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에너지솔루션 — ESS 호조로 수익성 회복, 2026년 영업이익률 12% 돌파 전망 미래에셋증권의 분석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373220)은 2025년 매출 23조 6,430억 원(-7.7% YoY), 영업이익 1조 8,810억 원(OPM 8.0%)으로 실적이 점진적으로 회복될 전망이다. 3분기 매출은 5조 6,990억 원(-1.7%), 영업이익 601억 원(OPM 10.6%)으로 추정된다. 소형전지 매출은 1조 6,750억 원으로 견조했고, ESS 부문은 8,2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68% 증가하며 수익성 개선을 주도했다. 다만 전기차용 배터리는 미국 OEM 감산 영향으로 21% 감소했다. 보고서는 “2026년에는 ESS 매출이 8조 6,370억 원으로 두 배 이상 확대되며 영업이익률이 12%를 넘어설 것”이라며 “800V 고전압 ESS와 AI 데이터센터향 HVDC 수요가 신성장 축으로 부상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미래에셋증권은 목표주가를 80만 원으로 유지하며 현 주가(55만 3,000원) 대비 44% 상승 여력을 제시했다. 농심 — 원가 안정화·글로벌 확장 속 실적 회복세, 해외 비중 37% 돌파 DS투자증권의 분석에 따르면 농심(004370)
 
								
				산학 융합 연구 및 반도체 소재 발전 등 미래 기술 개발 기대 UNIST가 15일 ‘후성-UNIST 공동 연구 플랫폼 개소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개소식의 목적은 반도체 가스 전문 기업 후성과 UNIST 간에 Low GWP 식각 기술 개발을 위한 개방형 공동 연구 플랫폼 구축을 위함이다. 이 날 개소식에는 허국 후성 대표이사, 안효대 울산시 경제부시장, 김일환 울산테크노파크 단장, 이용훈 UNIST 총장, 김성엽 공과대학장, 정홍식 반도체 소재·부품 대학원장, 신태주 연구지원본부장 등이 참석했다. 개소식은 후성-UNIST 공동 연구 플랫폼 소개, 축사 및 현판식 순으로 진행됐다. 이용훈 총장은 “후성-UNIST 공동 연구 플랫폼을 통해 산학 연구와 인재양성을 동시에 할 수 있게 됐다”며 “대학과 기업 뿐 아니라 울산시와 더 나아가서 우리나라 반도체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향후 공동 연구 플랫폼을 통해 ㈜후성과 UNIST는 Low-GWP 식각용 가스 및 식각 기술 개발, 차세대 반도체용 공정 기술 및 소재 개발, 산학 기술 교류회를 통한 차세대 원천 연구 과제 발굴과 핵심 인재 양성 협력에 힘쓸 예정이다. 헬로티 이동재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