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 주관 ‘AI 팩토리 전문 기업’ 선정 3차원(3D) 비전 인공지능(AI) 기술, ‘픽시스(Picksys)’ 인수, K-휴머노이드 연합 투입 등 통한 제조 혁신 노린다 씨메스가 ‘AI 팩토리 전문기업’으로 선정됐다. 이로써 인공지능(AI) 기반 자율제조(Autonomous Manufacturing)이라는 범국가적 비전에 발맞추게 됐다. AI 팩토리 사업은 지난해 제조 AI 사업의 체계적 추진을 위해 출범한 ‘AI 자율제조(AI Autonomous Manufacturing)’의 개편 전략 프로젝트다. 산업통상자원부·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KEIT)이 주관하는 이 사업은 제조 현장에 AI 자율제조 기술을 도입해 생산 효율을 극대화하고, 데이터 기반의 스마트 제조 생태계를 확산하는 것이 목표다. 올해 전문 기업 모집에는 신청 기업 180개 사 중 23개사가 선발됐다. 씨메스는 이번 선정을 통해 AI 팩토리 관련 정부 사업과 연구과제에 참여해, 자사 AI 로보틱스 기술과 제품을 공급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해 현재 3차원(3D) 비전 AI 기반 로봇 자동화 솔루션을 다양한 산업 현장에 공급하고 있다. 특히 AI 팩토리 구현에 필수적인 지능형 인식·판단·제어
TSI코리아 로봇 솔루션 로봇 사업부 ‘픽시스(Picksys)’ 인수 중소·중견·대기업 실증 프로젝트 겨냥한 포트폴리오 확대 ‘정조준’ 소형 로봇 솔루션에 인공지능(AI) 비전 기술 결합 도모해 씨메스가 검사·자동화 솔루션 업체 TSI코리아의 로봇 솔루션 사업 부문 ‘픽시스(Picksys)’를 자산 양수도 형식으로 인수했다. 이번 인수 대상인 픽시스는 소형 로봇 기반 솔루션 역량을 보유했다. 제조·물류 현장 자동화를 통한 효율성 극대화 전략을 전개하는 중이다. 특히 중소·중견기업의 초기 자동화 도입부터 대기업의 실증 프로젝트 및 개념증명(PoC) 등에 특화된 제품군을 갖추고 있다. 이번 인수는 씨메스의 로봇 자동화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고, 다양한 규모의 고객사 요구를 충족하기 위한 전략적 행보로 해석된다. 씨메스는 이를 통해 기존 대규모 프로젝트 중심의 로봇 솔루션과 소규모·모듈형 로봇 솔루션의 균형을 확보함으로써 고객군을 한층 넓히게 됐다. 씨메스 측은 글로벌 로봇 자동화 시장에서 소형·모듈형 솔루션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와도 맞물려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물류·제조 산업 전반에서는 자동화 도입 시 초기 진입 장벽이 낮은 솔루션을 선호한다. 특히 투자수익률(R
티에스아이코리아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4(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4, 이하 AW 2024)’에 참가해 협동로봇 PICKSYS 시리즈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4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27일부터 29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450여개 기업이 20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티에스아이코리아는 이번 전시회에서 PICKSYS PTZ/DPT를 소개했다. PICKSYS PTZ/DPT는 팔렛트로 공급되는 박스의 자동 이적재 기능을 수행하며, 정형, 비정형 박스의 적재가 가능하다. 작업 위치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고 3D Vision을 적용한 AI시스템이 특징이다. 최대 적재 높이 1800㎜, 작업 반경 1500㎜, 공압식 GRIPPER, 가반하중 25㎏ 사양을 제공한다. 주로 제조 공장 원자재 입고 물류 공정, 택배 물류 상하차 공정 자동화 등에 활용되고 있다. 또한 투입공정에 최적화된 빈 피킹 제품 PICKSYS ST, 다목적 범용 물류 이동에 용이한 PICKSYS AMR 등도 전시했다. 특히 PICKSYS 협
티에스아이코리아는 로봇 3D Vision 대중화를 위해 ‘PICKSYS’ 브랜드를 런칭했다. 픽시스는 3D Vision과 로봇을 하나의 통합된 시스템으로 제공해, 고객은 쉽고 간편하게 로봇 3D Vision을 사용할 수 있다. PICKSYS는 머신비전을 이용한 가공기 투입 배출 자동화 제품 'PICKSYS MTS'를 소개했다. 머신텐딩 자동화란 협동로봇 등 자동화 장비를 사용해 기계에 자재를 공급하고, 작업이 끝나면 제품이 회수하는 과정을 자동화한 것을 의미한다. 픽시스의 PICKSYS MTS는 기존 머신텐딩 자동화와 차별되는 특장점이 존재한다. 기존 자동화 구축은 로봇을 설치해야 하는 위치와 공간 확보, 어떻게 설치하고 구동할 것인지에 대한 설계와 소프트웨어를 별도로 진행해야 했다. 픽시스는 프레임부터 소프트웨어, 협동로봇까지 하나의 제품으로 제공하고 있어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나 규격화된 사이즈를 제공한다. 로봇 종류부터 시스템, 설계까지에 들였던 많은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PICKSYS MTS는 현장 공간을 파악한 뒤 쉽게 적용할 수 있다. 이때 기존 가공기 또는 설비에 재료를 공급하고 회수하기 위해서 설비간 다양한 형태의 인터페이스 연결이 필수다.
복잡한 프로세스 50% 단축시키며, 투자비용은 30% 절감 가능 티에스아이코리아(TSI-KOREA)는 반도체와 FPD 공정 검사 자동화를 위해 설비 설계, 제어, 머신비전 기술을 기반으로 공정 검사 자동화 설비를 개발 공급하고 있으며, 최고의 성능을 목표로 기술 개발에 집중 투자하고 있다. 또한, 2D, 3D 머신비전부터 자동화 설비. 로봇 시스템 솔루션 전문 기업으로 성장하면서 표준 모듈형 기반의 도입형 협동 로봇 솔루션인 "PICKSYS(픽시스)"를 출시하였다. PICKSYS(픽시스)는 전통적 산업용 로봇에서 협동 로봇으로 전환하는 추세에 로봇 전문 인력 부재, 맞춤화, 고비용 등으로 도입 애로가 있는 상황에서 로봇 시스템을 냉장고나 TV와 같이 가전제품처럼 쉽게 도입할 수 있는 로봇 솔루션이다. 특히, PICKSYS(픽시스)는 빈피킹, 디팔렛타이징, 팔렛타이징, 어셈블리, 웰딩, 머신텐딩 등 다양한 응용 분야도 적용이 가능하며, 각 공정에 맞는 모델을 선택하면 기존에 진행해야 했던 복잡한 프로세스를 50% 단축시키며, 투자비용은 30% 절감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기존 대비 2배 이상 공급 속도가 빠르고, 처음 접하는 사람도 쉽게 조작이 가능하며,
티에스아이코리아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검사 측정 자동화 설비를 주력으로 하는 기업이다. 티에스아이코리아는 최근 수원지식산업단지로 이전하며, 새로운 비즈니스를 향해 변화를 꾀하고 있다. 다년간 쌓아온 자동화 설비 인프라로 고객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로봇 3D Vision’을 공급하겠다는 티에스아이코리아를 만났다. 티에스아이코리아는 2017년 9월 설립 후 매년 지속적인 매출 성과를 달성하고, COF 공정 AOI 검사기를 개발해 고객사 납품 및 양산에 기여하고 있는 기업이다. ‘고객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3D Vision’을 목표로 3D Bin Picking System 공급업체인 픽잇(Pick-it NV)의 파트너로 국내 로봇 비전 자동화를 이끌고 있다. 창립 5주년을 맞이한 티에스아이코리아는 최근 수원델타원지식산업센터로 사옥을 이전했다. 지난 9월 7일 진행된 이전 행사식에서 티에스아이코리아 이철희 대표는 협력사 및 직원들에게 그동안의 감사를 표하며, 새로운 환경에서 시작할 티에스아이코리아의 미래를 밝혔다. Q. 티에스아이코리아의 수원지식산업단지 사옥 이전은 어떤 의미를 갖는가? A. 기존에는 연구소와 개발 조직은 용인에, 제조 인력과 자동화 설비 인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