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행정안전부와 함께 17일부터 19일까지 고양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대한민국 안전산업박람회’를 개최한다고 16일 밝혔다. 올해 박람회는 ‘스마트 재난관리, 재난 대응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열다’를 주제로 열리며, 380개 기업과 기관이 참여해 최신 재난관리 제품과 기술을 선보인다. 행사장에는 AI, 로봇, 드론, 디지털트윈을 집약한 ‘첨단재난대응기술존’과 화재·침수·지진·산사태·산업안전 분야의 ‘일반산업관’이 마련된다. 해외 바이어 95개사가 참가하는 수출상담회와 국내 대기업·공공기관 41곳이 참여하는 동반성장구매상담회도 진행된다. 또한 교통·재난·생활·산업·수상·항공안전 등 33개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찾아가는 안전체험교실’이 운영돼 모든 연령층이 실질적인 안전체험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종돈 경기도 안전관리실장은 “2015년부터 전국 최초로 시작해 올해로 11회째를 맞은 이번 박람회가 대한민국 재난안전산업의 발전과 수출 확대에 기여할 것”이라며 “국민과 재난안전 관계자가 함께 참여해 안전의 중요성을 되새기는 자리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첨단 헬로티] 행정안전부, 대한민국 안전산업박람회에서 첨단 안전·보안 솔루션 공개 행안부는 오는 11월 15일부터 17일까지 고양 킨텍스에서 ‘제 3회 대한민국안전산업박람회’를 개최해 국내 안전·보안산업기술의 현재와 미래를 소개할 계획이다. 특히, 이번 ‘제 3회 대한민국안전산업박람회’는 역대 최대 규모의 공공기관 참여를 독려해 국내 기업들의 공공 분야 및 해외 판로 개척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돼 관련 종사자들은 물론, 일반 참관객들의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재난 및 사고의 안전에 대한 중요성과 국민인식을 고취하기 위해 지난 2015년부터 ‘대한민국 안전산업박람회(K-SAFETY EXPO)’를 개최하고 있다고 밝혔다. 행안부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 안전산업박람회에서도 ‘지진특별관’을 별도 구성해 지진에 대한 참관객들의 인식을 고취하고, 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지진대피요령 등을 알릴 계획이다. 또한, 금년에는 드론·IoT특별관(방재/화재), 사이버방호·지능형 CCTV 특별관(보안/치안), 어린이 안전 특별관(산업/
최근 정부가 ‘안전’과‘보안’에 각별히 신경 쓰고 있다. 지진, 산업 재해 관련 제도를 정비하고 안전에 대한 국민 인식을고취시키기 위한 안전산업박람회 개최 등이 주요 노력들이다. 최근 불거진 안전 및 보안 관련 이슈들과그에 따른 각계 각층의 대응에 대해 살펴본다. 이슈1)지진, 한국도 비켜갈 수 없다 지난해 9월 12일 경상북도경주시에서는 대규모 지진이 발생했다. 규모 5.8은 1978년부터 시행한 기상청의 계기지진 관측 이래 가장 큰 규모였다. 지진당시 전문가들이 가장 시정을 요구했던 문제는 민간 건축물의 내진설계였다. 행정안전부(이하 행안부)는최근 내진 설계 의무대상 건축물을 3층 또는 연면적 500㎡이상에서 2층 또는 연면적 500㎡ 이상으로 강화했고, 올 12월까지 적용 대상을 모든 주택과 연면적 200㎡ 이상으로 확대했다. 또한, 내진설계를 적용한 건축물에 대해 재산세와 취득세를 포함한 지방세감면율을 확대하고, 소득세 세액공제를 신설했다. 건페율·용적율을 10%까지 완화할 수 있도록 했으며, 건축물대장에 내진설계를 표시하기로 했다. 이슈2)산업재해, 관리체계와 기술이 만나야 해결할 수 있어 고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