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퍼블릭 블록체인 기술의 선두주자인 로커스체인이 누구나 참여 가능한 상시 오픈 형태의 ‘공개 테스트넷’을 전격 개방하며 기술 검증과 생태계 확장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번 공개 테스트넷은 단순한 기술 시연을 넘어, 실제 사용 시나리오 기반의 기술 완성도 점검과 개발자 중심의 생태계 확대를 동시에 추진하는 이중 과제를 수행한다. 특히 로커스체인은 자사의 스마트 컨트랙트와 NFT 민팅 기능을 중심으로 실시간 트랜잭션 처리, 네트워크 안정성, 확장성 등 퍼블릭 블록체인의 기술 한계를 실질적으로 검증한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테스트넷은 메인넷과 동일한 아키텍처와 구조를 기반으로 설계돼, 실제 운영 수준의 성능을 경험할 수 있도록 구현됐다. 로커스체인은 테스트넷을 통해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지속적인 개선과 디버깅을 진행한 후, 기술적 안정성이 확보된 기능을 메인넷에 순차적으로 반영할 계획이다. 스마트 컨트랙트 개발을 위한 전용 IDE 환경과 NFT 민팅 시스템도 함께 제공된다. 개발자들은 솔리디티(Solidity) 언어를 통해 손쉽게 스마트 컨트랙트를 구현하고, PREVM 채널을 통한 실시간 테스트와 VME 채널을 통한 네트워크 부하 점검도 가능하다.
퍼블릭 블록체인 기술 분야에서 새로운 기록을 세우고 있는 ‘로커스체인’이 또 한 번의 혁신을 이루었다. 블룸테크놀로지(대표 이상윤)는 지난달 30일, 다이나믹 샤딩 기술을 온라인 게임에 성공적으로 적용했다고 밝혔다. 이 기술이 적용된 ‘로커스 게임체인’은 현재 Steam을 비롯한 여러 게임 스토어에서 서비스 중인 ‘킹덤언더파이어’에 도입됐으며, 다른 다수의 게임들도 로커스 게임체인의 탑재를 추진하고 있다. 이번 성과는 블록체인 기술이 온라인 게임 서버를 대체하는 데 이어, 다이나믹 샤딩 기술까지 적용함으로써 기술적 쾌거를 이루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이상윤 대표는 “퍼블릭 블록체인 기술을 금융 거래나 도소매, 스마트시티 등 대용량 실시간 거래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준 획기적 사건”이라고 평했다. 로커스체인은 기존 블록체인의 느린 성능과 확장성의 한계를 극복하면서도 완벽한 탈중앙화를 유지하는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그 핵심 기술인 다이나믹 샤딩은 실시간으로 네트워크 수요에 따라 샤드의 수와 크기를 동적으로 조정해 보안, 속도, 확장성을 유지하는 세계 최초의 샤딩 기술이다. 블룸테크놀로지는 이 기술이 노드 간 통신량을 일반 네트워크 처리 용량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