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우저 일렉트로닉스(이하 마우저)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센서, 자동화 부품 등 다양한 기술 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마우저는 이번 전시에서 센서, 자동화 부품, 산업용 AI, 사물인터넷(IIoT), 클라우드 컴퓨팅, 로보틱스 등 다양한 최신 기술 솔루션을 선보이며, 엔지니어와 구매 담당자를 위한 혁신적인 서비스도 소개했다. 마우저 APAC 마케팅 및 사업개발 부사장인 데프니 티엔(Daphne Tien)은 “마우저는 한국의 공장 자동화 산업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에 참가하게 됐다”며, “전 세계 1200개 이상의 제조사와 협력해 730만 종 이상의 반도체 및 전자부품을 제공하며, 이를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 및 자동화 도구를 지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마우저
마우저 일렉트로닉스(Mouser Electronics)는 최신 제품과 신기술을 신속하게 제공함으로써 고객이 제품 출시 기간을 단축하고 경쟁 우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현재 1200개 이상의 반도체 및 전자 부품 제조사 브랜드가 마우저를 통해 자사 제품을 글로벌 시장에 공급한다. 마우저 고객은 각 제조사로부터 이력 추적이 가능한 100% 인증된 정품을 구매할 수 있다. 2024년 마우저는 즉시 선적 가능한 3만2000종 이상의 신제품을 추가로 공급하기 시작했으며 이 중 1만 종 이상이 4분기에 새롭게 추가됐다. 마우저가 2024년 10월부터 12월까지 공급을 시작한 신제품에는 다음과 같은 제품들이 포함돼 있다. AMD의 아틱스 울트라스케일+ 시리즈는 통합 팬아웃(Integrated Fan-Out, InFO) 기반 소형 패키징을 통해 업계 최고 수준의 컴퓨팅 밀도를 제공하는 비용 최적화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로 구성돼 있다. 아틱스 울트라스케일+ FPGA는 공장 자동화 및 의료 애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고속 이미지 프로세싱 및 비디오 사전 프로세싱에 이상적인 솔루션이다. 실리콘랩스의 EFR32xG22E 익스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번스(Bourns)가 선정한 전자상거래 부문 올해의 유통기업상을 수상했다고 14일 밝혔다. 마우저 팀은 2024년 11월 뮌헨에서 이 상을 수상했다. 번스는 마우저가 유럽, 중동, 아프리카(EMEA) 지역에서 달성한 가장 탁월한 판매 실적 및 신규 고객 증가 성과를 높이 평가해 이번 상을 수여했다. 크리스틴 슈테 마우저 제품 담당 수석 부사장은 “마우저와 번스 양사는 고객에게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시장 입지를 확대한다는 공통의 목표를 공유하고 있다”며 “이번 수상으로 양사의 견고한 비즈니스 협력관계를 다시 한번 입증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베브 맥나이트 번스 EMEA 유통 세일즈 매니저는 “EMEA 지역에서 뛰어난 판매 성과를 바탕으로 추가적인 신규 고객 증가를 이끌어낸 마우저에게 전자상거래 부문 올해의 유통기업상을 수여하게 돼 기쁘다”며 “번스는 또한 설계 엔지니어링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한 혁신적인 설계 생성과 창의적인 마케팅 개발을 통해 보여준 마우저의 뛰어난 성과 또한 높이 평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마우저는 지난 10년 동안 번스로부터 주요 부문 상을 여러 차례 수상한 바 있다. 마우저는 2022년, 2021년, 2019년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암페놀 컴퍼니의 자회사인 에어마 테크놀로지와 글로벌 유통 계약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에어마는 상업적 어업 분야와 기상, 해양 조사 및 산업 공정 제어 시장을 위한 첨단 초음파 트랜스듀서, 전자기 유량 센서 및 센서 모니터링 시스템 전문 기업이다. 마우저는 웨더스테이션(WeatherStation) 포트폴리오를 비롯해 에어마의 광범위한 솔루션을 공급하게 된다. 초음파 웨더스테이션 계측기는 움직이는 부품이 없는 견고하고 콤팩트한 디자인을 통해 정확한 기상 데이터를 제공한다. 이러한 일체형 멀티 센서 계측기는 실시간 겉보기 풍속(apparent wind speed)과 풍향, 기온 및 계산된 체감온도(wind chill), 기압, 상대습도, 계산된 이슬점 및 열 지수(heat index)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웨더스테이션은 위치와 대지 속력(Speed over Ground, SOG) 및 대지 침로(course over ground, COG), 선회율 및 피치 앤 롤(pitch and roll)과 같은 이동지수를 측정해 환경 감지를 한 단계 더 높은 수준으로 끌어올린다. 에어마의 초음파 웨더스테이션 계측기는 내부 나침반과 GPS를 통합하고
차량용 애플리케이션에 애니메이션 및 동적 콘텐츠, 풀 컬러 노면 조사, 조명 등 기능 구현 마우저일렉트로닉스(이하 마우저)가 미국 반도체 업체 텍사스인스트루먼트(이하 TI)의 차량용 디지털 광원처리(DLP) 디지털 마이크로미러 디바이스(DMD) ‘DLP2021-Q1’ 공급을 개시했다고 알렸다. 이번 신제품은 일반 차량 및 전기차에 탑재되는 애플리케이션에 각종 기능 및 콘텐츠를 담기 위해 설계됐다. 구체적으로 애니메이션 및 동적 콘텐츠, 풀 컬러 노면 조사, 외부 조명 제어 등 기능을 이식하는 데 역할을 한다. 여기에 사이드 미러, 도어 패널, 후미등, 전면 그릴 내부 등에 배치된다. 이를 통해 백업 및 도어 오픈, 차량 통신 경고 시스템, 차량 개인화 옵션 등 차량 대 보행자(Vehicle-to-Pedesttrian, V2P) 통신을 용이하게 한다. DLP2021-Q1은 LED 및 레이저와 결합해 미국 연방통신위원회에서 제정한 인코딩 방식인 ‘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색역 내 125% 이상 높은 채도의 색상을 생성할 수 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2024 ABB FIA 포뮬러 E 월드 챔피언십(ABB Formula E FIA World Championship)’에서 마우저가 후원한 DS 펜스케(DS PENSKE) 포뮬러 E 레이싱 팀이 200 포인트를 획득하며 종합 3위에 올다고 밝혔다. DS 펜스케 팀 레이서인 장 에릭 베르뉴 선수는 139 포인트로 드라이버 순위 5위를 차지했으며, 스토펠 반도른 선수는 61 포인트로 10위를 기록했다. 이번 시즌 동안 베르뉴 선수는 디리야, 베를린, 포틀랜드에서 포디엄에 3번 오르는 영광을 안았다. 또한 포틀랜드에서 17번째로 폴 포지션(Pole Position) 1위를 차지하며 줄리어스 베어의 폴 포지션 기록을 경신했다. 반도른 선수 역시 모나코 몬테카를로 레이스에서 포디엄에 올랐다. 토드 맥아티 마우저 일렉트로닉스 비즈니스 개발 부문 수석 부사장은 “마우저는 DS 펜스케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첨단 자동차 기술을 선도하는 레이싱의 미래에 함께 하고 있다”며 “글로벌 챔피언십에서 3위를 기록한 장 에릭과 스토펠 선수, 그리고 모든 팀원들에게 축하 인사를 전한다. 아울러 새로운 도시에서 새로운 도전을 펼칠 다음 시즌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포뮬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FIRST(For Inspiration and Recogni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의 설립자이자, 엔지니어 및 발명가인 딘 케이먼과의 단독 인터뷰 영상을 공개했다. FIRST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문제해결 능력과 팀워크 등을 가르치는 실습형 로봇공학 프로그램을 통해 과학, 기술, 공학 및 수학(STEM) 교육 발전을 선도하고 있는 비영리단체다. 마우저는 2014년부터 매년 수십만 명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균형잡힌 STEM 및 기술의 생활화를 촉진하고 혁신을 장려하는 FIRST의 주요 후원사로 활동해 왔다. 케이먼은 14분 분량의 영상에서 엔지니어링, 혁신 및 인공지능(AI)의 미래에 대한 의견을 피력했다. 아울러 그는 기술에 의해 크게 좌우될 미래의 세상에 학생들이 직접 참여하도록 영감을 줄 수 있는 문화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딘 케이먼은 “모든 아이들이 멋진 미래로 나아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FIRST에서 개발한 기술 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하는 것”이라며 “FIRST에 참여함으로써 아이들은 그전까지는 상상하지 못했던 삶에 대한 흥미로운 가능성을 과학, 기술 및 공학의 세계를 통해 발견하게
이달 산업 전문 미디어 (주)첨단이 차세대 기술을 주제로 한 각종 온오프라인 행사를 기획했다. 각 행사는 온라인 세미나(웨비나)부터 콘퍼런스, 교육 등 다채로운 형태로 구성됐다. 첨단의 6월 행사 8종은 구체적으로 회전 설비 예지 진단 솔루션, 업무 및 설계 자동화 시스템, 디지털 ESG 얼라이언스, 모바일 매니퓰레이터, 차량 설계 최적화 기술 등을 소개하는 웨비나를 비롯해 ‘The Connected Machine Conference 2024’ 현장 콘퍼런스, 생성형 AI 오프라인 교육 등으로 세분화됐다. 이달 산업계가 주목해야 할 온·오프라인 첨단 이벤트는 다음과 같다. (온라인) 진동 신호를 이용한 산업용 모터 및 회전체 설비 AI 예지 진단 솔루션 - 주제 : 인공지능(AI) 모터 고장 예측 솔루션 ‘Motor Sense’ - 일시 : 2024년 06월 05일(수) 오후 2시 ~ 오후 3시 - 참가등록 : https://dubiz.co.kr/FR/77 (온라인) 업무의 새로운 패러다임 RPA,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 주제 : 알텐코리아가 전하는 RPA ‘TMI’...RPA의 모든 것 - 일시 : 2024년 06월 11일(화) 오후 2시 ~ 오후 3시 -
최신 전자부품 및 산업 자동화 제품을 공급하는 글로벌 공인 유통기업인 마우저 일렉트로닉스(Mouser Electronics)는 가혹한 환경에서의 도전과제와 솔루션을 모색하는 콘텐츠 허브 업데이트를 통해 엔지니어들에게 신뢰할 수 있는 최신 리소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마우저의 기술 리소스는 엔지니어들이 까다로운 조건에서도 잠재적인 위험 요소를 인식하고, 안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 리소스 센터는 가혹한 환경과 관련된 위험 요소를 완화할 수 있는 최첨단 솔루션 및 제품을 비롯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생명을 보호하는데 있어 전문가들이 필요로 하는 툴을 제공한다. 첨단 센서와 견고한 부품, 특수 소재 등은 많은 애플리케이션에서 생산성과 작업자의 안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극한의 온도나 진동, 또는 기타 환경적 요인을 견딜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최첨단 기술들은 긴급 구조 및 산업용 에너지 관리 분야의 전문가들이 정확한 데이터 수집·분석을 통해 획기적으로 운영 환경을 개선하고, 보다 나은 의사결정을 도출해 궁극적으로 안전 조건 및 성공률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해준다. 마우저는 가혹한 환경의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업계에서 가장 광범위한 반도체
‘함께 만드는 혁신(Empowering Innovation Together)’ 최신판 공개 시스템·알고리즘·모델 등 머신비전 혁신에 기여할 기술 다뤄 마우저가 산업용 머신비전 트렌드를 제시하는 ‘함께 만드는 혁신(Empowering Innovation Together 이하 EIT)’의 최신 버전을 출간했다. 이번에 발표된 EIT 최신호는 현재 활용되는 제조 애플리케이션을 분석해 시스템·알고리즘·모델 등 머신비전에 필요한 최신 기술요소를 제안한다. 머신비전 성능을 강화하는 ‘임베디드 플랫폼 기반 ’지각형 AI(Perceptual AI)‘ 기술을 강조하고, 딥러닝 기술 발전을 조명하는 내용이 담겼다. 이와 관련한 오디오·비디오·기사·인포그래픽 등 콘텐츠가 수록됐다. 아울러 이 최신 콘텐츠에는 피터 덴징거(Peter Denzinger) 비스타 솔루션즈(Vista Solutions) 엔지니어링 부사장과의 인터뷰가 포함됐다. 덴징거 부사장은 해당 인터뷰에서 인간과 기계 간 협업 트렌드에 따라 머신비전 산업이 직면한 과제와 기회에 대해 설명한다. 마우저 관계자는 “이번 최신호는 머신비전 기술의 잠재력을 중점으로 다뤘다”며 “업계 전문가의 기술적 논의를 통해 산업 환경을
마우저 일렉트로닉스(이하 마우저)가 엔지니어가 배터리 설계 등 관련 업계 프로젝트 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대체 에너지 리소스 센터를 제공하고 있다고 밝혔다. 마우저에 따르면, 이 리소스 센터는 포괄적인 콘텐츠와 제품 및 솔루션 등 핵심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에 필수적인 에너지 스토리지 시스템과 상업 및 산업용 전기차에 대한 심층 정보는 물론, 혁신적인 재생 전력 사용 등 다양한 콘텐츠를 포함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 리소스 센터는 수십 년 간의 업계 지식이 망라된 기사와 블로그 및 비디오로 구성되어 있으며, 엔지니어들이 다양한 에너지 솔루션 및 배터리 설계를 위한 신뢰할 수 있는 제품을 손쉽게 찾을 수 있도록 관련 사이트도 정리되어 있다. 마우저는 전시회 참여, 세미나 개최 등 국내 고객 지원을 위한 캠페인 활동도 다각도로 진행 중이다. 올해는 처음으로 첨단에서 주최하는 배터리 품질 관리 세미나에도 참여해 관련 분야의 엔지니어들에게 다양한 최신 제품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신속한 제품 공급에 앞설 예정이다. 마우저는 배터리 품질 관리를 위해 주목할 만한 제품으로 MAX77789, BQ7961x, CoolSiC MOSFET
마우저 일렉트로닉스가 창립 60주년을 맞이했다고 6일 밝혔다. 마우저는 캘리포니아 엘 카혼이라는 도시의 한 차고에서 두세 명의 직원으로 시작해 현재 전 세계에 걸쳐 28개 지사와 4000여명의 직원을 두고 있는 수십억 달러 규모의 글로벌 10대 유통기업으로 성장했다. 1973년에 직원으로 입사해 현재 마우저 일렉트로닉스의 사장 겸 CEO로 재직 중인 글렌 스미스는 마우저의 이 같은 성공은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자 노력해 온 마우저 팀의 노고와 헌신 덕분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현재 재직 중인 임직원은 물론 과거 마우저에 몸 담았던 모든 임직원들과도 함께 60주년을 축하하고자 한다"며 "이들의 탁월한 팀워크가 없었다면 오늘날의 마우저는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전했다. 또한 "마우저를 오랜 기간 지탱해온 토대는 바로 직원들"이라며 "모든 개개인이 회사의 발전을 위해 꾸준히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우리는 함께 엄청난 성과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스미스 CEO는 "나는 항상 직원들에게 '고객 만족' 만이 이익을 창출할 수 있다고 말한다"며 "마우저의 성공 스토리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고객과 제조사 파트너들며 수십년 동안 지속되어온 그들의 지원과 파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지멘스(Siemens)와 유통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지멘스는 공정 및 제조산업의 공장 자동화 및 디지털화를 위한 솔루션을 비롯해 빌딩 및 분산형 에너지 시스템을 위한 지능형 인프라와 철도 운송 솔루션, 의료 기술 및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등의 분야에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마우저는 네트워킹 장치와 HMI 솔루션, 회로 보호 및 전원공급장치 등 다양한 범주의 지멘스 제품을 공급할 예정이다. 마우저 일렉트로닉스의 제프 뉴웰 제품 부문 수석 부사장은 “마우저의 신뢰할 수 있는 공급회사 파트너 목록에 지멘스를 추가하게 돼 매우 기쁘다. 지멘스는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진 산업 자동화 솔루션 분야의 선도 기업이다. 이번 계약으로 지멘스의 혁신적인 제품과 기술 및 서비스를 마우저 고객들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됐다”며 “성공적이고 장기적인 파트너십이 이어지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지멘스의 제임스 워시번 부사장 겸 회로 보호 및 제어 사업부문장은 “지멘스는 고객 지원 및 전 세계 유통망을 강화하기 위해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를 채널 파트너로 추가했다”며 “마우저의 우수한 설계 및 공급망 서비스와 물류 지원을 통해 기존 고객들에게 더 많은 서비스를 제공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신뢰할 수 있는 온라인 리소스 센터를 통해 설계 엔지니어들이 임베디드 시스템에 대한 지식을 넓힐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고 16일 밝혔다. 방대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마우저의 임베디드 프로세싱 허브는 임베디드 시스템 보안이나 마이크로컨트롤러 및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해 간단하게 임베디드 솔루션을 구현할 수 있는 방법 등과 같은 다양한 주제의 기사들을 통해 임베디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새로운 정보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고 있다. 마우저 기술팀은 엔지니어들의 이해를 증진하기 위해 빠르게 성장하는 임베디드 시스템 분야의 모범 사례와 사례 연구, 실제 애플리케이션 및 기술 사례 등 엄선된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마우저의 임베디드 프로세싱 허브에는 주요 기능을 단일 PCB 상에 통합해 매우 광범위한 애플리케이션에 적용이 가능한 단일 보드 컴퓨터(Single Board Computer, SBC) 등과 같은 임베디드 솔루션 사례들이 포함돼 있다. 또한 전자책과 비디오, 블로그 및 기사 등을 통해 각 주제에 대한 개발 동향 및 업계 뉴스 등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외에도 엔지니어들은 마우저를 통해 모든 최신 제품을 구매할 수 있다. 마우저는 업계에
기술 경쟁 선도는 IoT 솔루션 설계를 담당하는 제품 엔지니어링 팀에게 있어 중요한 고려 사항이다. 체계적으로 문서화되고, 통합적이며, 무선으로 연결된 개발 키트를 활용한다면 프로토타이핑 속도를 높일 수 있으며, 엔지니어링 측면에서 하드웨어 결정에 있어 부담을 느끼지 않고 제품 기능 차별화에 집중할 수 있다. 다양한 종류의 새로운 IoT 개발 키트와 프로토타이핑 플랫폼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ST마이크로, STEVAL-STWINBX1 개발 키트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STEVAL-STWINBX1 개발 키트는 상태 모니터링 및 예측 유지 관리와 같은 광범위한 산업용 IoT 감지 애플리케이션의 프로토타이핑에 이상적이다. 부동 소수점 장치가 탑재된 초저전력 Arm Cortex-M33 STM32U585AI 마이크로컨트롤러를 기반으로 하는 이 키트는 산업용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한 통합 센서를 다수 갖췄으며, 480mAh LiPo 배터리가 장착된 인클로저에 포장돼 있다. 센서에는 초광대역폭, 저잡음 3축 디지털 진동 센서, 3축 자력계, 통합 가속도계 및 자이로 iNEMO 관성 측정 장치가 포함돼 있다. 환경 센서에는 디지털 기압계, 온도 센서, 아날로그 및 디지털 마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