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가 하룻밤 이상 수면 측정한 뒤, 의사가 측정 결과 확인해 진단 및 치료 활용 에이슬립이 수면무호흡증 사전선별 진단보조 디지털의료기기 ‘앱노트랙(허브)’가 분당서울대병원 등 병원에서 처방이 개시됐다고 밝혔다. 헬스케어 의료기기가 대학병원 등 일선 병원에서 처방이 된 드문 사례인 것으로 알려졌다. 앱노트랙은 에이슬립이 개발한 디지털의료기기 어플리케이션이다. 국내 최초로 수면 중 호흡음을 AI 알고리즘으로 분석해 수면무호흡증을 사전 선별한다. 이 앱은 지난해 5월에는 식약처 2등급 의료기기 승인, 이어 지난 12월 질병코드 G47.3(수면무호흡증 의증) 및 단순코골음으로 심평원 법정비급여 사용을 인정받아 마침내 올해 일선 병원에서도 선을 보이게 됐다. 처방 받은 기간 내에 환자가 하룻밤 이상 수면을 측정한 뒤 내원하면, 의사가 측정 결과를 확인해 진단 및 치료에 활용할 수 있다. 수면무호흡증은 성인 남성 유병률 19%, 잠재환자는 약 1000만 명으로 6명중 1명이 겪을만큼 흔한 질환이다. 비만과 급성심장정지 등 중증 질환 발병률을 급등시키는 등 온갖 합병증을 수반하지만 지금까지는 진단과 치료 처방이 제한적이었다. 현재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중등도 이상의 수면
산업용 사물인터넷 또는 IIoT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기기·장비·설비·시스템 등 애플리케이션을 서로 연결하는 통신 기술이다. 쉽게 말해 산업 현장에 특화된 사물인터넷 개념이다. 이 기술은 생산성·효율성·지속가능성·운영 최적화·비용 절감 등 현산업의 원초적 목적을 달성하는 데 기여하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최근에는 인공지능(AI)·빅데이터·클라우드 등과 연관돼 보안에도 초점을 맞춰 기술 고도화를 이룩하고 있다. 이에 보안성·신뢰성 측면도 강조되는 상황이다. 이 시점의 IIoT는 단순히 각 요소 간 연결 및 시스템 통합에만 집중되지 않는다. 데이터 홍수 양상에 들어선 산업 체제에서 데이터 분석 및 학습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여기에 분석·학습한 데이터를 토대로 새로운 전략 및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데도 활용되는 중이다. 결과적으로 IIoT의 핵심은 결국 ‘연결성(Connectivity)’이다. 종합 반도체 회사(Integrated Device Manufacturer, IDM)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는 자동차·가전기기·산업기기·스마트홈 등과 관련된 센서, 액추에이터 등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icro Controller Unit,
시스템베이스가 3월 13일 5Gbps Super-Speed를 지원하는 4 포트 산업용 USB 허브, ‘uGate-400S’를 출시한다. USB Super-Speed는 USB 3.2 Gen 1×1(USB 3.1 Gen 1 또는 USB 3.0 이라고도 함)로 불리며, 최대 5Gbps의 대역폭을 통해 고속 데이터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기술을 말한다. 시스템베이스의 uGate-400S는 USB 3.2 Gen 1×1를 지원하고, 산업용 온도 스펙 -40℃ ~ 85℃ 및 습도 5 ~ 90%의 동작 조건에서도 안정적으로 동작한다. 산업 현장에서 발생된 노이즈 및 Surge에 대해 우수한 보호 기능을 제공한다. KC 및 IEC 규격의 61000-4.2, 61000-4.3, 61000-4.4를 충족하며, 포트 별 최대 15kV ESD Level4 등급의 보호 기능도 제공한다. uGate-400S는 저가의 USB 허브에서 지원하는 STT가 아닌 MTT를 지원해 최고의 USB 성능을 활용할 수 있다. 기존 USB와의 호환성도 뛰어나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USB 2.0 또는 그 이하 규격의 어떤 USB 장치도 연결 가능하다. Battery Charge Specification v
국내외 시장 점유율 1위 협동로봇 기업 유니버설 로봇이 8,500만 달러(약 1,080억 원)의 호실적을 기록하며, 1분기 기준 역대 최대 규모의 실적을 달성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30% 증가한 수치로 성장세를 이어갔다. 유니버설 로봇은 협동로봇이 업무 환경을 개선시키고, 인력난을 해결할 수 있다는 인식과 함께 증가한 수요에 힘입어 급성장하고 있다. 실제로 유니버설 로봇은 지난해 4분기에만 9,700만 달러(약 1,187억 원)의 매출을 올렸고, 2021년 총 매출 3억 1,100만 달러(약 3,807억 원)를 기록하며 꾸준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유니버설 로봇의 최고재무관리자(CFO) 킴 뇌르고르 안드레아슨은 “전 세계 기업들이 팬더믹으로 인한 사회적 혼란, 공급망 붕괴 등으로 문제에 직면하고 있는 상황에서 기록적인 1분기 매출을 달성했다는 것은 우리의 제품이 고객의 시장 경쟁력을 유지하는데 있어 큰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증거”라며 “자동화에 대한 사회의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유니버설 로봇은 이를 바탕으로 기록적인 매출을 기록함과 동시에 80명의 신입사원을 채용하는 등 꾸준한 성장을 이어 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러한 성장세를 바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