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 인공지능의 현재와 미래를 확인할 수 있는 'AWC 2023 in Seoul(AWC 2023)'이 12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개최됐다. AWC 2023는 'DX in DX(진단 분야의 디지털 전환)'이라는 슬로건 아래 '디지털 헬스'를 주제로 열린 글로벌 AI 컨퍼런스다. 이번 컨퍼런스는 인공지능 기반 진단, 치료, 예방 기술을 주제로 전문가들의 강연과 토론이 진행됐다. 이번 행사에는 박성중 국민의힘 의원, 박윤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 허성욱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원장, 하태훈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장, 강요식 서울디지털재단 이사장, 황희 카카오헬스케어 대표 등 150여 명이 참석했다.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과 박윤규 과기정통부 제2차관의 축사로 개최된 AWC 2023는 황희 카카오헬스케어 대표의 기조 연설을 거쳐 이화영 LG AI연구원 상무와 홍은경 카카오브레인 부사장의 초거대 AI 스페셜 세션 발표로 이어졌다. 이후 전문가 세션에서 차유진 KAIST 의과학연구센터 연구조교수가 '의료 진단의 혁신을 위한 의사와 인공지능의 공진화'를 발표했고, 앤서니 리 Lydia AI 공동설립자 겸 대표가 포스트 팬데믹 속 디지털 헬스
인력수급상황 체감조사…"생산직무 인력부족이 체감도 가장 커" 조선, 반도체, 미래차 업종 기업의 절반가량이 인력 부족을 호소하고 있다는 설문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는 9월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해 반도체, 조선, 미래차, 바이오·헬스 4개 업종 기업 415개사를 대상으로 '미래 신(新)주력 산업 인력수급상황 체감조사'를 했다고 8일 밝혔다. 조사결과 인력이 부족하다는 응답은 조선(52.2%), 반도체(45.0%), 미래차(43.0%), 바이오·헬스(29.0%)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인력부족 이유를 묻는 항목에 조선(38.3%)과 반도체(46.7%)는 고용 이후 잦은 이직·퇴직이라고 답했다. 미래차와 바이오·헬스는 경력직 지원자 부족이 각각 44.2%, 55.2%로 비중이 높았다. 4개 업종 모두 생산직무 인력부족을 가장 크게 체감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조선은 생산직무 인력이 부족하다고 응답한 비중이 96.6%, 미래차는 95.4%, 반도체는 65.4%, 바이오·헬스는 55.2%에 달했다. 반도체, 미래차, 조선의 인력부족 기업들은 상당수가 5년후에도 생산직무 인력부족 현상이 여전할 것으로 전망했다. 조선은 88.3%, 미래차는 60.5%,
2분기에 비해 가전과 조선, 이차전지 등 제외한 대부분의 업종 매출 BSI 하락 올해 3분기 제조업 경기에 대한 기업들의 기대심리가 부정적으로 돌아섰다. 국내 제조업체들은 3분기 제조업 시황과 매출이 모두 2분기보다도 악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산업연구원이 국내 1000여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해 10일 발표한 '제조업 경기실사지수(BSI) 조사' 결과에 따르면 3분기 시황(95)과 매출(97) BSI가 모두 2분기보다 하락하면서 기준선인 100을 하회해 부정적인 전망이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BSI는 100을 기준으로 200에 가까울수록 전분기 대비 경기 개선 전망을, 반대로 0에 근접할수록 경기 악화 전망을 하는 기업이 많다는 의미다. 시황 전망치는 2분기 101에서 3분기 95로, 매출 전망치는 104에서 97로 각각 하락했다. 내수(96)와 수출(99) 전망치도 2분기(내수 103·수출 104)보다 하락해 100을 다시 밑돌았다. 설비투자(101)와 고용(103) 역시 2분기에 비해 소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 전망 BSI를 유형별로 보면 신산업(106)을 제외한 모든 업종이 기준선을 하회했다. ICT 부문(98)과 기계 부문(98), 소재
[첨단 헬로티] 정부, '새 정부 산업정책' 발표, 30만개+α 창출 추진 정부가 산업혁신(주력산업·신산업), 기업혁신(대기업·중견·중소기업), 지역혁신(수도권·非수도권) 등 ‘3대 분야 혁신’을 통해 2022년까지 양질의 일자리 30만개+α를 창출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산업정책 방향을 발표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8일 '새 정부의 산업정책 방향'을 수립하여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에 보고했다고 밝혔다. 이번 보고된 정책은 지난 8월부터 10여차례에 걸친 업계와의 간담회와 산업혁신민관전략회의 등을 통해 다양한 현장 목소리와 각계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여 마련되었다. ‘새 정부의 산업정책 방향’에는 강력한 제조업을 중심으로 한 우리의 강점을 기반으로 구조적 문제점과 시대적 요구 해결하겠다는 의지가 담겨 있다. 정부는 특정산업 의존하지 않고 주력·신사업이 함께 성장하는 토대를 마련하고, 대기업 중심의 정책에서 대·중견·중소기업이 상생 발전하도록 정책을 추진한다. 또한 수도권에 편중된 산업정책에서 탈피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