즉각적인 AI 기반 혁신에 대해서는 이견도 존재해 한겨울이라고 하기에는 아직 이른 시기인 11월 말임에도 불구하고 지난달 27일, 서울 및 경기 중심으로 수도권 지역에 유례없는 폭설이 내렸다. 불과 며칠 전까지만 해도 고온현상으로 겨울이 맞는지 의문을 품게 하던 날씨가 하루 만에 눈 폭탄을 쏟아내며, 시민들에게 교통 혼잡 등 큰 불편을 초래했다. 한 시간 동안 100mm 이상의 비가 쏟아지거나 하루 만에 도로가 폭설로 뒤덮이는 현상이 이제는 더 이상 놀랍지 않을 정도로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는 비단 우리나라만의 이야기는 아니다. 지난 2023년 여름, 미국 캘리포니아와 멕시코, 중국 북서부, 남유럽 등에서 기온이 50도까지 치솟는 폭염이 발생했다. 이로 인해 산불 등 추가적인 자연재해가 발생했고 인명 피해와 재산 손실을 피할 수 없었다. 같은 해 6월부터 9월까지는 캐나다에서 가뭄 등으로 인한 산불이 발생해 연간 화석 연료 배출량을 초과하는 탄소가 배출되기도 했다. 그럼 우리는 갑작스럽게 변화하는 날씨를 어떻게 예측하고 대응할 수 있을까? 일반적인 수준의 기상예보는 전통의 경계로 넘어갔고, 정확도 역시 떨어지고 있다는 평가다. 그만큼 과거의 기법으로는 변
[첨단 헬로티] 구글은 인공지능(AI)를 활용해서 다양한 연구활동을 펼치고 있다. 그 가운데 구글은 AI와 머신러닝을 이용해 보다 정확한 기상을 예측할 수 있는 ‘나우케이스(Nowcast)’ 모델을 개발했다. 아직은 상용화되지는 않았지만 구글을 이를 활용해 향후 홍수, 장마, 산불 등의 재난을 예측하고, 식량 생산에 따른 의식주 문제 해결 및 멸종 위기 생물을 보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2월 4일 구글 코리아에서 진행된 ‘구글 AI 포럼’에서는 화상 간담회를 통해 칼라 브롬버그(Carla Bromberg) 구글 공익을 위한 AI 프로그램 리드가 구글의 기상예측 기술에 대해 설명했다. 칼라 브롬버그 리드는 “구글이 개발한 AI 기반 기상예측 모델(Nowcast)이 날씨 패턴을 즉각적인분석해 준다. 일부 기존 예측 모델의 경우 몇 시간이 걸리는 작업을 구글의 모델은 5~10분 만에 최대 6시간까지 예측한다”며 “오늘날 지구는 이상기후가 많이 일어나고 있는데, 특히 허리캐인은 시시각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실시간 분석이 매우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