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릭슨은 4일 에릭슨과 전세계 대표 통신사들이 설립한 합작법인 ‘아두나(Aduna)’의 지분 파트너사로 일본의 통신사업자 KDDI가 합류했다고 밝혔다. KDDI의 영입으로 아두나가 비전으로 내세운 개발자 중심의 공통 네트워크 API 도입과 혁신은 한층 더 가속화될 전망이라고 에릭슨은 전했다. KDDI는 기술적 역량과 마케팅을 포함한 다양한 전문성과 자원을 공유하며 아두나의 영역과 영향력을 강화하고, 아두나의 목표인 고급 네트워크 기능에 대한 개방적이고 차별없는 액세스를 구현하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에릭슨은 “KDDI의 합류는 산업 전반에서 아두나의 경쟁력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개발자 경험을 개선하고 수익 창출 기회를 극대화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강조했다. 카즈유키 요시무라 KDDI CTO는 “모바일 통신 분야의 선두두자인 KDDI가 아두나에 합류함으로써 API를 통한 고급 네트워크 기능에 대한 액세스를 확대하고, 개발자 플랫폼이 글로벌 혁신을 주도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며 “통합 플랫폼에 연동되는 신규 네트워크들은 고급 애플리케이션이 더욱 활성화할 수 있는 생태계를 조성하고 이를 통해 더 많은 기업과 소비자에게 원활한 연결성과 향상된
SK텔레콤(이하 SKT)이 미래 산업의 기반이 될 6G 표준화를 주도하기 위해 자사가 진행 중인 관련 활동들을 21일 공개했다. 현재 6G는 ITU-R에서 비전(프레임워크)를 논의 중이며, 6G 표준화 승인은 2030년 경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SKT는 6G 글로벌 표준화와 기술 생태계 구축을 주도하기 위해 관련기술 연구, 백서 발간 등 다양한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SKT는 이달 19일부터 23일까지 일본 오사카에서 열리는 O-RAN 얼라이언스 미팅에 참가 중이다. SKT는 O-RAN 얼라이언스의 6G 연구그룹인 nGRG 산하 요구사항 연구반(RS-01)의 공동의장을 맡고 있다. 버라이즌, 도이치텔레콤, NTT도코모 등 주요 글로벌 사업자 및 제조사가 참석하는 이번 미팅에서 SKT는 자사의 6G 방향성을 제시하고 '6G 후보주파수 요구사항'에 대한 기고 및 발표와 6G 오픈랜 연구 보고서 검토 및 논의를 국내 기업 중 유일하게 진행한다. 이번 미팅 참여를 토대로 SKT는 올해 중 6G 오픈랜 연구 보고서를 발간하고, 6G를 연계한 오픈랜 표준화 활동을 활발하게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의 전파통신 부문인 ITU-R은 6월 12
삼성전자의 지난해 시설투자액, 연구개발비, 임직원수 모두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가 8일 공시한 2021년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시설투자액은 48조2천억원으로, 전년(38조5천억원)보다 약 25%(9조7천억원) 증가했다. 이는 반도체 대호황기였던 2017년의 43조4천억원보다 많은 것이다. 지난해 전체 시설투자액 중 43조5천670억원이 반도체 사업에 투입됐다. 그외 디스플레이 사업에 2조6천133억원, 기타 사업에 2조419억원이 각각 투자됐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사업의 첨단공정 증설·전환과 관련 인프라 투자가 이뤄졌다"며 "올해도 주력 사업 경쟁력 강화와 미래 수요 증가 대응을 위해 시설 투자를 지속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연구개발비는 22조5천965억원으로, 전년(21조2천230억원)보다 1조3천735억원 증가하며 역대 최대 수준을 나타냈다.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율은 2017년 7.0%, 2018년 7.7%, 2019년 8.8%, 2020년 9.0%, 지난해 8.1%를 기록했다. 지난해 삼성전자 임직원은 11만3천485명으로, 연간 기준 역대 최다 규모로 집계됐다. 남성 직원이 8만4천25
헬로티 서재창 기자 | 삼성전자의 5G 네트워크 장비가 처음으로 영국에서 신호를 쏘면서 유럽 장비시장을 공략하기 위한 첫 걸음을 내디뎠다. 삼성전자는 미국에서도 버라이즌과 중대역 5G 서비스를 개시하는 등 세계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3일 이동통신 업계 등에 따르면 보다폰 영국 법인은 이달 19일(현지시간) 서머싯주 바스시에 삼성전자와 협력해 설치한 5G 기지국의 첫 상용 신호를 송출했다. 삼성전자가 공급한 5G 장비가 유럽에서 상용 가동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영국 소재 다국적 통신사인 보다폰은 세계 21개국에서 사업을 하는 세계 5위, 유럽 1위의 이동통신사로, 지난해 6월 삼성전자를 보다폰의 4G·5G 네트워크 장비 주요 공급사로 선정한 뒤 이번 기지국을 처음으로 가동하게 됐다. 이를 위해 삼성전자는 기존 하드웨어 기반의 기지국과 동등한 성능을 제공하면서도 유연하고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한 가상화 기지국을 공급했다. 보다폰 영국 법인의 안드레아 도나(Andrea Dona) 네트워크 총괄과 영국 디지털문화미디어체육부 디지털 인프라 담당 줄리아 로페즈(Julia Lopez) 차관은 첫 신호 송출을 기념해 영상통화를 했다. 이번 신호 송출을 계기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가 최근 출시된 버라이즌의 USB-C 벽면 급속 충전기에 자사의 EZ-PD PAG1(Power Adapter Generation 1) AC-DC 파워 솔루션이 채택됐다고 밝혔다. Xentris Wireless에서 제조한 버라이즌의 새로운 충전기는 OTG 디바이스를 빠르게 충전하고 호환 디바이스에 최대 45W의 급속 충전을 제공한다. EZ-PD PAG1은 2-칩 AC-DC 파워 솔루션으로 USB-PD 기능을 통합해 컴팩트한 충전기를 가능하게 한다. 강력한 성능의 이들 충전기는 모든 USB-C 충전 케이블을 사용할 수 있으며 USB-C 포트가 있는 최신 및 기존 디바이스를 모두 충전할 수 있다. Xentris Wireless의 CEO인 데이비드 베일리는 "EZ-PD PAG1 칩셋은 SR(이차 정류)과 USB PD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고성능 AC-DC 벽면 충전기에 매우 적합하다"며 “이 올인원 솔루션을 사용해 PCB 풋프린트와 BOM을 크게 줄이고 소형화된 충전기로 더 높은 전력을 공급해 디바이스를 빠르게 충전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의 요구를 충족한다"라고 말했다. 인피니언의 EZ-PD PAG1 1차 및 2차 컨트롤러 제품
헬로티 조상록 기자 | SK텔레콤이 국내 대표 5G 통신장비사 '에치에프알', '엔텔스'와 사업협력 MOU를 체결하고 글로벌 ‘5G MEC(모바일에지컴퓨팅)’ 사업 선점에 나선다. 5G MEC는 서비스 이용자와 가장 가까운 기지국에 소규모 데이터센터를 별도로 배치해 초저지연 통신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전세계 주요국이 5G 전용망 상용화에 나서면서, 5G 전용망의 연결성과 보안성을 향상시키는 5G MEC가 주목받고 있다. 현재 미국, 일본, 독일의 제조 기업과 공공기관은 제한된 구역에 5G 전용망을 구축해 스마트팩토리, 로봇, 드론 등 New ICT 산업을 고도화하고 있다. SK텔레콤-에치에프알-엔텔스는 5G 전용망을 운영하거나 도입 예정인 해외 기업과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맞춤형 ‘5G MEC 솔루션’을 제공하는 B2B 사업을 전개할 예정이다. 예를 들어 스마트팩토리를 구축하기 위해 5G 전용망 주파수를 할당 받은 제조 기업이 통신 인프라 구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SK텔레콤-에치에프알-엔텔스가 공장 시스템에 꼭 맞는 5G MEC 장비와 소프트웨어를 설계 및 구축하고 향후 유지보수 서비스까지 제공하는 개념이다. 이른바 원격 네트워크 연동과 에지컴퓨팅(Edg
헬로티 조상록 기자 | 퀄컴 테크날러지(Qualcomm Technologies, 이하 퀄컴)가 5G와 AI기술을 통합한 드론 플랫폼 및 레퍼런스 디자인인 퀄컴 플라이트 RB5 5G 플랫폼(Qualcomm Flight RB5 5G Platform)을 공개했다. 퀄컴의 최신 IoT 제품을 기반으로 구축된 퀄컴 플라이트 RB5 5G 플랫폼은 '퀄컴 QRB5165 프로세서'를 탑재했으며, 차세대 고성능, 저전력 5G 드론을 구현할 솔루션을 제공한다. 퀄컴 플라이트 RB5 5G 플랫폼은 여러 복잡한 기술을 하나의 정밀하게 통합된 드론 시스템으로 압축해 영화 및 엔터테인먼트, 보안 및 긴급 출동 서비스, 배달, 국방, 점검, 맵핑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진화하는 애플리케이션과 새로운 이용 사례를 지원한다. 또한 이번 플랫폼은 초저전력으로 최상의 성능 및 이기종 컴퓨팅을 지원하며, 이를 통해 자율 주행 드론에 필요한 엣지단에서의 AI 및 머신러닝을 위한 고효율 추론이 가능하다. 혁신적인 카메라 성능은 프리미엄급 이미지를 구현한다. 5G 및 WiFi 6을 지원하는 이 플랫폼은 비가시권(BVLOS) 비행을 뛰어넘는 주요 비행 능력을 향상시켜 더욱 안전하고 견고한 비행을 지원한다
[헬로티] LG유플러스 주축으로 결성한 5G 콘텐츠 연합체 'XR(확장현실) 얼라이언스'가 몸집을 늘리고 있다. ▲출처 : LG유플러스 LG유플러스는 자사가 의장사를 맡은 XR 얼라이언스에 미국 1위 이통사 버라이즌, 프랑스 1위 이통사 오렌지, 대만 1위 이통사 청화텔레콤이 합류한다고 10일 밝혔다. 이를 통해 가입 회사가 총 7개 지역 10개 사업자로 늘었다. 작년 9월 출범한 XR 얼라이언스에는 그동안 LG유플러스와 퀄컴, 이통사인 벨 캐나다, 차이나텔레콤, KDDI, 실감 콘텐츠 제작사인 펠릭스 앤 폴 스튜디오, 아틀라스 파이브 등이 참여해왔다. XR 얼라이언스는 현재 두 번째 프로젝트 기획에 착수했다. 세계 유명 공연, 동화, 애니메이션 영역에서 차기 콘텐츠를 검토하고 회원사들의 회의로 프로젝트를 실행한다. 국제 우주정거장(ISS)을 배경으로 한 첫 번째 프로젝트 역시 이르면 이달 중 에피소드 2를 전 세계 동시 공개할 계획이다. 우주정거장 밖 실제 우주 공간의 모습을 실감나게 볼 수 있는 에피소드 3·4도 촬영해 연내 서비스할 예정이다. 에린 맥퍼슨 버라이즌 최고 콘텐츠 책임자는 "XR 얼라이언스와 협력해 몰입형 XR 콘텐츠 시장의 영
[첨단 헬로티] KT(회장 황창규)는 5G 도입 확산 및 모바일 엣지 컴퓨팅(MEC) 솔루션 기술 확보를 위해 세계 최초의 글로벌 모바일 엣지 컴퓨팅 연합체인 5G 퓨쳐 포럼(5G Future Forum)을 만든다. 모바일 엣지 컴퓨팅이란 초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기지국에 컴퓨팅 시스템을 구축한 기술이다. 5G 퓨쳐 포럼은 아메리카, 아시아 태평양과 유럽 등 전세계 분산된 5G MEC간 호환성을 제공하는 표준 개발 협력을 진행한다. 이 포럼은 KT, 아메리카 모빌(멕시코), 로저스(캐나다), 텔스트라(호주), 버라이즌(미국), 보다폰(영국) 총 6개 통신사로 구성되어 있다. 5G 퓨쳐 포럼은 MEC 상호 호환을 위해 단일 스펙 개발에 집중할 계획이다. 5G 모바일 엣지 컴퓨팅은 고객이 체감하는 네트워크 지연시간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킨다. 머신러닝, 산업 장비 자동화, 커넥티드카, 스마트시티, IoT, AR/VR 등과 같이 지연시간에 민감한 서비스를 더욱 활성화 시킬 것이다. KT는 2019년 최초로 전국 주요 8개 도시에 5G 모바일 엣지 통신센터 구축을 완료했고, 지난 12월 B2B 고객용 엣지 클라우드 서비스를 최초로 출시했다. KT는 이번 연
[첨단 헬로티] 삼성전자가 미국 이동통신사업자 버라이즌과 5G 기술을 활용한 고정형 무선 엑세스(FWA, Fixed Wireless Access) 서비스 통신장비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삼성전자는 버라이즌 자체 통신규격인 5GTF(5G Technology Forum) 기반의 통신장비, 가정용 단말기, 네트워크 설계서비스를 공급할 예정이다. 버라이즌은 2018년 하반기부터 상용 서비스를 시작하며 이는 5G 이동통신 기술을 활용한 전 세계 첫 번째 상용 서비스다. 버라이즌은 지난 해 7월부터 미국 전역 11개 도시에 5G 고정형 무선 엑세스 시범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으며 삼성전자는 이 중 첫 상용 서비스 예정 도시인 새크라멘토를 포함한 7개 도시에 통신장비와 단말기를 공급해왔다. 버라이즌은 향후 5G 고정형 무선 액세스 서비스가 미국 전역 3000만 가구로 확대되며 초고속 인터넷 시장 확산에 기폭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5G 고정형 무선 엑세스 서비스는 초고속 이동통신서비스를 각 가정까지 무선으로 직접 제공하는 기술로 광케이블 매설 공사나 이를 위한 인허가 절차 등이 필요 없다. 또 수개월까지 걸리던 서비스 준비 시간을 몇 시간으로 단축시키면서도 기
5G 설계와 배포, 이제부터 시작이다 5G는 실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어디에서 누구와 대화하든5G는 신기술에 관한 대화에서 가장 중요한 주제이다.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는5G 시대가 이미 도래했다고 했지만 아직 완전히 5G시대가 시작된 것은 아니다. 다만 거의 근접해 있는 것만은 사실이다. 무선 통신 커뮤니티는 표준화 절차의 진행 상황과 규제 기관에서 전달한 기초 업데이트부터 새로 제안된 밀리미터웨이브(mmWave) 주파수용 채널에 대한 이해, 5G를 본격적으로 상용화하기 위해 개발 중인 기술 등으로 매우 바쁜 한 해를 보냈고, 5G에 대한 기대는 그 어느 때보다 높다. 이와 같은 지난해의 모든 5G 관련 성과가 뜻하는 바는 무엇일까? 그리고 5G의 시대는 언제 열리는 것일까? 5G 주파수: mmWave와 Sub-6GHz의 결합 5G와 관련하여 정의해야하는 개념은 매우 많지만, sub-6GHz 스펙트럼이 여전히 매우 중요하고 mmWave 주파수가 sub-6GHz 기술을 보완하는 데 활용될 것이라는 점은 확실하다. 그림 1은 eMBB(강화 무선 광대역)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신뢰성 높은 고대역폭 통신부터 우리가 사물 인터넷(IoT) 어플리케이션에서
[첨단 헬로티] 미국 거대 통신 업체인 버라이즌이 자율쥬행차 스타트업 리노보오토(Renovo Auto)가 추진하는 1000만달러 규모의 투자 라운드에 참여했다는 소식이다. 최근 월스트리트저널(WSJ) 보도에 따르면 2010년 설립된 리노보오토는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안전 시스템, 데이터 분석을 결합한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이 회사 센서들은 대단히 극한적인 상황에서도 매시간 수 테라바이트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전해졌다. 버라이즌은 그동안 텔래매틱스 역량을 강화하기위해 몇건의 인수합병을 진행했다. 최근에는 자율주행차를 도로사정에 맞게 효율적으로 해주는 기술로 영역을 확대하는 모습이다. 지난해 버라이즌은 GPS 차량 추적 전문 업체인 플릿매틱스를 인수했다.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 회사인 텔로지스도 손에 넣었다. 자율주행차가 자리를 잡기 위해서는 버라이즌의 주특기인 고성능 인터넷도 필요하다. WSJ에 따르면 일반적인 자율주행차는 90분내에 4테라바이트 정도의 데이터를 생산한다. 3000명이 3년동안 인터넷을 쓸때 나오는 데이터와 맞먹는 수준이다. /황치규 기자(delight@hellot.net)
[첨단 헬로티] 내쇼날인스트루먼트(이하 NI)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된 IEEE 무선통신네트워킹 컨퍼런스(WCNC)에서 버라이즌(Verizon) 5G 스펙의 28GHz대 리얼타임 OTA(Over-the-Air) 프로토타입을 세계 최초로 공개 시연했다고 발표했다. 이 시스템은 하이브리드 빔포밍과 독립 서브프레임이 적용되어 2x2 다운링크 MU-MIMO 설정에서 8개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통해 OFDM을 사용하며, 초당 최대 5Gb의 스루풋을 구현하고 MIMO 스트림 8개로 초당 20Gb 이상까지 확장 가능하다. 버라이즌은 2015년에 자사의 5G 기술 포럼 사양을 발표한 바 있다. 이 기준을 준수하는 제품과 기술이 업계에서 계속 개발되고 있지만, 28GHz대 OTA(Over-the-Air)가 공개 시연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개발자들은 NI의 mmWave 트랜시버 시스템을 사용하고, 28GHz에서 작동하는 새로운 버전의 RF mmWave 헤드와 아노키웨이브(Anokiwave) 및 볼 에어로스페이스(Ball Aerospace)가 개발한 위상 배열 안테나를 적용하여 이 프로토타입을 개발했다. 28GHz는 버라이즌과 그 협력사들이 미국에서 배포 대역으로 지정한
[첨단 헬로티] KT(회장 황창규)는 3일 오후 서울 종로구 KT 광화문 빌딩에서 황창규 회장과 미 통신사 버라이즌(Verizon)의 로웰 맥아담(Lowell McAdam) 최고경영자(CEO)가 만나 5G 서비스에서도 협력을 지속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날 미팅에서 양사는 5G망에 대한 글로벌 연동을 통한 실시간 홀로그램 영상통화도 시연했다. KT와 버라이즌은 양사간 공동 5G 규격 기반으로 광화문과 뉴저지에 각각 구현된 28GHz기반 5G 통신망을 상호 연동해 실시간 홀로그램 국제 영상통화를 보여줬다. 서로 다른 5G 망을 국제 연동해 실시간으로 초실감형 영상통화를 시연한 것은 전세계적으로 이번이 처음이라는게 KT 설명이다. KT는 "이번 시연성공은 초고속, 대용량, 저지연 네트워크인 5G 환경에서는 통신 서비스가 얼마든지 실감형으로 발전할 수 있음을 전 세계에 보여준 것으로, 미래 통신의 진화 방향까지도 제시한 것이다"는 의미를 부여했다. 양사는 지난해 2월부터 주파수, 전송방식 등 단말기와 기지국 간 연동을 정의하는 기술인 5G 무선접속기술 규격을 공동으로 제정하는 작업을 진행해왔다. 조만간 하드웨어 규격 제정을 완료하고 소프트웨어 분야 규격을 논
[첨단 헬로티] SK텔레콤(대표 박정호)은 미국 이통사 버라이즌, 독일 도이치텔레콤을 각각 만나 글로벌 5G 기술 선도와 글로벌 New ICT 생태계 조성을 위한 협력을 강화한다. 로웰 맥아담(Lowell McAdam) 회장(겸 CEO) 등 버라이즌 경영진은 4월 3일 분당 소재 SK텔레콤 5G 이노베이션 센터를 방문한 후 SK텔레콤 박정호 사장을 만나 5G ∙ 커넥티드카 ∙ IoT 등 분야에서의 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박 사장과 맥아담 회장은 5G 기술 표준화 ∙ 5G 가상화 기술 개발 협력, 5G기반 자율주행 연합체 5GAA(5G Automotive Association)에서의 솔루션 공동 개발 및 표준화 선도, 양사가 보유한 IoT 플랫폼 등의 상호 교류와 이를 활용한 공동 사업 개발 등을 집중적으로 논의했다. SK텔레콤은 2016년 8월 버라이즌과 5G 표준화 및 공동연구를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한 바 있다. 당시 SK텔레콤 최진성 종합기술원장과 버라이즌 로저 거나니 부사장 겸 최고기술전문가(CITA, Chief Information and Technology Architect)가 참석해 5G 이동통신망 표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