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로봇 전문기업 로보티즈가 'Physical AI' 기술을 접목한 혁신적인 로봇 팔 솔루션을 선보이며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최근 AW2025 전시회에서 공개하며 주목받은바 있는 'OpenMANIPULATOR-Y(이하 OM-Y)'는 오는 6월 정식 출시를 앞두고 있다. 특히 높은 수준의 모방학습(Imitation Learning) 구현 능력은 전문가들로부터 큰 관심을 받고 있다. OM-Y는 스탠퍼드 대학의 'Mobile ALOHA' 프로젝트 이후 주목받고 있는 VLA(Vision-Language-Action) 모델 기반의 최신 기술을 적용했다. 오픈소스 기반으로 개발된 이 제품은 사용자가 직접 관절과 링크를 조정할 수 있는 높은 수준의 모듈화를 자랑한다. 로보티즈는 OM-Y와 함께 'AI 매니퓰레이터' 키트도 공개할 예정인데 이는 모방학습 구현에 필요한 리더, 팔로워, 카메라 등 핵심 구성 요소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 특히 이 시스템의 핵심인 리더(Leader) 장치는 중력 보상과 마찰 보상 기능을 탑재했을 뿐만 아니라 그리퍼 기반의 햅틱 피드백 기능을 통해 보다 정교한 데이터 수집이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이는 연구자들이 더 정밀한 모방학습 모델을 개
“양사 기술력 접목해 효율적인 자동화 솔루션 제시할 것” 브릴스와 수현엔지니어링이 로보틱스 기반 산업 자동화 솔루션 혁신을 위해 뜻을 모았다. 브릴스는 자사 로보틱스 역량에 수현엔지니어링 자동화 설계 기술력을 융합하기로 했다. 양사는 브릴스 로봇 시리즈(BRS 시리즈)를 다양한 산업 현장에 함께 전파하고, 이 과정에서 다각적인 네트워크를 축적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생산성 향상, 고객 맞춤형 솔루션 공급 등 비전 달성을 정조준한다. 브릴스는 각종 산업군에 로봇 응용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BRS 시리즈는 표준화된 로봇 라인업으로, 협동로봇·산업용 로봇·특수 로봇·하이브리드 자율주행로봇(AMR) 등으로 구성됐다. 수현엔지니어링은 코일 조립(Coil ass’y), 전장 부품 조립 등 자동차 부품 전용 조립 라인을 구축해왔다. 이 과정에서 로봇 기반 자동화 기술에 대한 역량을 축적했다. 전진 브릴스 대표이사는 “수현엔지니어링 자동화 설계 및 네트워크 경쟁력과 자사 로보틱스 기술을 접목해 효율적인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할 것”이라고 포부를 다졌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전 세계 350개사, 1000여 개 부스 규모로 ‘로보틱스 총체’ 선보인다 산업용 로봇, 서비스 로봇, 협동로봇, 인공지능(AI) 기술, 부품·소프트웨어 등 총망라 글로벌 로보틱스 콘퍼런스 ‘2025 ISR Asia’ 동시 개최...3개 트랙, 40여 세션 마련해 로보틱스 산업 전시회 ‘2025 국제로봇산업대전(International Robot industry Show 2025 이하 2025 로보월드’가 개최 20주년을 맞아 역대 최대 규모로 개막한다. 올해 로보월드는 오는 11월 5일부터 나흘간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로봇산업협회(KAR)·한국로봇산업진흥원(KIRIA)·제어로봇시스템학회(ICROS)가 주관한다. 올해는 국내외 350개 업체가 1000여 부스를 꾸려 다양한 인사이트를 제공할 전망이다. 현장에는 산업용 로봇, 서비스 로봇, 협동로봇, 무인운반차(AGV), 자율주행로봇(AMR), 드론 등 로봇 기체가 전시장을 가득 메울 예정이다. 여기에 부품·소프트웨어, 스마트 제조 솔루션 등 로봇 관련 기술도 한데 소개된다. 특히 최근 글로벌 화두로 떠오른 휴머노이드 로봇(Humanoid Robot), 피지컬 AI(Ph
공작기계·협동로봇 융합 통한 스마트 제조 혁신 속도 뉴로메카가 공작기계 기술 업체 DN솔루션즈로부터 50억 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 양사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로봇 제어 기술을 바탕으로 한 차세대 제어 시스템을 공동 개발할 계획이다. 뉴로메카 협동로봇과 DN솔루션즈 공작기계의 통합을 목표로 한다. 해당 시스템은 추후 양사 자동화 솔루션 라인업에 적용될 방침이다. 양사가 개발하는 통합 제어 솔루션은 각종 자동화 설비를 하나의 플랫폼에서 통합 제어하는 기술이다. 여기에는 뉴로메카 협동로봇을 비롯해, ‘겐트리 로더’ 및 ‘’팔렛 풀 시스템(Pallet Pool System) 등 DN솔루션즈 솔루션이 포함된다. 이는 뉴로메카 자체 개발 인공지능(AI) 기반 제어기에서 구동 가능할 전망이며, 모든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로 구성된다. 박종훈 뉴로메카 대표이사는 “DN솔루션즈와의 협력은 뉴로메카의 자동화 기술이 한 단계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제조업이 보다 효율적인 스마트 팩토리를 구축할 수 있도록 혁신적인 솔루션을 지속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양사는 지속 협력을 통한 머신텐딩(Machine Tending) 솔루션의 고도화를 도모할 방
중국 모션 제어 기술 업체 완신세이코(WANSHSIN SEIKOU)가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했다. 이 자리에서 국내 로봇 솔루션 업체 브릴스의 협동로봇(코봇) 시리즈를 함께 전시해 참관객의 이해를 도왔다. AW 2025는 지난 1990년 첫 개최 이후 올해로 35회차를 맞이한 국내 최대 산업 자동화(FA) 축제로, 사흘간 다양한 시각에서의 자동화·자율제조 인사이트를 제공했다. 서울 삼성동 소재 전시장 코엑스에서 열린 AW 2025는 전 세계 400개사가 2200개 부스를 꾸려 약 8만 명의 참관객을 불러모았다. 전시장은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스마트공장엑스포(Smart Factory Expo), 한국머신비전산업전(Korea Vision Show) 등 세 가지 주요 전시 테마로 구성됐다. 여기에는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 클라우드 컴퓨팅, 로봇 등 산업 자동화 분야에서 주목하는 신기술이 한자리에 펼쳐졌다. 완신세이코는 각종 설비·기기의 운동성을 제어하는 모션 컨트롤 기술을 보유한 업체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플래너테리 기어
아미쿠스(AMICUS)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페어이노(Fairino) 협동 로봇과 DH-Robotics 전동 그리퍼를 핵심 제품으로 한 차세대 자동화 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아미쿠스는 페어이노 협동 로봇의 한국 총판을 맡아 국내 시장에 최적화된 협동 로봇 솔루션을 제공하는 데 주력하고 있으며 협동 로봇과 스마트 그리퍼를 결합한 자동화 솔루션을 통해 생산성 향상, 효율성 증대 및 작업 안전성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아미쿠스의 핵심 기술력을 집약한 다양한 제품과 솔루션을 선보이며, 참관객들에게 미래형 자동화의 비전을 제시했다. 페어이노 협동 로봇은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와 높은 안전 기능을 갖추어 작업자와의 협업을 극대화할 수 있는 솔루션이다. 높은 정밀도와 반복 작업 능력을 제공해 다양한 산업 환경에 적
이달 12일 열린 AW 2025 부대행사 ‘한·중·베 로봇융합기술 컨퍼런스 2025’ 개막 한국·중국·베트남 로보틱스 혁신 관점 담아 “제조·물류·서비스 등 주요 분야 자율화 핵심은 로보틱스” 여러 빅테크 기업이 휴머노이드 로봇(Humanoid Robot)에 시선을 돌린 가운데, 이 로봇을 구현할 다양한 연계 기술이 지속 조명되고 있다. 이 차세대 로봇은 인간의 생각과 움직임을 그대로 표현한다는 점에서 ‘로봇 최종 진화형’으로 기대받고 있다. 휴머노이드 로봇은 로봇의 인지를 담당하는 인공지능(AI)부터 구동부에 필요한 하드웨어 부분까지 수많은 기술을 아우르는 기술 총체로 인식된다. 그만큼 글로벌 로보틱스 업계가 하나의 관점에서 융화돼야 함을 시사한다. 이달 12일 ‘한·중·베 로봇융합기술 컨퍼런스 2025’가 열렸다. 해당 콘퍼런스는 올해 35회 개막을 맞은 산업 자동화 축제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 부대행사로 진행됐다. 한국·중국·베트남 3개국의 로봇 전문가가 연사로 나서 로보틱스의 현재를 진단하고, 미래를 조망했다. 이 자리에는 한국로봇산업협회·Bejagua
유니버셜로봇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새로운 협동로봇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유니버셜로봇이 이번 전시회에서 소개한 협동로봇 ‘UR30’은 높은 페이로드의 컴팩트 코봇이다. UR30은 협동 작업 환경에서 작은 공간만 차지하면서도 높은 페이로드를 처리할 수 있다. 30Kg 리프팅 용량과 1300mm 작업 반경을 제공하는 이 로봇은 대형 기계의 머신 텐딩, 고중량 제품 팔레타이징, 고토크 드릴링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UR30은 향상된 소프트웨어를 탑재해 로봇 암 장치 및 새로운 조인트 구조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한다. 최장 작업 반경에서 최대 페이로드를 리프팅해도 코봇의 최고 속도 범위와 가속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UR30의 고토크 조인트와 힘 토크 센서는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부분에서도 일관된 나사 조립 작업
고성엔지니어링(대표 최창신)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On Device Offline AI 기술이 적용된 인지형 로봇 MOMA, 스마트체어, 온열치료기 등 다양한 로봇 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고성엔지니어링이 이번 전시에서 선보인 On Device Offline AI 기술은 로봇이나 기타 무인 장비에 AI 기반 운영 모델을 내장하여 인터넷 연결이 없는 오프라인 환경에서도 독립적으로 안전한 운용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기술이다. 네트워크 의존 없이도 자율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할 수 있으며, 최소한의 데이터로 효율적인 명령을 전달할 수 있어 산업용 로봇뿐만 아니라 의료 및 이동 보조 기기에도 활용이 가능하다. 고성엔지니어링의 인지형 로봇 MOMA는 이동식 협동 로봇(Mobile Manipulator)으로 복잡한 제조 공정에서도
뉴로메카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자체 개발한 협동로봇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뉴로메카가 직접 디자인하고 제조한 협동로봇 ‘Indy(인디)’는 혁신적인 충돌 감지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한다. 임피던스 제어를 통한 더 직관적인 직접 교시(Direct Teaching)를 지원하며, 안드로이드 태블릿 기반의 티치펜던트 앱을 통해 온라인 및 오프라인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다. 가반중량별로 ‘Indy3/5/7/10/12’(각 3kg, 5kg, 7kg, 10kg, 12kg) 5가지 모델과 7자유도 연구용 협동로봇 ‘Indy-RP2(인디알피2)’를 양산하고 있으며, 손목에 부착된 확장포트를 통해 그리퍼, 비전센서 등 다양한 표준 도구들을 확장할 수 있다. 뉴로메카는 사용하기 쉽고 경제적인 협동로봇을 통한 중소기업 제조라인의 자동
퀄컴 테크날러지스(이하 퀄컴)가 산업용 AI 및 엣지 컴퓨팅을 위한 고성능 AI 솔루션 ‘드래곤윙 IQ9 시리즈’를 발표했다. 이번 제품은 복잡한 연산을 요구하는 산업용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며, 강력한 AI 성능과 내장 안전 기능을 바탕으로 다양한 환경에서 최적의 성능을 발휘하도록 설계됐다. 드래곤윙 IQ9 시리즈는 130억 개의 매개변수를 가진 라마 2 모델을 실행할 수 있으며, 초당 12개의 토큰을 생성하는 AI 연산 성능을 갖췄다. 또한, INT8 연산 기준 최대 100 TOPS를 지원해 산업용 AI 시장에서 요구되는 높은 성능을 제공한다. 퀄컴은 산업용 IoT 및 로봇 시장 확대를 위해 현대차그룹 로보틱스랩과 협력하며, 어드밴텍과 함께 엣지 컴퓨팅 환경 혁신을 위한 다양한 모듈 제품을 준비하고 있다. 드래곤윙 IQ9 시리즈는 고성능 AI 처리 능력과 전력 효율성을 동시에 제공하며, 극한 환경에서도 복잡한 워크로드를 안정적으로 처리하도록 설계됐다. 특히, 산업용 안전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안전 아일랜드(Safety Island)’ 기술을 적용하고, 오류 정정 코드(ECC) 메모리 및 고성능 마이크로컨트롤러(MCU) 하위 시스템을 통합해 가동 시간을 극
협동로봇·로봇핸드 융합 솔루션 출품...비정형 다물체 파지 모습 연출 테크맨로봇과 테솔로가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현장에 함께 부스를 꾸린다. AW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 팩토리 및 자동화 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사흘 동안 서울 강남구 삼성동 소재 전시장 ‘코엑스’ 전관에서 펼쳐진다. 올해 전시회는 500여 개 업체가 2200여 개 부스를 마련해 차세대 산업 기술·솔루션과 인사이트를 전한다. 이를 관전하기 위해 약 7만 명의 참관객이 전시장을 방문할 전망이다. 양사는 이번 전시회에서 비정형 다물체 파지에 특화된 양팔 로봇 솔루션을 선보인다. 해당 기술은 테크맨로봇 협동로봇과 테솔로 로봇 핸드가 접목된 형태로, 로봇 핸드는 인간형 5지 그리퍼 ‘델토 그리퍼 5F(Delto Gripper-5F 이하 DG-5F)’가 탑재된다. 특히 로봇 핸드 가동 값을 인식하는 ‘데이터 글러브(Date Glove)’와 이 데이터를 측정·입력하는 ‘트래커(Tracker)’ 등 기술이 적용된다. DG-5F는 테솔로가 자체 개발한 소형 액추에이터 모듈을 기반으로, 높
협동로봇 ‘UR 시리즈’, 소프트웨어 툴킷 ‘UR AI 엑셀러레이터’ 등 협동로봇 HW·SW 총출동 유니버설로봇이 이달 12일 열리는 자동화 산업 전시회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서 협동로봇 기술을 통한 자동화 인사이트를 제시한다. AW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 팩토리 및 자동화 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사흘 동안 서울 강남구 삼성동 소재 전시장 ‘코엑스’ 전관에서 펼쳐진다. 올해 전시회는 500여 개 업체가 2200여 개 부스를 마련해 차세대 산업 기술·솔루션과 인사이트를 전한다. 이를 관전하기 위해 약 7만 명의 참관객이 전시장을 방문할 전망이다. 유니버설로봇은 이번 전시회에 협동로봇 라인업 ‘UR 시리즈’, 소프트웨어 툴킷 ‘UR AI 엑셀러레이터’, 인공지능(AI) 기반 컨베이어 추적·검사 시스템(AI Coneyor Tracking & Inspection), AI 실시간 최적화 페인팅·샌딩 시스템(AI Paint & Sanding) 등 기술을 한자리에서 선보인다. 특히 UR AI 엑셀러레이터는 엔비디아(
산업 자동화와 로봇 기술의 발전이 가속화되면서 정밀 센서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특히 힘·토크 센서는 로봇이 외부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로, 이에 대한 기술 경쟁이 치열하다. 에이딘로보틱스는 정전 용량 기반의 힘·토크 센서를 개발하여 더욱 정밀한 로봇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력을 갖춘 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에이딘로보틱스는 2019년 성균관대학교에서 스핀오프하여 설립된 이후 지속적인 기술 개발을 이어왔다. 현재 경기도 안양시에 본사와 연구소, 생산시설을 두고 있으며, 총 36명의 직원 중 9명이 핵심 엔지니어로 활동하고 있다. 단순한 센서 제조를 넘어, 힘·토크 센서를 활용한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하며 산업 전반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제품군을 확장해 나가고 있다. 이 회사의 대표 제품은 초소형 6축 힘·토크 센서와 협동로봇용 손목형 센서로, 전 세계에서 가장 작은 수준의 센서를 제공한다. 또한 협동 로봇 및 산업용 로봇의 관절에 삽입할 수 있는 초박형 관절 토크 센서를 개발 중이며, 정밀 제어가 요구되는 다양한 산업군에 적용할 수 있도록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에이딘로보틱스는 센서 기술을 활용한 모듈 사업도 강화하고 있다. 스마트 그리
인아그룹의 3개 계열사(인아오리엔탈모터, 인아텍앤코포, 인아엠씨티)가 오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리는 ‘AW 2025(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에 참가한다. ‘AW 2025’는 산업 변화와 트렌드에 발맞춰 최신 기술과 시스템, 혁신적인 솔루션을 선보이는 전시회로,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스마트공장엑스포, 한국머신비전산업전이 통합 개최된다. 인아그룹은 이 가운데 산업 자동화를 위한 혁신적인 제품과 솔루션이 총집합하는 ‘제35회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에 참여한다. 이번 전시에서 인아그룹은 ‘FIND THE NEXT Solution = INA’를 콘셉트로, 고객의 자동화 니즈에 맞춘 다양한 제품과 솔루션을 선보일 계획이다. 인아오리엔탈모터는 신제품 소형 로봇 OVR을 위한 ‘OVR Zone’을 구성한다. OVR은 αSTEP AZ Series 모터를 적용한 소형 로봇으로, 로봇 컨트롤러 MRC01을 통해 간편한 설정 및 제어가 가능하다. 유지보수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어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전시에서는 MRC01을 적용한 SCARA, DELTA, 6축 다관절 로봇을 선보인다. 이 외에도 △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