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초 청소·화재 감지 융합형 인공지능(AI) 로봇 상용화 성공해 “초소형 불씨도 탐지 가능”...야간·무인 시설 재난 대응 공백 해소 기대 라이노스가 청소와 화재 감지를 동시에 수행하는 융합형 인공지능(AI) 청소 로봇을 국내 최초로 상용화했다. 라이노스는 자사 대표 모델인 '휠리(Wheelie)' 시리즈에 이동식 열화상 화재 감지 시스템을 결합한 차세대 모델을 선보였다. 이로써 스마트 안전 도시 구축을 위한 새로운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다. 이번 새 모델은 적외선 및 열 복합 센서를 통해 전방 10m 범위에서 촛불 크기의 초소형 불씨까지 탐지한다. 이 로봇은 순찰 중 열원을 감지하면 즉시 AI 분석을 거쳐 자체 경보를 발령하고, 관제실에 발화 위치를 3차원(3D) 지도로 실시간 전송한다. 이는 기존의 천장 고정형 감지기 사각지대를 보완하고, 야간·무인 시간대의 재난 대응 공백을 메울 것으로 기대받는다. 실제로 이 로봇은 지난주 서울 강남 소재 한 오피스 빌딩에서 진행된 시범 운행에서, 불 꺼진 로비 내 휴지통 속 작은 담뱃불을 감지해 즉각적인 조치를 지원했다. 해당 모델은 기존 청소 기능도 개선됐다. 시간당 최대 1200㎡를 청소하고, 하루 평균 11k
기존 영상관제 시스템 ‘VMS’ 대체 기술로 제시 "연중무휴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첨단 시스템" 인텔리빅스는 자제 개발 통합관제 시스템 ‘AMS(AI Monitoring System)’가 지방자체 영역에서 활약하고 있다고 전했다. 인텔리빅스 AMS는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화재·도난·무단투기·교통사고·군집사고 등 관제 분석 데이터를 도출한 후 유연하게 대응하도록 지원하는 기술이다. 인텔리빅스 관계자에 따르면 시·군·구 지방자치단체가 활용하는 인력 기반 관제 시스템인 ‘영상관리시스템(VMS)’의 단점을 개선한 솔루션이다. AMS는 구체적으로 실시간 선별 관제, 지능형 영상 분석, 사고 데이터 통계 분석, 지리정보시스템(GIS) 기반 안전지도, 외부 시스템 연계, 모바일 관제 서비스 등 관제에 특화된 기능을 담은 점이 특징이다. 특히 스마트폰과 연동 가능해 단체장 및 관제요원이 휴가 및 출장 상활일 때도 CCTV 영상을 통해 원격으로 현장지도를 수행할 수 있다. 최은수 인텔리빅스 대표는 “AMS는 연중 언제든지 실시간으로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첨단 시스템으로, 이제는 선택이 아닌 필수로 도입해야 하는 기술”이라고 강조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