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말부터 시작해 내년 초까지 M4 칩 탑재 제품 출시를 목표삼아 애플이 자체 개발한 새 칩으로 맥(Mac·PC 및 노트북) 라인업의 전면 개편을 추진하고 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소식통을 인용해 1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애플은 차세대 프로세서 M4 생산을 앞두고 있으며, 이를 통해 모든 맥 모델의 업데이트를 추진하고 있다고 전했다. 애플은 5개월여 전인 작년 10월 말 M3 칩이 장착된 첫 맥을 출시한 바 있다. 새로운 M4 칩은 인공지능(AI)에 포커스를 두며 성능에 따라 세 가지 종류가 출시될 것으로 알려졌다. 애플은 올해 말부터 시작해 내년 초까지 M4 칩을 탑재한 제품의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소식통은 밝혔다. 새 칩을 장착한 기본형 14인치 맥북 프로와 고급형 14인치 및 16인치 맥북 프로, 맥 미니를 우선 출시하고 이후 13인치와 15인치 맥북 에어, 맥스튜디오 등도 선보일 예정이다. 애플이 서둘러 맥 라인업의 전면 개편에 나선 것은 최근 판매량이 크게 줄어들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맥 판매량은 2022 회계연도(10월∼9월)에 정점을 찍은 이후 2023 회계연도에는 전년 대비 27% 감소했다. 지난해 10월에는 M3
미중 무역 긴장, 中 제로 코로나 정책 등 돌발 변수 고려 중국 밖에서의 제품 생산에 속도를 내는 애플이 내년부터 베트남에서 자사 노트북인 맥북을 생산한다. 20일(현지시간) 닛케이 아시아에 따르면 폭스콘이 이르면 내년 5월부터 베트남에서 맥북을 생산할 예정이다. 애플은 지난 2년간 맥북 생산의 일부를 베트남으로 옮기는 방안을 계획해왔으며 현재 공장을 시험 가동 중이다. 애플의 연간 맥북 생산량은 2000만 대에서 2400만 대에 달한다. 애플의 생산 기지 이전은 미·중간에 무역을 둘러싼 긴장이 고조되고,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인해 중국에서의 생산이 차질을 빚고 있기 때문이라고 이 매체는 전했다. 앞서 폭스콘의 정저우 공장은 중국 정부의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인한 엄격한 통제로 노동자들이 이를 견디다 못해 탈출하는 사태가 빚어져 공장 가동이 중단된 바 있다. 월가에서는 정저우 공장 사태가 애플이 1년 중 가장 많은 수익을 올리는 4분기(애플 회계연도 1분기) 실적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애플은 맥북 이외 다른 제품에 대해서도 생산 기지 이전에 속도를 내고 있다. 애플은 올해 출시한 스마트폰 새 모델 아이폰 14를 지난 9월부터 인
애리조나 공장, 애플 아이폰용 A시리즈, 맥북용 M시리즈 칩 제작될 예정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는 7일(현지시간) TSMC가 설립하는 미국 애리조나 공장에서 생산된 반도체를 앞으로 사용하겠다고 밝혔다. 팀 쿡은 이날 애리조나주 피닉스에서 열린 TSMC의 애리조나공장 장비반입식에 참석해 이같이 말하고 "이제 많은 사람의 노력으로 이 칩들은 자랑스럽게 '메이드 인 아메리카'가 찍히게 됐다"며 "이는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중요한 순간"이라고 말했다. TSMC는 아이폰과 아이패드 등에 들어가는 최신 칩을 제조하지만, 대부분 대만 현지 공장에서 생산하고 있다. 이번에 건설되는 애리조나 공장은 애플의 아이폰용 A시리즈, 맥북용 M시리즈 칩과 함께 엔비디아의 그래픽 프로세서에 사용되는 4나노 및 3나노 칩을 제조하게 된다. 팀 쿡은 이어 "여러분이 알고 있듯이 애플은 칩 제조를 위해 TSMC와 협력하고 있다"며 "TSMC가 미국에서 새롭고 더 깊은 뿌리를 형성하고 있는 만큼 앞으로 협력관계를 확대하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오늘은 시작에 불과하다"며 "우리는 TSMC의 전문성과 미국 근로자들의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독창성을 결합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헬로티] Arm이 스마트폰, 태블릿 시장을 넘어 노트북과 슈퍼컴퓨터 시장으로 생태계를 확장하면서 눈에 띄는 성과를 보이고 있다. Arm 프로세서를 기반으로 한 슈퍼컴퓨터가 ‘슈퍼컴퓨팅 컨퍼런스(ISC High Performance, 이하 ISC) 2020’의 TOP500 경연대회에서 1위를 수상한 것이다. 또 애플은 자사의 태블릿인 아이패드에 기존에 탑재됐던 인텔의 프로세서를 더 이상 사용하지 않고, 2년 뒤 Arm 기반의 자체 실리콘으로 사용하겠다는 전략을 지난 6월 22일 세계개발자회의(WWDC 2020) 행사를 통해 발표했다. Arm은 스마트폰 시장이 활성화되면서 수혜를 얻은 대표적인 기업 중 하나다. Arm을 기반으로 한 모바일 AP(Application Processor)는 스마트폰 CPU의 대명사로서 시장에서 압도적인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퀄컴의 스냅드래곤, 삼성의 엑시노스, 애플의 아이폰과 아이패드용 실리콘, 하이실리콘(화웨이의 자회사)의 기린(Krin) 등이 Arm의 라이센스를 사용해서 개발된 모바일 AP다. 이 외에도 엔비디아의 테그라(Tegra), 닌텐도 DS와 스위치, PDA, 태블릿 등에도 사용된다.
[첨단 헬로티] 맥에서 윈도우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소프트웨어 크리에이터 기업 패러렐즈는 향상된 그래픽을 위해 애플 메탈 API를 지원하는 '패러렐즈 데스크톱 15'를 출시했다. 패러렐즈는 지난 27일 쉐라톤 서울 디큐브시티 호텔 7층 라벤더룸에서 기자 간담회를 열고 패러렐즈 데스크톱 15을 소개하며, 한층 개선된 성능에 대해 설명했다. ▲패러렐즈 수석 프로젝트 매니저인 커트 슈무커(Kurt Schmucker)가 패러렐즈 데스크톱 15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기자 간담회에는 패러렐즈 수석 프로젝트 매니저인 커트 슈무커(Kurt Schmucker)가 참석해 패러렐즈 데스크톱 15의 소개와 시연, 신제품의 특장점에 대해 자세히 설명했다. 패러렐즈는 메탈 전환의 일환으로 패러렐즈 데스크톱 15이 고객에게 보다 나은 성능을 제공하기 위해 메탈에서 다이렉트X 11, 10, 9를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패러렐즈 엔지니어링 및 지원 수석 부사장인 닉 도브로볼스키(Nick Dobrovolskiy)는 "패러렐즈가 애플 메탈 API 지원을 위해 상당한 투자를 진행했으며, 이를 통해 고객들은 패러렐즈 데스크톱의 가장 빠르고 효율적인 버전을 사용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헬로티] 애플이 차세대 맥북 프로 제품에 ARM 프로세서 기술을 기반으로 자체 개발한 칩을 개발 중이란 보도가 나오면서 애플의 노림수를 둘러싼 관심이 높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애플은 지난해부터 저전력 기능에 초점을 맞춘 맥북프로용 칩 개발에 착수했다. 해당 프로젝트는 내부에 코드명 T310으로 불리우며, 애플이 2016년 맥북프로 터치바 기능을 위해 개발한 ARM 기반 칩과 유사한 것으로 전해졌다. 블룸버그통신은 애플이 올해말 선보일 맥북프로 모델에 T310을 투입할 것이라고 전했다. 메인 프로세서로는 인텔 카비 레이크 칩을 쓰겠지만 백그라운드 앱 활동, 파워 냅 모드와 같은 저전력 관련 부분은 T310이 처리하는 구조로 차세대 맥북프로 제품을 설계할 것이란 설명이다. 상황만 놓고보면 애플은 맥북에서 인텔 아키텍처(IA) 칩을 버리지는 않았지만 ARM 기반 칩의 역할을 키우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는 셈이다. 애플이 맥북프로 노트북에서 자체 개발한 ARM 칩 비중을 키워 나가는 것과 관련해 아드리안 킹슬레이 휴즈 IT칼럼니스트는 최근 지디넷에 쓴 글에서 합리적인 행보라고 평가했다. 생태계에 대한 통제권을 키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프로세서 및 그래픽 칩
[헬로티] 애플이 맥북 노트북에 탑재할 칩을 자체적으로 디자인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배터리 수명을 늘리고, 인텔칩으로부터 보다 독립성을 확보하기 위한 일환이다. 블룸버그통신이 1일(현지시간) 내부 사정에 정통한 소식통들을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애플은 지난해 칩 개발에 착수했다. 해당 프로젝트는 내부에 코드명 T310으로 불리우며, 애플이 2016년 맥북프로 터치바 기능을 위해 개발한 ARM 기반 칩과 유사한 것으로 전해졌다. T310은 저전력 모드 기능에 초점이 맞춰지고 인텔칩과 함께 사용될 것으로 알려졌다. 애플은 T310을 통해 맥북 제품군에서 배터리 수명 향상을 꾀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애플이 저전력용 칩을 탑재할 경우 맥북은 아이폰이나 아이패드와 더욱 유사해지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 애플은 아이폰과 아이패드에는 자체적으로 디자인한 칩을 사용하고 있다. /황치규 기자(delight@hellot.net)
▲키보드 상단에 터치스크린 바를 탑재한 2016년형 애플 '맥북프로' © News1 애플이 키보드 상단에 터치 스크린바를 탑재한 2016년형 맥북프로를 공개했다. 애플은 27일(현지시각) 미국 쿠퍼티노 타운홀에서 신제품 발표회를 열고 신형 맥북프로를 공개했다. 신형 맥북프로는 화면 크기에 따라 13인치, 15인치 버전으로 분류된다. 색상은 실버와 스페이스 그레이 2가지다. 이 제품은 키보드 상단에 기존에 있던 'Fn'키 대신 바 형태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로 만들어진 '터치바'를 탑재했다. 사용자가 어떤 프로그램을 실행하는가에 따라 터치바에 뜨는 기능이 수시로 변경된다. 예를들어 인터넷 브라우저 '사파리'를 켰을 때는 즐겨찾기 목록이 표시되고, 메시지 앱을 실행하면 이모티콘이 뜨는 식이다. 터치바의 오른쪽 끝에는 애플 T1 칩을 탑재한 터치ID 지문인식센서가 장착됐다. 트랙패드는 전작보다 2배 커졌고 표면의 가해지는 압력의 정도를 구분해 인식하는 '포스터치' 기능이 추가됐다. 외관 측면에서는 전작보다 얇고 가벼워졌다. 13인치 모델은 두께 14.9밀리미터(mm)에 무게는 3파운드(약 1.3kg)다. 15인치 모델의 경우 두께가 15.5mm, 무
ⓒLG전자 [헬로티] 이제 4K를 넘어 5K 모니터 시대가 열렸다. LG전자는 맥북(MacBook)과 맥북 프로 사용자를 위한 초고화질 5K 모니터를 28일 공개했다. 이번 신제품 '울트라파인(UltraFineTM) 5K 모니터'는 27인치 크기에 5K 디스플레이를 적용해 풀HD보다 7배 이상 해상도가 높다. IPS패널을 채택해 색상을 정확히 표현하고 측면에서도 선명한 화면을 볼 수 있다. 색재현력은 DCI-P3 규격을 99% 충족하고 PPI가 218개에 달해 복잡한 영상도 세밀하게 표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LG전자는 "용량이 큰 5K 화면을 손실 없이 보여주기 위해 전송 속도가 1초에 40기가비트(Gbps)인 썬더볼트3(Thunderbolt3) 단자를 세계 최초로 적용했다"며 "이전에는 5K 영상을 보기 위해 케이블이 2개 필요했지만 이제는 썬더볼트3로 별도 충전기가 없어도 5K 영상을 보면서 노트북을 충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LG전자는 21.5인치 크기에 4K 해상도를 적용한 '울트라파인 4K 모니터'도 선보였다. USB 타입-C 단자를 통해 맥북의 4K 화면을 전송 받으면서 동시에 노트북을 충전할 수 있는 이 제품은 지난해 출시된 맥북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