메이커인 쿠카 로봇에 특화된 AI 기반 예지보전과 산업용 AI LLM 등을 공동 개발해 유럽 현지의 제조 기업에도 공급할 예정이다. 디바이스 인사이트는 산업용 IoT, 데이터 엔지니어링 및 데이터 기반 프로세스 최적화 분야에서 20년 이상의 경험과 전문성을 보유한 기업이다. 디바이스 인사이트는 쿠카 자회사로, 독일 뮌헨에 본사를 두고 있다. 데이터 기반 팩토리 접근 방식으로 게롤슈타이너(Gerolsteiner), 코스타(COSTA) 등 글로벌 고객에게 생산 현장의 디지털화와 최적화를 종합적으로 지원한다. 마키나락스는 자체 개발한 AI
전기차 충전, 산업용 드라이브, 태양광 및 에너지 저장 시스템 등에 적합해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이하 인피니언)는 산업용 및 차량용 전력 애플리케이션에서 증가하는 높은 효율과 전력 밀도에 대한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750V G1 디스크리트 CoolSiC MOSFET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이 제품군은 토템폴 PFC, T-타입, LLC/CLLC, DAB(듀얼 능동 브리지), HERIC, 벅/부스트, PSFB(위상 편이 풀 브리지) 토폴로지에 최적화한 산업용 및 차량용 등급의 SiC MOSFET으로 구성된다. 이들 MOSFET은 전기차 충전, 산업용 드라이브, 태양광 및 에너지 저장 시스템, 솔리드 스테이트 회로 차단기, UPS 시스템, 서버/데이터 센터, 텔레콤 등의 산업용 애플리케이션과 온보드 차저(OBC), DC-DC 컨버터 등의 차량용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 CoolSiC MOSFET 750V G1 기술은 뛰어난 RDS(on) x Qfr 및 RDS(on) x Qoss FOM(figure of merit)을 특징으로 하며, 각각 하드 스위칭 및 소프트 스위칭 토폴로지에서 매우 높은 효율을 달성한다. 높은 임계 전압(VGS(th), 4.3V 정격)과 낮은 Q
헬로티 함수미 기자 | 햅시바가 인사이드3D프린팅 전시회에서 3D 솔루션 브랜드 Veltz 3D를 선보였다. 햅시바는 다수의 정부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면서 3D프린터 제품 사업화에 성공해 Veltz3D 브랜드를 런칭했다. 이와 더불어 FFF 3D프린터 전문기업인 ESSENTIUM의 한국 총판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햅시바의 산업용 3D프린터 Veltz-600P는 최대 출력 크기 600 x 600 x 400(H) mm를 지원한다. 기존 목업 제작비 대비 최대 1/10까지 줄일 수 있는 높은 경제성과 비정형·복잡한 형상에 상관없이 설계도면을 완벽히 구현할 수 있는 우수한 곡면묘사가 특징이다. 덴탈 분야에서는 DLP 3D프린터와 LCD 3D프린터를 전시했다. DLP 3D프린터 T7D는 광학엔진을 사용해 정밀하고 정확하게 반복 재현해낸다. DIO, Dreve, DETAX, Pro3dure, NextDent 등 다양한 소재를 사용하며, 임시치아 전용 모드 기능이 탑재됐다. LCD 3D프린터 T7L은 강력한 LED 모듈을 사용한다. 디지털 프린팅 기술을 통해 다양한 덴탈 모델을 여러 번 출력해 높은 반복재현성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2.7K 고해상도 Mono LCD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지테크시스템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산업용 PC, 컨트롤러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지테크시스템이 이번에 선보인 산업용 PC 'FLX06R01’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2차 전지 등 모든 자동화 산업 장비에 사용될 수 있다. FLX06R01는 ▲공간 효율성 확보하는 소형화 PC ▲NVMe M.2 Slot이 내장돼 Data 고속 처리 ▲전면 2.5" SSD Rack 2개 지원해 여유 용량 확보 ▲다수 I/O 및 PCI Card Slot 지원을 통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구현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MMC(Multi Module Controller)는 ▲6개 모듈을 1개의 컨트롤러에 내장해 공간 효율성 확보 ▲EtherCAT & POE 지원을 통해 네트워크 안정성과 효울성 증가 ▲안정적인 전원 설계로 과전압/과전류 보호 ▲모듈 별 핫 스왑 기능 지원으로 쉬운 유지 보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지테크시스템
[헬로티] 케이블 계측과 네트워크 스위치 진단까지 가능 ▲LinkIQ-IE Cable+Network 산업용 이더넷 테스터 플루크 네트웍스(이하 플루크)는 산업용 이더넷 장애의 주요 원인인 네트워크 케이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계된 LinkIQ-IE Cable+Network 산업용 이더넷 테스터를 발표했다. 이더넷 기반 기술이 산업 자동화 네트워크를 지배하게 됨에 따라 이러한 네트워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하기 쉬운 도구의 필요성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LinkIQ-IE는 플루크의 케이블 계측 기술과 산업용 이더넷 스위치에 대한 기본 테스트를 결합해 네트워크 장애 발견 속도를 높인다. 무엇보다 산업용 이더넷이 자동화를 위한 주요 기술이 되면서 유지 보수 및 장애 해결은 매우 중요해지고 있다. 산업용 통신 솔루션 제공업체인 HMS는 연례 설문 조사에서 새로 설치된 공장 자동화 노드의 70%가 산업용 이더넷을 사용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산업 네트워크 지원 조직인 Indu-Sol의 연구에 따르면, 산업용 이더넷 서비스 호출의 절반 이상이 케이블 관련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산업용 이더넷 시대에서 분명한 것은 케이블 링을 테스트하
[헬로티] 데이터로직은 2MP 센서를 갖춘 이미지 기반 바코드 스캐너 Matrix™ 320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타이어 이력관리 솔루션, STS320™ 제품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출처 : 데이터로직 이번 솔루션에는 ▲우수한 판독 성능 ▲설치 및 유지보수 편의성 ▲실시간 모니터링 ▲산업용으로 설계된 제품 견고성 기능 등이 있다고 전했다. 데이터로직에 따르면 STS320은 99.9% 이상의 우수한 판독 성능을 가지고, 큰 사이즈의 컨베이어(최대 1250mm/49’’) 위에 고해상도(10mils)의 바코드 판독이 가능한 FoV(Field of View) 및 DoF(Depth of Field) 기능이 있다고 밝혔다. 또한, 1.5m/s의 고속으로 움직이는 컨베이어에 작업자가 타이어를 로드(load)할 때, 데이터로직의 특허 PackTrack™ 소프트웨어를 통해 타이어들 사이의 최소 이격거리(100mm)만으로 판독이 가능하므로, 타이어 제조사인 고객들은 작업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STS320은 사전 조립 및 구성을 완료해 출고되므로, 현장에서 T-Bolt 하나만 조이면 간단하게 설치 및 사용이
[헬로티] 플루크(Fluke)가 산업용 음향 카메라에 보다 정확도와 휴대성을 높이고 타사대비 긴 보증기간, 메뉴얼에 한글 지원, 터치스크린 등의 편리한 UI 등의 차별화를 전략으로 국내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플루크는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7월 15일부터 17일까지 개최되는 제12회 서울국제가스&FC산업전(이하 가스코리아 2020)에 참가해 산업용 음향 카메라를 비롯해 주요 산업용 계측 장비를 소개했다. ▲가스 코리아 2020 전시회에 전시된 플루크의 ii900 산업용 음향 카메라(초음파 카메라) 플루크 ii900 산업용 음향 카메라(초음파 카메라)는 소리를 이용해서 문제를 찾는 새로운 방식의 장비다. 지금까지 공기누출 위치를 찾으려면 시간이 걸리고 어려움이 따른다. 이를 개선시키기 위해 플루크 ii900 산업용 음향 카메라는 MEMS마이크로폰 센서가 64개 탑재됨으로써 소음이 심한 환경에서도 압축 공기, 가스 및 진공 누출 위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찾을 수 있다. 측정 가능한 가스 종류는 질소가스, 아르곤가스, NG가스, 수소가스, 하이드로카본, 스팀 등이다. 김귀희 한국플루크 IG영업부 부장은 “지금까지 공기 누출 위치를 찾기 위해
[헬로티] 온세미컨덕터가 초저전력 RSL10 SIP(System-in-Package) 기반의 블루투스 저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메시 네트워킹 솔루션을 새롭게 선보였다. RSL10 메시 플랫폼을 통해 엔지니어들은 블루투스 저에너지 기술을 사용하여 초저전력 메시 네트워킹을 쉽게 구현할 수 있다. 스마트 홈, 빌딩 자동화, 산업용 사물인터넷(IoT), 원격 환경 모니터링, 자산 추적 및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에 최적화된 이 솔루션은 메시 네트워크 개발 및 구축에 필요한 필수 요소를 모두 갖추고 있다. 또한, 온세미컨덕터의 클라우드 기반 개발 플랫폼인 스트라타 개발자 스튜디오(Strata Developer Studio™)에 연결하기 위한 2개의 RSL10 메시 노드와 스트라타 게이트웨이로 구성된다. 온세미컨덕터는 RSL10 SIP를 보완하기 위해, 주변 광 센서(LV0104CS), 온도 센서(N34TS108), 자기 센서, LED 표시기, 그리고 색상 혼합용 3중 출력 NCP5623B LED 드라이버를 포함한 일련의 센서 및 표시기 장치가 노드 하드웨어에 통합했다. 또한, 새로운 솔루션에는 리튬 이온(Li-Ion) 또는 리튬 이온 폴
[헬로티] NXP반도체는 KW3x 마이크로컨트롤러(MCU) 제품군에 KW39/38/37를 신규 출시했다고 발표했다. 이번에 새롭게 발표된 KW39/38/37 MCU에는 블루투스(Bluetooth) 5.0 장거리 기능이 추가되었으며, 블루투스 광고 채널이 확대 적용되었다. 이전 세대의 KW34/35/36과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툴 호환성 면에서 원활히 마이그레이션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기능이 향상되어 추가되었다. 이 커넥티비티 MCU를 통해 블루투스 LE(저 에너지) 장치는 1마일 이상 거리에서도 통신을 할 수 있으며, 지배적인 IoT 프로토콜인 블루투스 표준 내에서 블루투스 광고 채널과 광고 데이터 양을 늘릴 수 있다. 새로운 무선 MCU 솔루션을 이용해 개발자들은 자동차 및 산업 디지털화 관련한 새로운 사용 사례를 다룰 수 있다. KW39/38/37 무선 MCU는 CAN-FD 주변장치와의 강력한 시리얼 커뮤니케이션과 함께 자동차 및 산업용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로 설계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키리스(keyless) 접근, 센서, 무선 온보드 진단 기능과 같은 자동차 애플리케이션에 이상적이다. 추가로, 건물 제어 및 모니터링, 화재 및 안전, 홈 및 기관 헬
[첨단 헬로티] 산업용 3D프린터 ‘3DWOX 30X’, ‘3DWOX 50X’ 국내 최초 컨버전 리무진 생산 적용 2D & 3D 전문기업 신도리코가 자동차 디자인, 기술개발 및 승용특장차 생산 기업 케이씨모터스에 대형 산업용 3D프린터를 공급했다고 밝혔다. ▲케이씨모터스에 설치된 3DWOX 50X 국내 최초로 3D프린터를 컨버전 리무진 차량 부품 생산에 도입함으로써 고객 니즈에 맞춘 디자인 개발은 물론, 다품종 소량생산 차종의 금형 투자비 절감 효과도 클 것으로 업계의 큰 관심을 모으고 있다. 케이씨모터스는 기아자동차 카니발 하이리무진, 카니발 아웃도어, 현대자동차 쏠라티 리무진과 쏠라티 투어를 주력으로 특장 생산해온 업체로 카니발 하이리무진의 경우 2만여 대가 넘는 누적 판매량을 기록하는 등 국내 승용 특장업체 중 선두기업의 입지를 다지고 있다. 신도리코의 FFF(Fused Filament Fabrication, 적층제조형) 방식 산업용 3D프린터 ‘3DWOX 30X’를 통해 차량 부품 생산을 실시해왔으며, 이번에 추가로 초대형 출력이 가능한 ‘3DWOX 50X’를
[첨단 헬로티] 3D프린터 사업 관련된 향후 다양한 사업 분야에서 높은 시너지 효과 창출 예정 사무기 통합솔루션 전문기업 캐논코리아 비즈니스 솔루션㈜이 3D프린터 서비스 전문기업 ㈜쓰리디솔루션과 업무 제휴를 맺고 의료&산업용 3D프린터 사업 고도화에 나섰다. 지난 26일 캐논코리아 비즈니스 솔루션 본사에서 진행된 업무 협약식에서 양사는 성공적인 사업을 위해 긴밀한 업무 협력 체제를 구축하고, 상호 지원 및 협력을 도모했다. 이날 행사에는 캐논코리아 비즈니스 솔루션 김천주 대표이사와 쓰리디솔루션 정구봉 대표이사 및 각사 임원진이 참석했다. ▲캐논코리아 비즈니스 솔루션㈜이 ㈜쓰리디솔루션과 업무 제휴를 맺고 의료&산업용 3D프린터 사업 고도화에 나섰다. 캐논코리아 비즈니스 솔루션은 이번 업무 협약을 통해 3D프린터 판매와 3D프린팅 출력 서비스 등 다양한 사업 부분에서 각사가 보유한 역량을 최대한 발휘해, 3D프린터 사업에 대한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계획이다. 특히, 쓰리디솔루션이 한국 내 독점 판매권을 획득한 Kings 3D 프린터 제품을 통해 높은 품질 대비 저렴한 재료비로 의료&산업용 3D프린터 사업에 경쟁력을 높일 예정이다. 쓰리디솔
방산 및 자동차 부품 제조사에 자체 개발 IoT솔루션 공급으로 매출 확대 스맥이 산업용 IoT 솔루션 공급 계약에 성공하면서 스마트공장 구축 사업에 속력을 더하게 됐다. 지난 18일, 스맥은 지난해 말부터 정부가 추진하는 스마트공장 구축 사업에 참여해 최근 5개 기업에 자체 개발한 IoT 솔루션을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계약에 따라 서창, 호성하이텍, 기남산업, 융성테크, 천룡정밀 등 경남 지방에 위치한 방산 및 자동차 부품 제조사에 총 5억 원 규모의 산업용 loT 솔루션을 공급한다. 솔루션 구축 작업은 5월 말까지 마무리될 예정이다. 스맥은 스마트공장 구축이 정부 중심의 혁신성장 과제로 선정되고 올해 들어 지원 폭도 대폭 증가했다. 자사는 관련 인프라 수요 급증에 따른 이익이 예상됐다고 밝혔다. 스맥의 산업용 IoT 솔루션은 범용성이 높아 당사 공작기계뿐 아니라 다양한 기계 및 산업군에 적용이 가능한 만큼 향후 성장에 중요한 동력이 될 것으로 보인다. 스맥의 산업용 IoT 솔루션은 공작기계당 50개 이상의 가동 및 가공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자동 수집해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특히, 확장형 모듈을 통해 공작기계뿐 아니라 다양한 IoT 센서
[헬로티] 마킹기기 전문업체인 제이원이 자체 생산한 산업용 잉크젯 프린터 사업을 강화키로 했다. 산업용 잉크젯을 이용한 마킹 인쇄의 경우, 생산 공장 제품 포장라인의 출하라인(컨베이어 벨트)에서 제품 표면이나 포장된 종이 상자에 제품 및 생산자 정보를 직접 인쇄한다. 이 산업용 잉크젯 프린터는 제품 정보뿐 아니라 로고(이미지), 바코드를 직접 컨트롤러에서 생성해 인쇄할 수 있고, 인쇄 품질은 박스 생산 시 인쇄한 제품 정보와 비교해도 떨어지지 않을 정도로 높은 편이다. ▲사진 위에서부터 HR-100. HR-4000, HR-2000 모델. 제이원은 데이터 관리를 위해 공장 자동화 장비 제작, 물류 관리 시스템 구축 등 토털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고객 맞춤형 소프트웨어를 개발 및 적용해 제이원의 잉크젯과 연동 가능한 시스템을 생산 라인에 적용하고 있다. 출고 시 제품에 마킹한 바코드에서 스캔된 정보는 무선중계기 안테나를 통해 PC 서버에 도달하고, 데이터로 축적 및 관리된다. 이를 통해 기업은 전체 제품의 생산량과 입출고 현황을 자체 네트워크에 연결해 물류관리 시스템을 갖추게 된다. 또한 제품 정보를 바코드에 심어 생산, 적재, 입출고, 반품 등의 관리에
‘Cube eye’는 고성능 ToF(Time of Flight) 센서를 사용한 3D Range 카메라이다. 이 카메라는 감시 시스템 및 피플 카운팅, 공간 3D 스캐닝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접목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고해상도의 Depth Raw 데이터를 획득함으로써 추가 보정 없이 정확한 데이터 분석이 가능하다. Depth Only 방식 또는 Depth+RGB 방식의 카메라를 선택할 수 있으며, 다양한 커스터마이징도 가능하다. 김희성 기자 (npnted@hellot.net)
[헬로티] 데키스트가 산업용 유무선 데이터로거 전문 브랜드 라디오노드(RADIONODE) 신제품인 'RN172 ' 와이파이 데이터로거를 출시했다.. 'RN172 '와이파이 데이터로거는 기존 5가지 종류의 USB 센서 전송기 제품을 함께 연동해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다양한 아날로그 센서 중 필요에 따라 센서를 선택해 모니터링 할 수 있다. 회사 관계자는 “'RN172' 와이파이 데이터로거를 구입해 사용할 경우, 다른 타사의 산업용 기록계 혹은 메모리 방식의 데이터로거 보다 매우 편리하게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데키스트에서 SaaS(Software as a Service) 형태로 제공하고 있는 소프트웨어 타파쿨로365가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베타 버전으로 선보였던 타파쿨로365는 올해 정식 버전인 S2 서비스가 출시됐다. 기본 기능은 무료로 사용 가능한데, 주요 기능으로는 20개 데이터 채널의 저장소 제공, 일일보고서 자동 생성, 문자/전화/이메일/대시보드를 통한 긴급 알람 통보가 있다. 데키스트가 설명하는 타파쿨로365는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PC나 스마트폰을 통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이 가능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