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노트 [D&M Report] 최적 사출성형공정과 성형 불량 케이스Ⅲ - 사출성형공정에 알맞은 보압 조건 알아보기
[헬로티] 사출 성형이란 플라스틱의 성형가공법으로 열가소성수지를 성형하는 대표적인 방법이다. 다양한 무게의 제품을 성형하며, 반복해서 제작할 수 있으므로 대량생산에 적합한 기술 중 하나다. 금형기술 10월호에서는 사출성형공정에 적절한 사출 및 보압 조건에 대한 내용 그리고 성형 불량 종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LS엠트론 김영기 고문 기고 사출과 보압 사출공정에서 스크류가 플런저 역할을 수행한다. 완전한 균질의 용융재료가 고압력과 일정한 속도 프로파일로 스크류의 전진동작에 의해 금형 안으로 사출된다. 캐비티가 충진될 때 압력 제어로 절환되고 성형품이 금형 안에서 냉각되는 동안 재료의 수축을 보상하기 위해 유동체 중앙에 압력을 가한다. 사출속도가 성형제품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 탄 자국 : 에어밴트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 미성형 제품 : 캐비티가 완전히 충진되기 전에 수지가 고화되는 경우 - 플래시 발생 : 사출 도중 충진된 재료가 급속히 고화돼 필수적으로 높은 압력이 발생되는 경우) - 젯팅, 갇힌 공기(기포) : 사출초기에 매우 높은 속도를 가지는 경우 - 박리 : 충진 마지막 단계에서 용융재료가 첨가제 주위를 더 이상 흐르지 않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